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의 거리두기 행동

자연에서든 실험실에서든 치명적인 전염성 균에 감염된 호리가슴개미속Temnothorax 개미는 마치 자신이 군락에 위험이 된다는 것을 아는 듯 행동한다. 감염된 호리가슴개미는 감염병의 확산을 늦추는 데 필요한 ‘물리적 거리 두기’를 그야말로 극단으로 실천해 자매 개미들과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고 씩씩하게 군락을 떠나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5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김정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8b96aFTebkqax2f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렐리우스 푸실루스의 자기 희생

고도의 사회성이 인간을 다른 종과 구별하는 주요 특성이라고 생각하고 싶겠지만 인간은 사회생활을 하는 수많은 종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브라질에 서식하는 개미, 포렐리우스 푸실루스Forelius pusillus다. 이 개미는 낮에는 땅 위에서 먹이를 찾고 해거름 즈음에는 땅 밑에 있는 안전한 보금자리로 돌아간다.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김정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SfzceomwQvdaDraR8

그런데 이때 개미굴로 돌아가지 않고 밖에 남는 일개미가 있다. 이들은 동료 개미들이 서둘러 자그마한 개미굴로 내려가기를 기다렸다가, 모래알 같은 갖가지 부스러기들을 끌어와 개미굴 입구를 감쪽같이 막아버린다. 보금자리로 들어갈 입구를 막았으니 이 일개미들은 자기네 살길도 막아버린 셈이다. 개미는 무리에서 떨어지면 밤 사이에 땅 위에서는 살아남지 못한다.

게다가 개미굴 근처에서 죽으면 포식자들을 끌어들일 위험도 있다. 개미굴 밖에 남은 일개미는 마지막 극기를 발휘한다. 개미굴과 멀리 떨어진, 어둠이 내려앉은 사막으로 행군해 보호자의 임무를 충실히 완수하고 사라진다.2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김정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rNz6j29tPhkdqhZWA

자연에서든 실험실에서든 치명적인 전염성 균에 감염된 호리가슴개미속Temnothorax 개미는 마치 자신이 군락에 위험이 된다는 것을 아는 듯 행동한다. 감염된 호리가슴개미는 감염병의 확산을 늦추는 데 필요한 ‘물리적 거리 두기’를 그야말로 극단으로 실천해 자매 개미들과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고 씩씩하게 군락을 떠나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5 -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김정아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h8b96aFTebkqax2f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진나라는 면적이 사방 1000리인 영토가 5개입니다. 그러나 농작물을 재배하는 토지가 10의 2가 못 되고, 경전의 수가 100만에 미치지 못합니다. 거기에 있는 늪과 호수, 계곡, 큰 산과 하천의 자원과 재화도 다 이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구가, 넓은 땅과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 할 수 있습니다.86 - 《상군서》 〈내민徠民편〉

 
상앙이 말했다시피 진나라는 국토에 비해 인구가 적었나 봅니다. 사람이 국가 힘의 근원이자 자원이니 인구를 어떻게든 늘려야 하는데, 출산을 통해 당장 늘리기는 힘든 일이죠. 그래서 상앙은 인구를 외부에서 데려와 채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 <제자백가, 인간을 말하다>, 임건순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yQ1guWUUDnbwgiA5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묵가 사상과 유일신론

성악설론자인 묵자는 인간 밖에서 어떤 기준을 찾고 그 기준으로 인간을 바꾸고 사회를 개조하여 다스려가고자 했는데, 늘 하느님을 말했습니다. 그런데 사회과학의 성격이 짙은 묵자의 철학이 갑자기 신학으로 도망가는 것일까요? 그러나 동양에서 몇 되지 않는, 거의 유일한 유일신론자인 묵자의 철학을 신학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유일신론을 말하지만 그는 신학자는 아닙니다. - <제자백가, 인간을 말하다>, 임건순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6QmkbrfqHzMQmUXm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묵가 사상과 민주주의

묵가는 하느님이라는 권위를 제시하고 인간을 법과 제도를 만드는 사회적 과정에 참여하게 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종교적 권위가 사람들을 적잖이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오늘날에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동감할 것입니다. 또 나라와 천하를 다스리는 큰 원칙과 기준을 만들 때 갑론을박의 토론장에 사람들을 참여하게 하면, 아무래도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대원칙을 더 잘 존중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묵자는 사후에도 설득이 필요하다고 본 것 같습니다. - <제자백가, 인간을 말하다>, 임건순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NwCfdRNtnAfCpsA6

토론을 하고 합의를 이끌어내고 이후에 설득을 하자? 좀 현대적인 것 같지요? 더 정확히 말하자면 서구적인 냄새가 날 텐데요. 사회계약, 사전 토론, 사후 설득을 말한 것을 보면 정말 동양사상이 맞나 싶기도 합니다. 《묵자》 후반부에는 후기 묵가가 만들었다는 《묵경墨經》이 있는데, 《묵경》을 보면 토론·합의·논리·논증·수사 등등 더욱 서구적인 냄새가 많이 납니다. 내 주장을 이해하게 하고,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며, 근거를 통해 의견을 분명하게 전개하고, 서로 같은 점을 찾아내는 소통의 기술과 설득의 방법들이 쓰여 있는데, 그것을 보면 묵자는 정말 토론과 설득을 통해 인간이 어떤 대원칙과 기준들을 잘 지키는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본 것 같습니다. - <제자백가, 인간을 말하다>, 임건순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z7GE6zX91tRKbu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