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친부모 + 일반 양부모 = 17
일반 친부모 + 범죄인 양부모 =17
범죄인 친부모 + 일반 양부모 = 20
범죄인 친부모 + 범죄인 양부모 = 25

친부모가 범죄자인 아기를 범죄자로 만든 것은 아기를 입양한 범죄자 가정이 아니라 그들이 아이를 키운 지역이었다. 범죄 발생 빈도는 지역마다 다르고, 덴마크의 시골 지역에서는 높은 범죄율을 보이는 곳을 찾기가 매우 힘들 것이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jSvXe12YfrjyEYW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부모가 범죄자인 아기를 범죄자로 만든 것은 아기를 입양한 범죄자 가정이 아니라 그들이 아이를 키운 지역이었다. 범죄 발생 빈도는 지역마다 다르고, 덴마크의 시골 지역에서는 높은 범죄율을 보이는 곳을 찾기가 매우 힘들 것이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jSvXe12YfrjyEYW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빈 시간과 양육가설

오늘날에는 어떤 아이는 선천적으로 못되게 태어난다는 개인 차원의 설명이나 집단 전체를 매도하는 집단 차원의 설명 모두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못하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서구 문화권의 인간관은 장 자크 루소가 내세웠던 견해, 요컨대 모든 아이는 선하게 태어났고 사회(즉 환경)가 이 선한 성품을 더럽힌다는 쪽으로 돌아갔다. 루소의 견해가 낙관주의인지 비관주의인지는 잘 모르겠다. 분명한 건 루소의 설명으로는 풀리지 않는 부분이 너무 많다는 사실이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SPDs2yhWdMC1BGXa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대는 왜 반항적인가

오늘날 우리는 여러 십대 아이들의 다양한 반항 행동을 목격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청소년기 아이들을 학교에 모아놓는 현대 사회의 한 가지 특징이다. 열네 살이 되면 여자아이가 시집갈 준비를 하고 남자아이는 가정을 책임지고 전쟁터에 나가야 하는 사회에서는 반항아를 찾아볼 수가 없다. 반항의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15 열네 살이 되면 스스로를 어른으로 범주화하고 주위 사람에게도 그렇게 인정받는다면 굳이 어른들과 자신을 구별할 동기가 생기지 않는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vBzT77GbwSpdRsB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뚱뚱함과 날씬함의 유전 가능성은 0.70 정도로 성격 특성의 유전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인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유전자 탓으로 돌릴 수 없는, 즉 환경으로 인한 몸무게 차이를 가정 환경 때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부모의 행동이 자녀의 몸무게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증거는 없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gcoFcFJgRC4zY8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