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누군가의 질문. "항공기 만드는 회사는 보잉하고 에어버스 둘 뿐인가?"

솔직히 이런 질문이 나올 거라곤 생각도 못했습니다. 어찌 둘 뿐이겠나. -_-

암튼,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원래 옛날엔 보잉, 맥도널 더글러스 등이 유명했는데

97년에 보잉이 맥도널 더글러스를 집어삼켰죠.
대한항공이 보유한 항공기를 보면 B로 시작되는 것(보잉), A로 시작되는 것(에어버스), MD로 시작되는 것(맥도널 더글러스) 등등이 있는데, 일단 MD 계열은 오래된 걸로 봐야죠.주로 국내선에 투입되는 중소형 항공기들입니다.

에어버스는 2000년에 유럽 각국이 합작해서 만들었는데 2002년에 결국 보잉을 제꼈죠. 항공기는 단가가 워낙 쎄기 때문에... 보잉이 몇대만 더 따내면 또 뒤집을 수도 있습니다만.

항공기 제조업체로는 또 뭐가 있냐면

요새 잘나가는 회사는 보잉과 에어버스 말고
브라질의 엠브라에르(Embraer), 캐나다의 봄바르디어(Bombardier) 를 들 수 있습니다.
얘들이 3,4위 엎치락뒤치락 합니다.
러시아 투폴례프는 맛이 간지 오래고, 회사가 망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요
아직도 러시아와 이란 등지에선 많이 떠다닌답니다(추락도 많이 하지요)

이 밖에 경비행기는 미국의 세스나페이퍼가 유명한데요.
어제 워싱턴 상공에 떠서 부쉬를 놀래킨 놈도 바로 세스나였지요.

그럼 콩코드는 누가 만들었나?
이놈은 좀 희한합니다. 이건 영-프 정부 합작 제조...라고 봐야겠지요.

그런데 보잉이건 에어버스건, 사실 비행기 껍데기를 만드는 거거든요
비행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엔진입니다.
엔진은 쟤네들이 안 만듭니다. 미국의 프랫 앤드 휘트니, 제너럴 일렉트릭, 얼라이언스, 볼보 에어로, 스웨덴 사브, 영국 롤스로이스 등이 만듭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추락하면 3곳에서 조사를 나옵니다.
추락지역 정부당국, 항공기제조업체, 엔진제조업체에서 각기 조사를 벌이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05-12 17: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딸기 2005-05-12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그래도 물어봤는데, 그거에 대해서는 간행물윤리위원회 쪽에서도 자료가 정리돼 있지 않다고 했대요. 그게 진짜 정리가 안 되어있을 수도 있고 아니면 귀찮아서 그렇게 말했을 수도 있고 혹은 뭔가 껄끄러운 일이 생길까봐(예를 들면 보도가 나온다든가) 그런 것일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그쪽에서 그렇게 얘기를 했다더군요.

2005-05-13 09: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딸기 2005-05-13 0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있는지 없는지는 알 수 없지요. 죄송...

2005-05-13 17: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딸기 2005-05-13 1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거듭 죄송...
 


세계 어느 곳에서건 카페에 들어가면 흔히 볼 수 있는 ‘파리의 키스’ 사진이 경매에 나와 2억원에 팔렸다.

파리 시청 앞에서 키스를 하고 있는 젊은 연인들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은 프랑스의 사진작가 로베르 두아노가 1950년 찍은 것으로, ‘키스신의 고전’이라 불릴 정도로 널리 알려진 작품. 원제는 ‘시청 옆에서의 키스
Le Baiser de l'Hotel de Ville’다.   


(오른쪽 사진) Francoise Bornet poses with a print of Robert Doisneau's famous 'Kiss at City Hall,' in which she was featured. The original print will go under the hammer at the Dassault auction house in central Paris as part of a photography sale(AFP/File/Eric Feferberg)
  

사진을 경매에 내놓은 사람은 다름 아닌 사진 속 키스신의 여자주인공인 프랑소와즈 보네(75). 이번에 팔린 것은 보네가 두아노에게서 직접 받아 간직하고 있던 원본 사진으로, 판매를 담당했던 경매회사측은 스위스의 수집가가 15만5000유로(약 2억원)에 사갔다고 밝혔다.

촬영 당시 무명 배우였던 보네는 남자친구와 파리 시청 앞길에서 두아노의 요청을 받고 즉석에서 키스신을 연출해줬다. 이 사진은 촬영된지 30년이 지나도록 두아노가 일하던 사무실에 묻혀 있다가 1986년 한 기획회사의 눈에 띄어 포스터로 제작돼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보네와 두아노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보네는 사진이 유명해지자 90년대 초 드와노를 상대로 자신의 초상권을 인정해주고 사진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나눠달라며 소송을 내기도 했다. 소송에선 보네가 졌지만 두아노는 사진의 모델이 보네였음을 인정하고 이번에 경매에서 팔린 원본 사진을 증정했다.
 
  
젊은 시절 독일 나치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기도 했던 두아노는 나치 치하에서 해방돼 환희에 들뜬 파리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로 유명해졌다. 이후에도 파리 시민들의 잔잔한 일상을 담은 사진들을 많이 남겼으나 명성과 돈벌이에 관심이 없어 94년 숨질 때까지 곤궁을 면치 못했다. 

[두아노의 다른 사진들]

 
L'Aeroplane de Papa, 1934.


Les Glaneurs de Charbon, 1945.

 
두아노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으면  
http://windshoes.new21.org/photo-doisneau.htm 를, 

두아노의 사진들을 더 보고 싶으면  
http://monsieurphoto.free.fr/index.php?menu=1&Id=1&ss_menu=1 를 눌러보세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냐 2005-04-26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저두 괜히 흥분해서 아침부터 사진 쫓아댕겼네여...

마냐 2005-04-26 1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윽. 바람구두님, 정말............대단하군여.

딸기 2005-04-26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구두님은 정말 대단하셔. 우리 같이 바람구두님을 칭찬하고 있읍시다.
근데 나도 (아침에 들통났듯이 -_-;;) 사진에 대해선 뭣도 모르고 드와노에 대해선 더더욱 모르지만, 구두님의 글 중에서 가장 훌륭했던 것은 바로 사진에 대한 글들이야. 읽으면 후회 안 할 걸. 특히 카파에 대해서 쓴 글은 감동이었지.

딸기 2005-04-26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파에 대한 구두님의 글을 읽고 싶다면--
http://windshoes.new21.org/photo-capa.htm
무려 링크서비스까지 해드립니다. 캬캬

서연사랑 2005-04-26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헤~ 퍼가요^>^

딸기 2005-04-26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

panda78 2005-04-26 2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로맨틱의 정수! *ㅂ*

해적오리 2005-04-28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가요. 사진에 대해 잘 모르지만 흑백 사진이 주는 매력이 느껴지네요.
파리, 다시 가고 싶다.

딸기 2005-04-28 1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나리님, 반갑습니다. :)
 

우울증을 겪고 있거나 억지로 음식을 토해내는 식으로 과격한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은 고지방 식품을 먹는 여성들보다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한 다이어트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상식이지만, 많이 먹는 것보다 오히려 더 살찌게 만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이색적이다.

AP통신은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이 지난 4년 동안 연구한 결과 끼니를 아예 굶는다거나 설사제를 먹는 등 ‘가혹한 체중조절’을 하면 오히려 체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이 텍사스대가 위치한 오스틴 지역에 11~15세 소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과격한 식이요법은 사람을 우울하게 만들며, 우울증에 걸린 사람의 뇌는 행복감을 주는 화학물질인 세로토닌을 분비하기 위해 인체가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을 섭취하게끔 유도한다는 것.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심리학협회가 발간하는 ‘상담과 임상심리학’ 이달 호에 실렸다. 영양학자 겸 심리요법 의사인 리저 도프먼은 이 조사결과에 대해 “엄격한 식이요법을 하면 신진대사에 변화가 온다”면서 “다음번 식사가 언제 들어올지 모르는 상황이 반복되면 인체는 스스로 열량 소모를 줄여버리기 때문에 살이 빠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부모의 비만 여부가 자녀의 비만과 높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그러나 이는 유전적인 요인이라기보다는 냉장고에 무엇이 들어있는가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더 많이 따라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또다른 연구에서는 24시간 신체리듬을 조절하는 ‘생체시계’가 식욕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신경생물학교수 조지프 배스 박사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유전조작으로 생체시계가 불규칙하게 돌아가게끔 만든 쥐들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먹으면서 체중조절 능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불규칙한 식사가 비만을 불러온다는 통설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배스 박사는 “그동안에는 생체시계가 수면주기, 체액, 체온, 산소소비 따위를 결정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식욕도 생체시계에 달려있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오늘의 교훈:   많이 먹고 엄마를 탓해라.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클리오 2005-04-22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훈이 젤 멋지군요.. 근데 엄마 밥을 먹을 때는 그렇게 고도비만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 않나요.. ^^ 위에서 말한 것처럼 언제든지 먹을 수 있다는 안도감으로...

urblue 2005-04-22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 많이 먹고 엄마를 탓해라.

딸기 2005-04-22 14: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옷 클리오님 말씀도 일리가 있네요!
유어블루님, 히히...

balmas 2005-04-22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 식구들은 모두 마른 편이어서,
살찌는 거 걱정하는 거 보면, 미안한 얘기지만, 너무 먼 나라 얘기 같아서
감이 잘 안온답니다, 호호호.
그런데도 똥배는 조금씩 밀려나오니 ... ㅠ.ㅠ

하루(春) 2005-04-22 17: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 부모의 유전인자도 한몫하니까 아빠도 함께 탓해야 하지 않을까요?

딸기 2005-04-23 07: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전인자보다 식습관이 중요하다잖아요 ㅋㅋ
하긴, 울나라에선 아빠를 탓해야겠네요. 엄마들이 주로 아빠 식성에 맞춰 음식을 준비하니 말이죠. ^^

반딧불,, 2005-04-26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훈이 넘 멋져요^^
 

국제유가가 몇% 올랐다, 두바이유가 어쨌다, 이런 얘기가 신문이나 방송에 심심찮게 나오지요. 
이런 '국제유가' 혹은 '유가'는 어떻게 매겨지는 걸까요.

일단, 유가의 기본단위는 달러/배럴(1배럴은 159리터)입니다.

그런데 석유에는 원유/정제유가 있습니다. 
'국제유가'는 원유(crude oil) 기준입니다.

원유의 주요 생산지는 세 곳입니다.
1. 아랍 걸프 2. 북해 3. 미국 멕시코만

아시아지역에서는 주로 걸프 석유를 수입하고,
북해산 브렌트유는 유럽으로 들어갑니다.
미국 석유는 국외 수출 금지되어 있어서, 미국 내에서만 판매됩니다.

석유시장의 특성은 '지역적 불균형'이 심하다는 겁니다.
전세계 대부분 국가가 소비하나, 일부 지역에서만 생산되지요. 
따라서 생산자의 행위에 따라 시장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서로 가격이 연동돼 있는 이유는 그럼 뭘까요. 
바로 담합 때문입니다.
OPEC과 Western Oil producing corporation이 가격을 통제합니다.
나쁜 넘들이죠.

석유는 어디서 팔리느냐.
대표적인 시장은 두 곳이 있습니다.

1. NYMEX(the New York Mercantile Exchange 뉴욕상품거래소)

세계에서 가장 유동적인 석유선물계약 시장.
WTI(서부텍사스중질유)와 NYMEX Crude로 이루어집니다.
거래단위는 1000배럴. 통상 이익은 배럴당 5-10센트라고 합니다.

2. IPE(the London International Petroleum Exchange 런던국제석유거래소)

세계에서 두번째로 유동적인 석유선물계약 시장입니다.
브렌트유가 여기서 거래되고요. 단위는 마찬가지로 1000배럴입니다.
주로 유럽의 hedger 들이 여기서 거래합니다.

우리랑 관련이 깊은 걸프 석유는
보통 OPEC 바스켓유가(OPEC Reference Basket price) 혹은 두바이유를
기준으로 유가를 계산합니다.

바스켓은, 여러 종류를 모두 (바구니에) 섞어서 기준가를 내는 거랍니다.
바스켓 안에 들어있는 상품의 평균가를 내는 것이 아니고,
생산량 판매량 등에 따라서 가중치 같은 것이 붙기 때문에
저도 바스켓유가의 정확한 산출방식은 모릅니다만.
아무튼 바스켓유가는 1987.1. 도입됐고, 바스켓을 구성하는 원유는 7종이 있습니다.

알제리 사하라 블렌드 Saharan Blend
인도네시아 미나스유 Minas
나이지리아 보니 라이트 Bonny Light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라이트 Arab Light
UAE 두바이유 Dubai
베네수엘라 티아후아나 라이트 Tia Juana Light
멕시코 이스트무스 Isthmus


이렇게 7가지입니다.
멕시코는 OPEC 회원국은 아니지만 바스켓에 들어가 있습니다.

좀더 자세한 걸 알고 싶으시면 
OPEC 홈페이지(
http://www.opec.org)에 들어가보세요. 
(하는 짓과는 달리... 로고가 굉장히 귀엽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냐 2005-04-19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유용한 정보임다. 와와~

딸기 2005-04-19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알~면~서~~ 와와는 또 머야~~

하루(春) 2005-04-19 15: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흥미롭군요. 전 몰랐습니다. ^^

딸기 2005-04-19 15: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 추천하셔요~~
 

이런저런 사이트들을 많이 이용해봤는데, 그 중에서 제가 가장 쓰기편했던 것들을 엄선했습니다.
즐겨찾기 해놓으시면 이모저모 도움 될때가 있을 거예요. :)

거의 모든 신문방송!
http://www.parstimes.com/media

거의 모든 통신사!
http://www.parstimes.com/media/agencies/

아틀라스 지도
http://go.hrw.com/atlas/norm_htm/world.htm

도량형 환산
http://www.dreamwiz.com/tl/convert.htm

세계 시간
http://www.worldtimeserver.com

환율 계산
http://www.xe.com/ucc/

세계의 날씨
http://www.worldweather.org/

무료 백과사전
http://en.wikipedia.org

유명기업 로고 모음
http://www.goodlogo.com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5-04-14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월의 딸기님, 추천하고 퍼갑니다.^^

딸기 2005-04-14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

바람구두 2005-04-14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좋은데.. 왜 두 개나 올린 것이지요? 흠흠...

딸기 2005-04-14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실수~~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