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의 추락

병합파는 겨우 27개의 목을 알아본 반면, 세분파는 무려 48개의 목을 식별했다(다시 말하지만 두 무리 모두 같은 새들을, 즉 세상의 모든 새를 보고서 그렇게 한 것이다). 그런데 또 다른 초병합파 분류학자들은 모든 새가 사실은 훨씬 작은 무리를 이룬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새들은 자기들만의 강은 고사하고 목도 이룰 자격도 없으며, 대신 모든 새를 한 과에 다 몰아넣어 파충류 목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 실상은 어느 쪽인 것일까? 새들은 자기들만의 목을 갖출 자격도 없는 걸까, 아니면 스물일곱 가지 혹은 마흔여덟 가지 목으로 이루어진 걸까?
분류학자들이 세계의 여러 새 종들을 속으로 묶으려 했을 때 상황은 더욱 걷잡을 수 없이 치달았다. 병합파는 전부 2,600가지 속을 제시했다. 한편 이른바 초세분파는 바로 그 똑같은 종들을 1만 개가 넘는 속으로 분류했다. 생명의 세계는 분명 그중 하나를 명백히 옳거나 틀린 것으로 만들 방식으로 조직되었을 것이다. 새가 그렇게 분류하기 어려운 것일까? 그러나 특별히 새가 어려운 것은 결코 아니었다. 이런 일은 분류학의 지도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그것은 병합파–세분파 다툼의 본성이었고, 이 불행은 정점으로 치닫고 있었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5349

그의 논문(마이어의 논문)을 읽는 사람이라면 계속해서 떠올리게 되는 질문(하필 이렇게 배치하고 이렇게 이름 지은 이유는 무엇입니까?)에 답하기 위해, 마이어가 그 근거가 된 어떠한 도해나 데이터나 수치도 제공하지 않은 것은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의도적인 일이다. 왜냐하면 한 사람이 자연의 질서에 대해 갖는 자신의 감각, 자신의 인지를 수량화할 방법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뻐꾸기들을 보고 또 보고, 종다리들을 보고 또 보고, 그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무수한 특징에 관해 생각해본 뒤 형성되는 그 강력한 질서의 감각, 자신만의 전문적 견해에 도달하게 되는 무의식적인 숙고의 과정을 설명할 방법은 없다. 실제로 분류학자가 말할 수 없는 것, 어쩌면 말하기를 시도해서도 안 되는 어떤 것이 존재한다고 분명히 의견을 밝히는 분류학자들도 일부 있다. 심슨이 분류학자에 관해 쓴 글을 봐도 그렇다. “어쩌면 테니스 선수나 연주자처럼, 분류학자도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관해 내적으로 너무 깊은 성찰에 빠져들지 않을 때 그 일을 가장 잘할 수 있다.”15
이 말은 분류학자가 테니스 시합에 나가거나 음악회에서 연주를 하고 있다면 괜찮은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마이어와 애머던은 과학자임을 자처하고 있었으니, 바로 이런 모호한 직관, 말로 표현하기가 불가능한 무의식적인 질서의 감각, 린나이우스에게는 너무나 훌륭한 수단이 되어주었던 이 모든 것은 점점 더 그들을 민망하게 만들고, 점점 더 과학적으로 엄격해지는 생물학자들의 집단에 들어가고 싶어 하는 분류학자들의 시도에 계속해서 큰 짐이 되고 있었다. 분류학은 나선을 그리며 추락하는 중이었고 그 무엇도 그 추락을 멈출 수 없어 보였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53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의 세계에 대한 린나이우스의 비전은(다른 모든 이의 비전도 마찬가지로) 불변의 생물들로 가득한 세상의 비전이었다. 생물 종은 누구나 알고 있듯 영원히 불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 곧 다윈이 따개비의 도움을 받아 진화에 대한 깨달음으로 세상에 충격을 가할 참이었다. 그럼으로써 다윈은 수많은 사람이 생명의 세계와 단절되고 물고기는 죽음에 이르게 되기까지, 전에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많은 일이 펼쳐질 무대를 마련하게 될 터였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지음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iKF8fXuUuNF4Kcf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린네와 자연사 박물관
- 서구 주요 도시에 자연사 박물관이 있는 이유
- 대항해시대의 경이

린나이우스는 인류 역사에서 유난히 경이로운 순간을 살았다. 바로 사람들이 생명의 세계에 홀딱 반해 사랑에 빠져 있던 순간이었다. 식물을 모으고 식물에 경탄하는 일을 사랑했던 건 결코 칼 혼자만이 아니었다. 국적과 나이와 지위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지구가 주는 풍요로움에서 자기 몫을 챙기고, 식물뿐 아니라 모든 생명의 세계를 수집하고 체계화하고 정리하여 자기만의 자연사 컬렉션을 꾸리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혀 있었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지음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dLXFb1AYmqgZHTTe6

생명의 세계가 선사하는 기쁨과 즐거움이 워낙 크게 인정받았기에 여관과 선술집들은 자기 컬렉션을 광고하며 손님을 유혹했다. 런던의 ‘뮤지엄 커피 하우스’라는 펍은 벤자민 프랭클린도 방문해볼 만한 곳이라고 추천했을 정도로 아주 광범위한 전시품을 자랑했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지음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cNy4UmQFytP2qpHz5


정말 많은 사람이 정말 많은 표본을 갖고 있다 보니 생명의 세계를 질서 짓는 방법에 대한 대중의 욕망이 이전에도 이후에도 본 적 없는 엄청난 규모로 널리 퍼져나갔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지음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878qKxaZhCbQ7fH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움벨트

내가 맞추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던 퍼즐의 작은 조각들이 제자리로 맞아들어갔다.

아프리카부터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까지 언어와 문화, 사회, 살아가는 장소가 서로 다름에도 사람들이 비슷한 분류를 하는 이유를 바로 움벨트가 설명해주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모두 똑같은 움벨트를 갖고 있으니, 우리가 똑같은 자연의 질서를 알아보고, 똑같은 종류의 민속 분류학을 거듭 되풀이해서 구축하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움벨트는 또한 심리학자들이 뇌 손상 환자들을 연구하는 동안 줄곧 추적하던 것이기도 했다. 생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잃은 그 가련한 영혼들의 뇌에서 사라졌거나 고장 난 것이 바로 움벨트였다.

아직 혼자 앉아 있을 수도 없는 작고 앙증맞은 아기들에게 생명의 세계란 과연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것 역시 움벨트였다. - <자연에 이름 붙이기>, 캐럴 계숙 윤 지음 / 정지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JxwDMTfo7YcD9WG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롭힘과 학대로 인해 불안, 비합리적인 사고 패턴, 방어적 반응을 하는 신경망이 기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수도 있다. 사소한 일에도 과하게 경계하고 벌컥 화를 낸다면 그동안 괴롭힘과 학대를 당해 상당히 방어적이고 공격적인 공황 상태의 신경망이 발달해서, 기본 값으로 설정된 그 신경망이 계속 발화하고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뇌는 이런 반응 행동을 통해 너무 오랫동안 자신의 안전을 지켜왔기 때문에 이런 행동의 달인이 되었다. 이런 공격적인 반복 행동이 우리 뇌를 형성해 온 것이다. - <괴롭힘은 어떻게 뇌를 망가뜨리는가>, 제니퍼 프레이저 / 정지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RsjJ5n6JA9UN2Hac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