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토우의 재발견
- 민족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자본주의 발흥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을 대체하는 새로운 정신
- 군부 지도자에 대한 새로운 평가. ˝새로운 지도력은 지식인-상인-군인의 연합˝이 되어야 한다. 젊고 농촌 출신이 바람직하고 전통적인 지배계급이 아니어야 한다 등등. 군대조직은 저개발국가에서 특권적 지위에 있지 않은 가난한 농촌 출신의 능력있는 젊은이들이 지도적 지위로 가는 유일한 길.
저개발국가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식민지적인 경험으로 형성된 사회간접자본이며, 이것이 도약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강력한 민족주의를 형성시켰다는 것 역시 로스토우가 지적하고 있는저개발국 또는 제3세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침입이 민족주의 태동하였지만, 그것이 후진국 근대화의 힘을 추동할 수 있는최고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식민지의 경험뿐만 아니라 피부색으로 인한 열등감‘으로 인한 민족주의가 만연하고 있다는 분석은 지개발지역을 체험하거나 분석한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인식이지만, 로스토우의 분석이 가지는 특징은 이러한 민족주의가 자본주의의 이윤 동기 못지않게 저개발국가에서 경제개발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경제개발계획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의 하나가 정부의-계획에 대한 국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들고 있다. 즉, 국민적 통합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로스토우는 민족주의에서 유발되어 국민적 단합에 기반을 둔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확립이 경제개발계획의 실행에서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특히 그의 경제성장 단계론 중에서 ‘선행조건 충족의 단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민족주의는 자본주의적인 이윤동기에 못지않은 원동력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국민적 통합성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력을 경제개발계획으로 적극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러한 민족주의의 이용은 다른 한편으로 민족주의를 이용하려고 하는 공산주의자들의 음모‘에 대한 대응이며, 민족주의가 적대화되지않도록 근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방안이었다. " - P149
따라서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이 1950년대에 제3세계에 대하여 부정적 - 경제 개발의 수행을 통한 선진국화가 불가능하다는 것과 제3세계의 민족주의가 미국에 적대적인 성향으로 발전할 것 - 으로 평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비판하면서,
오히려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던 민족주의가 제3세계를 적극적으로 세계자본주의 체제 내로 흡수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제3세계의 민족주의는 이들 국가들이 쉽게 공산화될 수 없도록 하는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무기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실제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유고나 중국, 그리고 북한은 공산주의 혁명 이후 소련 중심의 세계 공산주의 체제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150
이러한 사회개혁에 대한 주장과 관련하여 눈에 띄는 것이 후진국 내의 지배세력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즉, 전근대적인 생산관계와 연결되지않은, 그리고 해당 지역에서 가장 근대화된 기구와 관련이 있는 계급이나 계층을 새로운 사회지배 엘리트로 등장시키는 사회개혁이 경제개발원조의 가장 중요한 조건의 하나로 제시되었다.
이들 새로운 정치지도력은 젊고, 농촌 출신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전근대적인 경제관계에서 벗어나 있는 인물들이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지도력은 지식인-상인-군인의 연합이 되어야한다고 설정하였다. 그럴 때 이들이 전근대적인 생산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개혁을 수행하면서 근대적 산업화에 더욱 매진할 수 있는 조건들을 만들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지도력의 창출에서 군대조직, 또는 군인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특히강조되었다. 실제로 당시 군대조직은 저개발국가에서 특권적 지위에 있지 않은 가난한 농촌 출신의 능력있는 젊은이들이 지도적 지위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으며, 저개발국에서 군대는 기술적이고 행정적인 부분을 연마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로스토우는 1950년대를 통해 등장한 군부정권의 군사 엘리트들은 공산주의적인 성향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고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10 - P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