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관심있는 작가 이사카 코타로, 그의 작품세계가 좋다.  결국 그의 모든 작품을 소장하게 되었다.

 사신치바, 러시라이프, 비밀을 읽고 중력삐에로로 손이 가고 있다. 

 

 

풍요로운 삶...5 주인공들의 서로 얽힌 이야기..

 

 

 

 

 

 

 

 

 

 

 

일본의 12작가의 짧으면서도 독특한 구성의 이야기집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 절로 웃음이 묻어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6-09-18 1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카테고리 좋아요!

matrix2000 2007-01-07 1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요^^

내방은서재 2007-01-09 15: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러시라이프를 재미있게 있었답니다. 일본책을 좋아하시네요. 백년고독님은..
 

 요즘은 일본 작가에 푹 빠져있다.  가장 좋아하는 작가가 이사카 고타로,  오쿠다 히데오다.  그들의 작품을 읽는게 요즘 즐거움이다. 그들다음에 읽고 싶은 작가의 책이 요시다 슈이치이다.

 

 

 일요일들,,,제목이 심상치 않다.

 

 

 

 거짓말의 거짓말

 

 

 

 12작가의 작품을 모두 모아보고 싶다.

 

 

 

 이책 꼭 읽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이시옷 - 만화가들이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창비 인권만화 시리즈
손문상.오영진.유승하.이애림.장차현실.정훈이.최규석.홍윤표 지음 / 창비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이시옷" 창비에서 이전에 나온 "십시일反" - 만화가들이 꿈꾸는 차별없는 세상의 두번째 편으로 이번에는 8명의 작가들이 참여한 우리사회의 차별을 주제로 한 만화집이다. 전작에 이어 차별의 주체는 장애인, 비정규직, 동성애자, 미혼모 등이다.

  "사이시옷"은 8명 작가의 개성이 뚜렷이 나타나 있는데, 보고 읽는내내 마음이 아리고, 묵직한 그 무엇을 느끼게 된다.  비정규직의 한시성 노동에 대한 정규직과의 마찰, 오로지 학생은 대학을 위해 공부가 아닌 입시지옥에서 노동을 해야하는 안타까운 현실, 우리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편견과 혐오의 눈으로 대하는 동성애자, 정작 본인은 장애를 모르지만 주위의 시선이 장애를 만들어버리는 다운증후군 아이, 미혼모 아니 비혼모에 대한 곱지않은 시선등 우리 주위의 이상 야릇한 차별이 골구루 담겨있다.

 이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을 차별하고 있구나라고 느끼게 될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언제 그 차별의 주체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지금이 될지, 아니면 내일이 될지, 단지 그 시기가 언제인지 모를뿐이다. 우리는 그들을 통해 마음의 장애를 안고 있는지도 모른다.  겉은 멀쩡하지만 속은 차별로 가득한 못된 장애를 말이다. 

  차별에 대해 우리의 사고가 바뀌지 않으면 사회는 절대로 바뀌지 않는다. 차별이 아닌 동정이 아닌 순수한 인격체로서 그들을 대할때 그들은 더 나은 사회를 더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지 않을까? 지금도 차별받고 있는 이땅의 그들에게 차별없는 따뜻한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다...시...한...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마르셀 에메 지음, 이세욱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문학의 보석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마르셀 에메. 우화같은 짧은 이야기의 귀재이기도 하다. 게다가 그의 엉뚱한 발상과 오래도록 여운이 남는 그의 작품들을 보면서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였다. 그것도 1900년대 초에 말이다. 절로 감탄이 나온다. 왜 마르셀 에메의 작품을 이제야 접하게 되었는지 참나....
 
  마르셀 에메의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에는 모두 5편의 단편이 들어있다. 그 중 첫번째 에피소드가 바로 '벽으로...' 이다. 그의 기발하고 독특한 작품의 세계로 잠시 들어가보자.
 
  첫번째 '벽으로..'는 한 남자에게 특이한 재능이 있다. 바로 벽을 뚫고 드나드는 재능이다. 그의 기이한 능력을 43살에 알아버린 주인공은 그를 못살게 구는 직장상사를 골려준다. 그리고 그것도 무료해 무엇인가 새로운 일을 벌리려고 한다. 바로 은행을 터는것...
 
  두번째 에피스드인 '생존시간카드'는 이책중에서 가장 아이디어가 신선하고 독특한 내용이 담겨있다. 특히, 나는 이 작품을 추천하고 싶다.  엉뚱한 발상이 흠뻑 묻어나는 내용이다. 노동계급으 수익향상을 위해 비생산적인 소비자의 배급을 제한하고자 한다. 바로 사회에 필요없는 사람의 삶을 제한하는것. 노인, 퇴직자, 금리생활자, 실업자 등. 방법은 생존카드를 배급하는것인데, 온전한 사람은 한달을 모두 살아갈 수 있는 30일 생존카드를 배급하고, 그외의 노인, 퇴직자, 금리생활자는 한달의 반인 15일만 살수 있는 카드를 발급하는것. 그래서 15일 카드를 받은 사람은 1일부터 15일까지만 살고 다음날부터 말일까지는 잠시 사라졌다가 다음달 1일날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기발한 아이디어속에서 벌어지는 헤프닝이 계속이어진다.
 
  세번째 에피스드 '속담'은 학교에서 속담의 예를 들어오라는 숙제때문에 벌어지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가 우화적으로 담겨있다. 아버지는 아들의 속담숙제를 대신해준다. 과연 이 숙제를 본 선생님의 반응이 어떻할지....이 작품 시사하는 바가 큰 작품이었던것 같다. 어쩌면 우리들의 옛날 아버지의 모습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네번째 작품 '칠십리장화'또한 전설의 칠십리장화를 둘러싼 친구들과 친구들의 부모, 그리고 주인공과 주인공의 어머니의 이야기가 정신없이 펼쳐진다. 과연 신으면 한번에 칠십리를 간다는 장화는 누가 차지하게 될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칠십리장화'에 나오는 장화를 파는 주인이 낮이 익었다. 애니메이션을 좋아한다면 '월트디즈니사의 "벅스라이프"를 기억할 것이다. 벅스라이프에 실려있는 단편 영화 부문에서 아카데미 상을 받았던 "게리의 게임(Geri’s Game)"의 게리의 캐릭터가 이사람과 흡사하다. 혼자 체스를 두면서 하는 행동과 표정들이 거의 비슷하게 묘사되어있다. 아마도 마르셀 에메의 "칠십리장화"에서 영감을 얻은 듯...
 
  다섯번째 작품 '천국에 간 집달리'는 늘 악한일만 행한 집달리가 죽어 하늘에 올라가 벌어지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죽어 천국에 올라간 집달리는 우여곡절 끝에 다시 세상으로 돌아오는데 과연 그는 어떻게 남은 생을 살아갈지.. 
 
  마르셀 에메는 짧은 이야기로도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대단한 작가임에 틀림없다. 지금도 프랑스에는 '마르셀 에메 광장'과 '벽을 막 통과하는 에메 동상'이 서 있을 정도이다.  마르셀 에메가  왜 프랑스가 낳은 대단한 국민작가인지를 보여주는 것 같다.
 
  어른이 읽는 우화적이고 때로는 기담집이기도 하고 동화스럽기도한 마르셀 에메의 작품을 만나게 된것은 아마도 행운일 것이다. 그의 다른 작품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이야기 시리즈와 초록망아지를 읽어봐야 할 것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방은서재 2007-01-09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정말 재미있죠. ㅎㅎㅎ
 
십시일反 - 10인의 만화가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창비 인권만화 시리즈
박재동 외 지음 / 창비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시일반은 박재동외 9명의 시사만화가들이 모여 하나의 주제를 놓고  만든 시사만화집이다.  우리사회의 뿌리깊이 박혀있는 인권차별이 그 주제이다. 가난한자에 대해, 여자에 대해, 장애우에 대해, 그리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멸시와 무시를 그린 만화집이다. 

  십시일반을 보는내내 가슴이 답답해짐을 느꼈다.  사람은 누구나 평등하거늘 법에도 명시가 되어있거늘 왜 사람들은 그들을 다른 시각으로 보고 대하는지 마음이 아프다. "가난이 죄이란 말인가?", "여자로 태어난 것이 그렇게도 잘못 된 일이란 말인가?", "누군들 장애를 안고서 태어나고 싶은가?" 또한 우리는 선진국의 외국인을 대할때는 지극정성으로 대하면서 피부색이 우리와 다른 아니 우리보다 진한 피부색을 가진이들에게는 왜 경멸과 멸시의 눈길을 보내는냔 말이다. 우리의 피부를 가진 사람들도 외국에 나가면 똑같은 대접을 받는다는 사실을 왜 모르느냔 말이다.

  그들 모두도 여느 누구와 마찬가지로 주어진 삶을 충실히 살아가고 있을 뿐인데. 그렇지도 못한 사람들이 무엇때문에 그들을 차별하느냐 말이다.  있는자들의 특권인가?, 남자로서의 특권인가? ...

  어둡고 차별로 가득한 세상을 살아가는 그들에게 희망이 가득 했으면 좋겠다.  가난한 사람에게는 마음의 부만이 아니고 실질적인 부가 주어지고, 장애를 갖고 있는 그들에게는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고, 먼 이국땅에서 고생하는 그들에게는 건강히 있다가 무사히 그들의 나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때로는 글로된 책보다도 몇 컷의 그림이 강하게 가슴에 와 닿을때가 있다. 십시일반 시사만화집이 바로 그런 책이다.  이땅에서 고생하는 희망을 잃은 모두에게 따뜻한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진..심..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