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만 되면 나를 괴롭히는 고질병이 있다. 동창(凍瘡), 영어로는 'Chilblains'라고 부르는 이 질병은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 생기는 피부의 국소적인 염증이다. 주로 찬 공기에 노출되는 손과 발, 특히 발가락에 동창이 잘 생긴다. 일단 동창이 생기면 그 부위는 빨갛게 붓고 가렵다. 피부 조직이 괴사하는 동상(凍傷)과는 달리 동창은 잘 관리해서 치료하면 낫는 가벼운 질병에 속한다. 그런데 문제는 잘 낫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치료법이라고 해봐야 동창이 생긴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고, 더이상 냉기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면양말에 두툼한 수면 양말까지 신고 털실내화를 신어도 동창이 생긴 발가락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나는 피부과 의사가 설명하는 유튜브도 찾아보고, 동창을 앓은 이들의 블로그도 찾아본다. 그러다 인터넷의 어느 댓글이 눈에 띄었다.

  "동창에는 안티푸라민을 꼭 바르세요."

  뭐, 안티푸라민을 바르라고? 그거 근육통이나 타박상, 그런 데에 바르는 거 아닌가? 나는 구급약 상자에서 몇 년째 쓰지 않고 처박혀 있던 안티푸라민을 꺼내보았다. 놀랍게도 효능 효과에 '1도 동상'이 있었다. 그렇다. 안티푸라민은 동창에도 쓸 수 있다. 안티푸라민의 주성분은 살리실산 메칠, 이 성분이 소염 진통 효과가 있으니까 염증 반응인 동창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일주일 넘게 써봤는데, 나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었다.

  사실 동창에 잘 듣는 연고가 딱히 있는 것 같지도 않다. 어느 약사는 동창에 쓸 연고를 달라는 손님을 돌려보낸 이야기를 썼다. 그 약사는 어떤 연고나 약을 권해야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구태여 찾는다면 부기와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는 저용량의 스테로이드 연고, 거기에 더해 가려움증을 덜어줄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가 들어있는 연고 정도가 괜찮을 것이다. 결국 이런 저런 정보를 취합해서 내가 쓴 방법은 이렇다. 아침에는 안티푸라민, 오후에는 저용량의 스테로이드 연고, 저녁에는 항생제 연고를 차례대로 발랐다. 이 기이한 자가 처방으로 연고를 며칠 써보아도 그다지 차도가 없었다. 

  물론 나는 이 질병의 특효약을 이미 잘 알고 있다. 그것은 '봄'이다. 겨울이 지나 봄이 되어 기온이 오르면 동창은 저절로 낫는다. 겨울 내내 빨갛게 붓고 아프고 감각이 이상해졌던 발가락들은 다시 멀쩡하게 돌아온다. 얼었던 강물이 풀리듯, 발가락에 스며들었던 냉기가 사라진다. 이렇게 저렇게 해봐도 낫지 않은 발가락을 들여다 보면서 나는 어서 빨리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3-02-14 23:20   좋아요 0 | URL
저도 겨울이 싫네요
겨우내 발이 시려워요 ㅠㅠ
발 아래 히터 필수!
얼른 따뜻한 봄이 와서 푸른별 님 동창이 낫기를 소망합니다
아울러 제발도 시렵지 않게 ...^^

푸른별 2023-02-15 14:15   좋아요 0 | URL
은하수님, 따뜻한 댓글, 고마워요. 어제 동네 화단의 매화 나무를 보니 꽃이 필 것 같아요. 봄이 그렇게 오고 있네요.
 

 

  1월달부터였던 것 같다. 글을 쓰려고 하면 머릿속이 하얘지면서 아무 생각이 나질 않았다. 나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 30분 정도 가만히 모니터의 화면을 바라보다 보면 첫문장이 써지곤 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그것이 잘 되지 않았다. 1시간을 깜박이는 워드 프로세서의 커서만 들여다보다 컴퓨터를 끄는 날이 이어지곤 했다. 그러다 보니 일주일에 영화 리뷰 한 편 쓰는 것도 버겁게만 느껴졌다. 나중에는 에라 모르겠다, 그냥 글쓰는 것을 마냥 미뤄두게만 되었다.

  우연히 인터넷의 어떤 글을 읽다가 'Writer's Block'이란 단어가 눈에 띄었다. 이제까지 들어본 적이 없는 말이라 구글로 검색을 해보았다. 나는 그제서야 알 수 있었다. 지난 1달 동안 나를 괴롭혀왔던 문제가 바로 그것이었음을. 글 쓰는 사람들에게 찾아오는 고질병 같은 것. 'Writer's Block'은 어떤 알 수 없는 이유로 이전까지 글을 잘 써내던 사람이 글을 쓸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가리킨다. 일종의 잠시 멈춤, 중단 상태라고 할 수 있겠다.

  이 'Writer's Block'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무엇 때문이라고 콕 집어서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어쩌면 그 원인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그 장벽을 맞닥뜨리게된 당사자일지도 모른다. 글을 쓸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의 부족일 수도 있고, 글을 쓰는 공간의 문제일 수도 있다. 글쓰기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일상의 골치아픈 일들도 장벽의 벽돌이 된다. 문제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워낙 많다 보니, 해결책이라는 것도 각양각색이다. 그 가운데에는 자신이 쓰던 글의 장르와는 다른 것을 써보라는 것도 있다. 이를테면 소설을 쓰던 사람은 시를 써보는 것이다.

  나의 마음을 다잡게 했던 조언은 이러했다. 어떻게든 매일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30분이든 1시간이든 정해진 시간에 책상 앞에 앉을 수 있어야한다. 그리고 어떤 글이든 하루에 조금씩이나마 써낸다. 그래서 나는 영화에 대한 글이 써지질 않으니, 오늘 이렇게 Writer's Block에 대해 글을 쓰고 있다. 내 앞에 터억 하고 자리잡고 있는 담벼락의 실체가 무엇인지 아직은 알 수가 없다. 한꺼번에 무너뜨릴 수 없다면 하나씩 벽돌을 치워가는 수 밖에 없다. 당분간은 어떻게든 무슨 글이라도 써서 이 위기를 극복해야한다고 마음먹었다. 포기하고 미루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 혹시 지금 'Writer's Block'을 마주하고 있는 이가 있다면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 관련 글은 앞으로 구글 블로그에 올립니다.


구글 블로그 주소:

https://sirius1001.blogspot.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에는 영화 'The Banshees of Inisherin(2022)'의 일부 스포일러가 들어있습니다.


  "앞으로 자네가 나한테 말을 걸어 오거나 귀찮게 하면, 그때마다 내 손가락을 하나씩 자르겠네."

  아일랜드의 평화로운 작은 섬 이니셰린. Pádraic과 Colm은 오랜 우정을 이어온 친구이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콤은 파드릭에게 무시무시한 절교 선언을 한다. 파드릭은 그 모든 상황이 당황스럽기만 하다. 그는 도대체 콤이 자신에게 왜 저러는 건지 알 수 없다. 콤은 파드릭이 지루하기 짝이 없는 친구이며, 그 우정은 무익하다는 말을 한다. 콤은 음악가로서 앞으로 작곡에 전념하겠다고도 덧붙인다. 매일 두 사람은 동네 맥주집에서 흑맥주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런데 이제 파드릭은 혼자서 맥주를 들이켜야만 한다. 콤의 빈자리가 주는 외로움을 파드릭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어떻게든 우정을 되찾을 방법이 있을 거야. 파드릭은 콤에게 말을 걸어보려고 애를 쓴다. 결국 콤은 자신의 손가락 하나를 잘라서 파드릭의 집 앞에 내던진다.

  Martin McDonagh 감독'The Banshees of Inisherin(2022)'는 의문의 도입부로 시작한다. 왜 콤은 파드릭에게 절교를 선언했을까? 무엇보다 절교를 당한 파드릭에게 그것은 가장 큰 의문일 것이다. 이는 곧 작은 섬 이니셰린의 주민들에게도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 파드릭이 콤에게 어떤 잘못을 저지른 것은 아닐까? 영화는 이 갑작스런 절교의 원인을 파고드는 여정을 시작한다. 겉으로 보기에 파드릭에게는 아무 문제가 없다. 파드릭 자신을 비롯해 주변 사람들은 파드릭을 '좋은(nice)' 사람이라고 말한다. 파드릭이 지루하다는 콤의 말은 절교의 이유가 되기에 부족하다. 왜냐하면 콤은 그 지루한 친구 파드릭과 오랜 우정을 이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콤에게 파드릭의 평범함과 무지가 갑자기 크게 다가온다. 아마도 콤 자신의 내적인 변화가 뜻밖의 절교 선언을 이끌어내었을 것이다.

  콤은 민속음악가로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작곡도 한다. 중년의 끄트머리에 선 콤은 자신이 음악가로서 아무것도 이룬 것도 없이 시간을 낭비했다고 느꼈을지도 모른다. 남은 생애 동안 예술가의 본분에 좀 더 충실하게 살고 싶다, 고 느낀 그에게 파드릭의 존재는 거추장스럽다. 그저 시시한 잡담만 하다 가버리는 친구 파드릭. 콤이 느끼는 내적인 절망과 우울은 곧 절교 선언으로 이어진다. 파드릭은 콤의 결단에 충격을 받는다. 이 착한 남자는 깨어진 우정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외로움이야말로 파드릭에게는 가장 큰 두려움으로 다가온다. 파드릭이 어떤 사람이냐하면, 집에 있을 때에도 당나귀 제니를 집안에 들여놓고 함께 지내는 사람이다. 물론 파드릭에게는 강인한 여동생 시오반도 있다. 시오반은 오빠에게 닥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콤을 만나보기도 한다. 하지만 콤의 결정은 단호하다.

  파드릭이 콤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애쓰는 동안, 이니셰린 섬 밖 아일랜드 본토에서는 내전이 한창이다. 전쟁의 그림자는 간간히 들리는 포탄 소리와 마을 사람들의 대화 속에서 느껴질 뿐이다. 영화의 주된 내러티브는 콤과 파드릭의 부서진 우정에 대한 것이다. 그럼에도 두 친구의 관계가 아일랜드 내전에 대한 우화라는 점은 영화 곳곳에 내재된 폭력과 죽음의 이미지로 충분히 입증된다. 콤의 잘라진 손가락은 예기치 않은 비극을 가져온다. 이 영화의 제목에 나오는 Banshee는 아일랜드의 전설 속 마귀 할멈이다. 긴 머리에, 회색 망토를 두른 키가 큰 늙은 여자로 묘사되는 Banshee는 죽음과 깊은 관련이 있다. 죽은 사람에 대한 애도의 노래를 부르며, 무엇보다 Banshee는 다가올 죽음에 대한 예언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출처 en.wikipedia.org). 영화 속에서 마을의 맥코믹 부인은 바로 그 Banshee로 묘사된다. 맥코믹 부인은 파드릭에게 두 번의 죽음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마틴 맥도나가 만들어낸 이니셰린 섬의 작은 마을은 마치 셰익스피어적인 세계를 떠올리게 만든다. 등장 인물들은 모두 내적인 결함을 지니고 있으며 그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예술가로서 콤이 느끼는 좌절감, 파드릭이 한순간도 견디지 못하는 외로움, 섬을 떠나고 싶어하지만 그러지 못하는 시오반, 아들에게 폭언과 폭행을 일삼는 마을의 경찰관, 그 아버지의 무차별적인 폭력을 감내하며 살아가는 동네 바보형 도미닉. 너무나도 평화롭고 아름다운 이니셰린의 풍광 속에는 그들의 상처가 겹겹이 포개어져 있다.

  파드릭은 자신의 당나귀 제니가 콤의 잘린 손가락을 삼키다 죽은 일에 분노한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 급기야 파드릭은 콤의 집에 불을 지른다. 영화의 마지막, 서로에게 씻지 못할 상처를 남긴 두 친구는 해변가에서 만난다. 이제 섬 건너편에서 들리는 포탄과 총소리는 멈추었다. 내전은 끝났지만 그것은 이후 북아일랜드의 기나긴 내분으로 이어질 터였다. 콤의 잘린 손가락, 파드릭의 죽은 당나귀. 상실은 결코 회복될 수 없으며, 그 누구도 이 파국의 진정한 원인은 알 수 없다. 결국 이니셰린 섬은 미움과 고통이 요동치는 폐쇄된 공간으로 남는다. 그 비극을 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시오반이 마침내 해냈듯 어떻게든 섬을 떠나는 것이다. 마틴 맥도나는 두 친구의 깨어진 우정을 통해 아일랜드의 핏빛 현대사를 은유적으로 성찰한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뽑은 2022 올해의 영화


1. Aftersun(2022)


  31살이 된 딸은 자신이 11살 때에 아버지와 떠난 터키 여행을 회상한다. 오래전 여행에서 찍은 비디오 테이프가 알려주는 뜻밖의 진실. 이 영화를 보는 이들은 마지막 부분에 이르면 슬픔과 감동으로 가슴이 뻐근해짐을 느낄 것이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2/aftersun2022.html

2. The Banshees of Inisherin(2022)

  1923년 아일랜드 내전을 배경으로 한 부조리극. 고요하고 평화로운 섬에서 오랜 우정을 이어온 두 남자. 한 친구의 갑작스러운 절교 선언은 뜻밖의 파란을 불러온다. 배우들의 놀라운 열연, 아름다운 자연 풍광 속에서 관객은 인간 내면의 심연을 바라볼 기회를 얻는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2/banshees-of-inisherin2022.html

3. Tár(2022)

  뛰어난 재능을 지닌 여성 지휘자 타르는 경력의 정점에서 갑자기 추락한다. 어떻게 타르는 무너져 내렸을까? 영화는 예술의 본질과 예술가의 어두운 내면을 깊이있게 성찰한다. 이 영화에서는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의 여진도 감지된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2/todd-field-tar2022.html  

4. Armageddon Time(2022)

  감독 제임스 그레이는 자신의 유년 시절을 그리움과 고통 속에서 돌아본다. 그가 지나온 소년 시절은 1980년대의 시대상과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영화가 들려주는 소년의 이야기 속에서 시대를 읽어내는 것은 관객의 몫으로 남는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2/armageddon-time-2022.html


5. The Fabelmans(2022)

  칠순을 훌쩍 넘긴 스티븐 스필버그가 털어놓는 그 자신의 진짜 이야기. 마법과도 같이 '영화'는 어린 소년의 인생에 갑자기 들어왔고, 그것이 소년의 운명을 바꾸었다. 'The Fabelmans'는 가족이 그의 영화 세계에 미친 영향, 스필버그에게 유태인이라는 정체성이 가지는 의미를 두루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6. Compartment No. 6(2021)

  재능 넘치는 핀란드 감독의 독창적인 영화. 이 영화는 1990년대 소련 붕괴 직전의 사회상을 러시아의 자연 풍광과 겹쳐놓는다. 판이하게 다른 두 남녀 주인공이 진정으로 서로를 이해하게되기까지의 과정은 놀랍고 감동적이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compartment-no-62021.html


7. Boiling Point(2021)

  고급 레스토랑의 주방을 배경으로 그려낸 원 테이크 영화(single take film).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주방장의 동선을 따라가는 일은 현실 속에서 정교하게 작동하는 자본주의의 민낯과 마주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1/boiling-point2021.html

8. 소설가의 영화(2022)

  홍상수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어쨌든 흥미있음을 증명해주는 영화.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novelists-film-2022.html


다큐멘터리

9. Cow(2021)

  Luma라는 이름의 소를 통해 육식의 미래를 성찰하게 만드는 다큐멘터리.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luma-cow2021.html

10. The Rehearsal(2022)

  단연코 올해 최고의 다큐멘터리. 이 6부작 다큐 시리즈는 가상의 리허설을 통해 인간 심리의 복잡한 층위를 탐구한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9/the-rehearsalhbo-tv-series-season-1.html

11. Ascension(2021)

  다큐는 중국의 소매 상품 집산지인 저장성 이우(義烏)를 비롯해 중국 각지에 자리한 공장의 생산 공정을 담아낸다. 매우 건조한 이 다큐는 우리 내면에 자리한 물질에 대한 욕망,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실체를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2/ascension-2021.html

12. Attica(2021)

  1971년에 일어난 미국 아티카 감옥 폭동(Attica uprising)을 50년이 지난 후에 다시 돌이켜 살펴 본다. 다큐는 사건 관계자들의 생생한 증언과 당시 촬영 필름들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아티카 사건이 지금의 미국 사회에 갖는 의미, 미국 사회 체제의 구조적인 모순도 살펴볼 수 있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2/leave-no-trace2018-bait2019.html



그 밖의 주목할만한 영화

1. Sundown(2021)

  부유한 중년의 남자가 마주하게 된 생의 마지막 순간. 멕시코로 떠난 그는 과연 무엇을 보고 느꼈을까...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sundown2021.html

2. Playground(2021)

  새 학교로 전학온 어린 남매가 마주한 엄혹한 현실. 따돌림과 폭력, 상처와 눈물. 운동장은 즐거운 곳이 아니라 고통스러운 투쟁의 장이 된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4/playgroundun-monde-2021.html

3. Yuni(2021)

  인도네시아 영화의 새로운 바람. 감독은 여고생 Yuni가 겪는 시련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의 여성 인권, 사회 문제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6/yuni2021.html

4. The Cathedral(2021)

  독특한 관점의 가족 영화. 딱딱한 내레이션과 절제된 연출,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미국 사회를 관통하는 TV 자료 화면이 소년의 성장기를 구성한다. 소년의 이야기는 감독 Ricky D'Ambrose 자신의 과거이기도 하다. 많은 관객들에게 지루할 수 있는 영화이지만, 이 영화에는 반짝거리는 창의성과 진정성이 공존한다.

5. Nitram(2021)

  호주에서 있었던 총기 난사 사건을 영화로 만들었다. 총기난사범 Nitram의 내면을 따라가는 일은 두렵고 고통스러운 여정이다. 그럼에도 그 어두운 심연을 들여다보는 일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4/nitram2021.html

6. Pebbles(2021)

  인도 영화에 있는 노래와 춤, 액션은 이 영화에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가난한 소년이 마주한 차갑고 어두운 현실이 인도의 메마르고 거친 풍광과 함께 펼쳐진다. 결코 지나치기 어려운 작은 보석과도 같은 영화.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pig2021-pebbleskoozhangal-2021.html

7. Turning Red(2022)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문화적 다양성을 어떻게 포장하는지 흥미롭게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11/turning-red-2022.html



*사진 출처: themoviedb.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