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m glow model

실험실에서나 현실세계에서 왜 사람들은 협조를 하는가에 대한 또다른 설명이 있다. 하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기쁨에서 기쁨을얻음"으로써 동기를 부여받는다는 것이다. 안드레오니 (1987b)에 의해 순수한 이타성 (pure altism)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동기는 애덤스미스의 저서인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1976)에서도 잘 설명되어 있다. "사람들을 얼마나 이기적이라고 가정하든지 간에, 사람의 본성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는데 그것은 다른 사람의 운명에 관심을 갖고, 타인이 행복할 때 내가 얻게 되는 것은 그저 그의 행복을 바라보는 즐거움뿐인데도 타인의 행복이 자신에게 필요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 P42

하지만 사람들이 공공재에자발적으로 기여하는 이유가 이와 같은 순수한 이타성 때문이라는주장에는 하나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여 행위를 하는 이유가상대방에게 가져다줄 효과 때문만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무슨말이냐면, 만약 사람들이 공공재에 기여하는 것이 상대방들이 그로인해 얻게 되는 효과로만 설명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공공재를 위한 자금이 어디에서 들어오든 일단 공공재가 공급된다는 점에서 타인이 얻게 되는 효과는 동일할 것이기 때문에, 공공재에 정부가 기여하게 되면 동일한 크기만큼 같은 목적의 민간 기여를 구축‘ (crowdout) 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정부가 기여하는 민간이 기여하든 공공재가 생산된다는 효과는 동일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구축은 완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실제로 계량경제학 연구 결과는공공재에 대한 정부 기여가 민간 기여를 100%가 아닌 약 5~28% 정도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Abrams and Schmitz, 1978,
1984: Clotfelter, 1985). - P43

협조를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유형의 이타성이 제시되는데 그것은 협조적 행동 그 자체, 즉 협조적 행동이 가져올 효과와는 상관없이 협조하는 행동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한다. ‘옳은(좋은, 명예로운ㆍㆍㆍㆍㆍㆍ 일을 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명백한 동기로 작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이타성을 때로는 불순한 이타성 (impure altruism)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양심의 만족, 혹은 비도구적인 상벌에 의하지 않은 도덕적 명령으로 설명된다.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쉬고 있는 동안에도 기초대사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렇게 제작비와 유지비가 엄청난 비싼 장기를 빙하기라는 힘든 환경에서 계속 유지할 만큼 중요한 두뇌는 어떤 기능을 했을까요? 도구를 만들고 예술 활동을 하고 고도의 인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큰 머리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큰 머리는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일까요? - <인류의 진화>, 이상희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r46eb64YHfTTSFDe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킬러 융인원 가설


1980년대에, 인류의 조상은 막강한 포식자가 아니라 포식자의 먹잇감이었다는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습니다. 강자에서 약자로 위치가 뒤바뀐 셈입니다. - <인류의 진화>, 이상희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89CoD7TbRPney7ib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정 관념


 두 연구(Jensen et al., 2007; Proctor et al, 2013)에서 최후통첩게임을 비언어적 형태로 각색하여 침팬지에게 제시했다. 또 한 연구(Kaiser et al, 2012)에서는 보노보에게 제시했다. 세 연구 모두에서 결과는 똑같았다. 실험 대상들은 사실상 0이 아닌 어떤 제시액도 거부하지 않았다. 아마 그들은 제시액의 공정성 같은 것이 아니라 그 제시액이 먹이를 가져다주는지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거부하지않은 듯하다. - P70

세라 브로스넌(Sarah Brosnon 등(Brosnan et al, 2005, 2010)은 두 연구에서 침팬지는 다른 개체가 자신과 똑같거나 더 적은 노력을 기울이고도 인간에게 더좋은 먹이를 받는 것을 보면 원래는 받았을 먹이를 거부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적절하게 통제된 조건을 적용하면 이런 결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필요한 통제 조건은 그 침팬지가 같은 상황에서 더 좋은 먹이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시받은 먹이의 매력이 줄어든다. 

그리하여 율리아네 브로이어 Jultane Better 등(Brauer et al, 2006 2009)은 이런 식의 통제 조건을 붙여서 브로스넌 등의 연구를 그대로 반복했고(또한 브로스넌 등과 달리 조건 순서의 균형을 맞췄고, 침팬자들이 다른 침팬지가 받은 먹이와 비교해서 먹이를 거부하지 않음을 발견했다. 이 실험 양식은 침팬지에게서 사회적 비교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먹이 비교를 보여준다. - P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중심의 집단행동


각 사냥꾼은 원숭이를 자기 힘으로 잡으려고 하는데(잡은 개체가 고기를 대부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 다른 개체들의 행동을 고려한다. 따라서 한 개체가 추격을 시작하면 다른 개체들도 원숭이가 도망치는 방향을 예상하고 남은 자리 중에 가장 좋은 곳으로 달려간다. 참가자들은 공동 목표와 그 안에서 개인적 역할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우리‘를 형성해서 함께 일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라이모 투멜라 (Tuomela, 2007)가 말하는 이른바 "나 중심의 집단 행동 group behavior in mode" 안에서 움직인다(Tomaselloet al., 2005. 이 책의 3장을 보라).  - P60

인간과 비교하면, (・・・) 먹이 찾기같이 비경쟁적인 상황에서 침팬지가 보이는 협력 행동의 전반적인 결여가 두드러진다. 협력적인 먹을거리 채집은 먹을거리를 찾는 모든 인간에게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Hill, 2002). 하드자족 남자들이 바오밥 나무에 올라가서 열매를 흔들어 밑에 있는 여자들에게 떨어뜨리는 것처럼 가장 단순한 형태의 협력 행동조차 (・・・) 침팬지의 행동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 P63

우리는 도덕에 주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 모든 것에 담긴 핵심적인 질문은 침팬지와 보노보가 협력 활동에서 이타적인 행동을 하느나는 것이다. 자신에게는 비용만 발생하는데도 남에게 어떤 이익을주는 것을 근접 목적으로 갖는다는 의미에서 말이다. (경제학자들에게이 질문은 그들이 ‘타자를 고려하는 선호 other regarding preferences를 갖느냐는 것이지만, 도덕심리학자들에게는 그들이 타자에 대한 공감적 관심을 갖느냐는 것이 된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