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담호호지(談虎虎至), 담인인지(談人人至)

 

1. 호랑이를 말하면 호랑이가 오고, 그 사람을 말하면 그 사람이 온다.

2. 얘기를 하는데 공교롭게 그 사람이 나타나는 것을 비유하는 우리 속담으로 당사자가 없다고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경계의 뜻을 담고 있다.

 

() 말씀 담

말씀, 언론, 말하다, 이야기하다, 농담하다, 희롱하다

 

() 범 호

, 용맹스럽다, 용맹함의 비유, 사납고 모짊의 비유, 바둑 수법이름, 호구치다

 

() 이를지

이르다, 새가 땅에 내려앉다, 도래하다, 미치다, 닿다, 두루 미치다, 끝 가다, 지극히, 매우, 지극하다, 극에 이르다

 

() 사람 인

사람, 인간, 백성, , 타인, 인품, 인격

 

................................

 

담호호지’, ‘담인인지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는 우리 속담을 한문으로 바꾼 것이다. 조선 중기의 문인 홍만종(1643~1725)이 편찬한 일종의 문학 평론집이라 할 수 있는 순오지(旬五志)에는 우리 속담을 여덟 글자의 한문으로 바꾼 사례가 제법 수록되어 있는데 이 성어도 거기에 실려 있다.

 

그 사람이 없는 자리에서 그 사람에 대해 함부로 이야기하면 결국 그 이야기가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당사자에게 전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게 되면 본의 아니게 말뜻이 잘못 전달되기 일쑤여서 서로 갈등이 생기고 사이가 나빠진다. 그런 점에서 이 속담은 인간관계의 기본기를 지켜야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고사도 있다. ‘세 사람이 모이면 (없는)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뜻이다. 여러 사람이 그 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다보면 결국 없는 이야기까지 만들어낸다는 경계의 성어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Waldem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단기지계(斷機之戒)

 

1. 베틀 북을 끊는 경계

2. 공부를 게을리한 어린 맹자를 깨우치려고 베틀 북을 끊어버린 맹자 어머니의 고사

 

() 끊을 단

끊다, 절단하다, 쪼개다, 가르다, 근절시키다

 

() 틀 기

, 기계, 베틀, 용수철

 

() 갈 지

가다, (指示代名詞), -(冠形格助詞)

 

() 경계할 계

경계하다, 조심하고 주의하다, 삼가다, 타이르다, 알리다

 

................................

 

전국시대의 유가 사상가 맹자(孟子)와 관련해서는 그 어머니 장()씨의 맹모삼천(孟母三遷)’과 함께 가장 널리 알려진 고사로 흔히 맹모단기(孟母斷機)’또는 단기지교(斷機之敎)’라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데 사용한 교과서 같은 삼자경은 맹모의 교육열을 이렇게 소개한다.

 

옛날 맹자의 어머니는 이웃을 잘 골라 살았다. 아들이 공부하지 않자 베틀 북을 끊었다.” 학업에 힘쓰던 맹자가 한번은 공부하다 말고 밖에 나가 논 적이 있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맹모는 아들을 불러다 놓고는 맹자가 보는 앞에서 베를 짜기 위해 씨실을 감아 놓은 베틀 북과 짜던 실을 칼로 서슴없이 잘라 버렸다. 놀란 맹자에게 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베는 실 한 올 한 올이 연결되어야 한다. 학문도 마찬가지로 한 방울 한 방울 쌓여야만 한다. 네가 공부하다 말고 나가 놀았다는 것은 이 베와 마찬가지로 그동안 공부한 게 쓸모없어지는 것과 같으니라!”

 

이 일화에서 고사성어 단기지계(斷機之戒)’가 탄생했고, ‘결단(決斷)’이란 단어도 파생되었다. 맹자는 크게 깨닫고 열심히 공부하여 훗날 공자의 뒤를 잇는 유가의 대인물로 거듭났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Robert Lind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다정다감(多情多感)

 

1.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하다.

2.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애틋한 정이 많고 느낌이 풍부함을 일컫는 성어.

 

() 많을 다

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포개지다

 

() 뜻 정

, , 본성(本性)

 

() 느낄 감

느끼다, 마음을 움직이다, 고맙게 여기다

 

.................................

 

다정다감은 문학에서 많이 등장하는 표현이다. 사물이나 사람을 바라보고 대하는 감정이 풍부한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고려 말의 문신 이조년(李兆年, 1269~1343)배꽃에 달이 밝게 비치고라는 뜻의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라는 평시조 마지막 구절을 다정(多情)도 병이 되어 잠 못 들어 하노라라고 읊었다.

 

다정다감은 중국 역대 시인들의 시에 자주 등장했다. 대표적인 것이 송나라 채신(蔡伸, 1088~1156)의 사() 유초정에 등장하는 다음 대목이다.

 

정향(丁香) 잔가지에 맺힌 이슬

눈물처럼 떨어지네.

헤아릴 수 없는 내 수심

애간장은 토막이 나네.

이내 마음도 심약처럼 다정다감하나

저기 저 풍경과는 아무 상관 없을지니.

 

채신이 말한 심약(沈約, 441~513)은 남조 양나라의 문인으로 시단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채신과 같은 송나라 사람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7~1101)은 즉흥시 채상자(采桑子)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내 몸은 조정 밖에 있지만

나라 생각하는 다정다감을 여전히 잔뜩 품은 채

감로사(甘露寺) 다경루(多景樓)에 와 있네.

다행히 술을 얻어 지난 즐거움 회상하니

한 번 웃음에 다 날아가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Susn Matthiess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다재다능(多才多能)

1. 재주와 능력이 많다.

2. 여러 방면에서 남다른 재능을 가진 사람을 비유하는 성어다.

 

() 많을 다

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포개지다

 

() 재주 재

재주, 재능이 있는 사람, 기본, 근본

 

() 능할 능

능하다, 잘하다, 보통 정도 이상으로 잘하다, 미치다

 

..............................

 

 

다재다능의 출전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정치 교과서이자 훗날 유교의 경전이 된 상서인데 여기에는 다재다능이 아닌 다재다예(多才多藝)’로 나온다. 중국은 다재다예를 많이 사용한다.

 

중국 역사상 다재다능한 인물이 많았다. 동한시대의 과학자 장형(張衡, 78~139)은 천문학, 수학, 지리학 등 과학과 관련한 학문은 물론 문학에도 남달랐고 그 자신이 발명가이기도 했다. 중국인들은 과학의 성인이란 뜻의 별칭 과성(科聖)’으로 높여 부른다.

 

송나라 과학자 심괄(沈括, 1031~1095)은 천문학, 수학, 물리학, 화학, 지질학, 기상학, 지리학, 농학, 의학 등 과학과 관련된 거의 모든 학문에 능통했을 뿐 아니라 외교관이자 장군으로도 활약했다.

 

서양에서는 단연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다재다능의 대명사이자 전형적인 천재로 꼽힐 것이다. 그는 그림, 건축,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남다른 재능을 발휘했으며, 여러 가지 발명품을 남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게 주어진 시간을 허비했다라며 한탄했다고 한다.

 

다재다능과 뜻이 비숫한 성어로 다재다예외에 재능이 흘러넘친다뜻의 재화횡일(才華橫溢)’을 비롯하여 문무를 함께 제대로 갖추었다문무쌍전(文武雙全)’등이 있다. 반대되는 성어는 일무소장(一無所長)’이다. ‘장점이라고는 한 가지도 없다뜻이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Dre Erw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다다익선(多多益善)

 

1.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2. 오만한 성격을 비유하는 성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많을 다

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포개지다

 

() 더할 익

더하다, 증가, 느는 일, 유익하다

 

() 착할 선

착하다, 착하고 정당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 높다, 많다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는 뜻의 다다익선은 우선 그 뜻이 좋아 2천년 넘는 세월동안 수많은 사람이 인용했고,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렸다. 하지만 이 성어의 유래를 알고 나면 함부로 입에 올리기 어려울 것이다. 먼저 이 성어의 유래를 알아보자.

 

기원전 202, 5년에 걸친 초한쟁패 끝에 항우를 물리치고 서한을 건국한 유방은 천하를 통일한 후 편안한 시간에 명장 한신과 대화를 나누었다. 유방은 장수로서 한신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래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내가 군사를 거느린다면 얼마나 거느릴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진정한 명장 한신의 대답이 궁금했던 모양이다. 한신은 별생각 없이 폐하는 10만 명이면 충분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유방은 은근히 기분이 나빴다. 이번에는 다소 까칠하게 그러는 그대는 얼마나 거느릴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 대목에서 유방의 의도를 눈치 챘어야 하는데, 순진한 무장 한신은 이 질문에도 솔직히 대답했다.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라는 다다익선이 바로 이 대목에서 나온 것이다. 유방은 마음이 완전히 상해서 그렇게 잘난 그대가 왜 내 밑에 있는가라고 추궁했다.

 

한신은 그제야 아차 싶었다. 말을 잘못한 것이다. 유방의 기분을 풀어주려고 서둘러 둘러댄 말이 폐하는 장수를 잘 다루는 장수이십니다였다. 여기서 선장장(善將將)’이란 단어가 나왔고, 훗날 장수 위의 장수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 장상지장(將上之將)‘의 밑천이 되었다.

 

하지만 유방의 상해버린 마음을 돌릴 수 없었다. 얼마 뒤 한신은 모반죄를 뒤집어쓰고 삼족이 멸하는 처참한 형벌을 받아 죽었다. 한신은 토사구팽(兎死狗烹)’이란 사자성어를 남기면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다다익선뒤로 토사구팽의 그림자가 어른거렸던 것이다.

 

다다익선은 한신의 오만한 성격을 대변하는 사자성어다. 함부로 사용하면 곤란해질 수 있다. 고사를 잘 아는 사람이나 중국인들에게 섣불리 사용했다가는 건방지고 오만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로 탐득무염(貪 得無厭)’이 있다. ‘싫증도 내지 않고 욕심을 부린다는 뜻이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Ryunosuke Kiku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