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레는 피고
조개는 맛있고

단어들을 알았다고 생각했는데
실체가 없었다.

 
한단어 한단어를 생생하게 알아진것같은 효과가
이 책에는 있다

 
찔레꽂
사랑하느라
더 깊어지는 오월

 

 

 

 

 

 

 

 

 

 

 

 

 

바다를 좋아하는 당신에게.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의 서문을 베껴쓴다.

 

저는 당신이 바다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늘 바다를 동경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쩌다 찾아가더라도 회 사먹고 바닷가 조금 걷다가 돌아오고 말지 않나요? 그렇다면 당신에게 바다란 늘 그곳에 있는 파랗고 거대한 덩어리일 뿐입니다.

좋아하는 것과 잘 아는 것은 다르다고들 합니다. 제가 이 책을 쓴 이유입니다. 깊숙이 친해지게 되는 것, 어린아이처럼 깔깔대게 하는 것, 이윽고 뒤엉킨 매듭을 하나하나 매만지게 되는 것, 머물다보면 스스로 그러하게 되는 것, 말입니다. 산은 풀어진 것을 맺게 하지만 바다는 맺힌 것을 풀어내게 하거든요.

 

이 책에는 30종의 해산물(한 종은 예외입니다만)이 등장합니다. 낚시와 채취, 요리법,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사람살이가 나오죠. 섬사람 생활이 그렇듯이, 소박하면서 구체적이고 보편적이면서도 각자 뚜렷한 것들입니다.

 낚시꾼이 대어를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있자면 커다란 코끼리를 발로 밟고 있던 백인 사냥꾼이 떠오릅니다. 그는 자기보다 수백 배 큰 짐승을 죽였다는 것은 기억하겠지만, 아프리카 불타는 노을과 나뭇짐  이고 총총 걸어가는 줄루족 여인의 뒷모습과 강을 건너는 누우 떼와 소나기 뒤에 돋아나는 여린 꽃잎은 기억하지 못할 것입니다.

 큰 물고기를 낚았다, 또는 놓치고 말았거나 입질도 못 받았다, 만 기억한다면 우리 마음속의 바다는 인공낚시터 물칸처럼 초라해지고 맙니다. 우리가 아주 기가 막힌 하루를 위해 인생을 사는 것은 아니잖습니까.

 

<자산어보>는 1814년 손암 정약전 선생이 쓰신 어류학서입니다. 흑산도 바다 동식물에 대한 사전 같은 것이죠. 가치가 매우 높은 책이지만 사람들이 재미없어 합니다. 그래서 저는 200년 전 흑산도 바다와 지금의 바다를 연결해보았습니다.(매 편 도입부는 <자산어보>에서 부분 인용한 것입니다.) 그러자 그 긴 시간이 무화되면서 귀양살이의 고독을 탐구와 기록으로 바꾸었던 선생의 실천과 바다를 배경으로 한 사람들의 사연 사연이 함께 뒤엉키며 휘돌았습니다. 그것을 책으로 엮어놓으니, 바다에서 실컷 뛰놀고 난 기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에 대해 말한다면 내가 늘 이야기하고팠던 건 주름조개풀의 꽃에 대해서다. 그저 풀일 뿐인 꽃인지 아닌지도 모를 꽃을 피워 발에 채일 뿐인. 꽃이라고 해도 눈비비고 봐야 그저 꽃밥이 달렸으니 꽃이겠거니. 살아도 죽어도 눈에 띄지도 않는 그저 풀. 그 풀들의 무수함과 생명과 이야기 되지 못한 이야기 될 수도 없는
꽃이 되지 못했거나 원래 꽃조차도 아니었던, 오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지금 나 몹시 허기진데...라며...

 

늘 느끼는 거지만, 모르는 게 왜 이렇게 많은 거야를  계속 되뇌며 책을 읽었다. 섬사람. 한창훈. 그의 고향은 거문도였다. 거문도에서 나고 자라 여수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태생적으로 뭍사람들이 따라 갈 수 없는 바다 사나이만의 흥취가 이 안에는 있었다. 음식에 탐닉하고 시장 께나 돌아다니고 모르는 괴기가 있으면 찾아 보고 했건만. 안다고 생각했던 것들까지 다 엉터리로 알고 있거나, 알았나? 하고 계속 중얼거리게 된다. 내가 그렇지 뭐..

 

첫 장에 나오는 거문도에서 먹는다는 갈치국. 제주도에서는 갈치국에 호박을 넣고, 거문도에서는 엉겅퀴를 넣는다는 국. 다행히 내게는 엉겅퀴를 넣어 끓인 된장국에 대한 추억이 있어 맛이 조금은 상상이 되었다. 아직은 바다 낚시에 대한 로망을 가지고 있으나 더 늙기 전에 한 번은 이루어 볼까 싶잖아서. 이런 책을 감칠맛나게 읽는 것만으로 고달프고 시간 쓰이는 로망은 대체하기로 한다.

 

책 뒷 표지나 알라딘에 있는 광고글들은 이 책을 제대로 말해주지 못한다. 그냥 호객하는 듯한 감각적인 광고 멘트일 뿐이고. 그냥 이 책은, 말 그대로, 자산어보. 우리가 알지 못했던 바다 생물에 대한 생태학적이면서 생활적인 보고서. 바다를 동경한다해서 쓸 수 없는, 그 안에서 태어나고, 살고 있는 사람만이 쓸 수 있는. 생활글이다. 부럽다.

제주도에서는 호박을 넣어 끓인다. 거문도에는 항각구국이라는 게 있다. 이게 갈칫국이다. 항각구는 엉겅퀴ㅣ의 이곳 말이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 들에 핀 엉겅퀴를 팍팍 삶아 쓴 맛을 우려 낸 다음 된장에 버무리고 갈치 넣고 젓국으로 간 맞춘 게 항각구 국이다. 단맛의 갈치와 쌉싸래한 엉겅퀴가 잘 어울린다.
"국이 좋으니까 밥 한 그릇 먹어봐"
하면, 이 국이 있다는 소리이다. 섬사람들이 잔병치레를 안 하는 이유가 갈치와 엉겅퀴를 자주 먹어서 그렇다고들 한다. 육지로 이사간 이들이 소증을 가장 자주 느끼는 게 또 이 국이다. 이 곳에는 "갈치 뱃진데기(내장) 못 잊어서 육지로 시집 못 가겄네"라는 말이 내려 온다.

내가 아는 어떤 사내는 쇠고기와 모자반이 준비되면 일부러 소주를 마신다. 밤새 퍼마신 다음 날 시뻘건 눈으로 어, 어허, 소리를 내며 국을 퍼먹는다. 먹는 행위가 전투 같기도 하고 의약품 투여 같기도 하고 높은 강도의 몰입 같기도 하다. 그렇게 먹으면 더 맛있느냐고 물어보면 "이것은 보대끼는 맛으로 먹어"라고 한다. 속이 쓰리고 괴로울수록 더 맛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좁은 땅은 본능적으로 흙과 식물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진다. 코딱지만 한 땅뙈기만 있어도 채소를 심는다. 그리고 마당귀에 여러 층으로 화단을 만든다. 판자로 만든 층층대에는 꽃나무 화분과 분재가 촘촘하게 올라서 있으며 각 화분마다 전복과 소라 껍데기가 빈틈없이 박혀 있다. 담벼락 아래는 줄지어 수선화를 심고 탁자에는 뒷산에서 꺽어온 나리꽃이 꽂혀 있다. 동박새 키우는 집이 있기도 하다.

참숭어 알로 만든 어란이 왕왕 텔레비젼에 나온다. 아카시아 꽃이 피면 숭어가 알을 낳는다. 그 직전에 만든다.

노래미 耳魚 헤어진 사랑보다 더 생각나는 맛, 파리 날개 같은 두 귀가 머리에 붙어 있다, 고 해서 이어라고 하셨겠지만 아주 큰 것이라야 알 수 있을 정도이다. 맛도 좋다. 노래미회는 맛이 찰지고 보드랍다. 씹으면 은근한 감칠맛이 돈다. 껍질이 단단해 벗겨내기도 쉬운 편이다. 매운탕용으로도 좋다. 횟집에 가격표 대신 시가가 붙어 있는 몇 안되는 것 중 하나이다. 양식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회는 여덟 시간 정도 지난 것이 가장 맛 좋다. 죽음의 시간이 주는 맛이다. 초고추장이나 고추냉이보다는 양념된장이 더 어울린다. 여수에선 된장빵이라ㅏ 한다. 전어나 병어처럼 단맛이 나는 살은 된장이 더 어울린다. 묵은 김치에 싸먹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말아침 도매시장가기는
즐거운일이다.
때는 바야흐르
조개가 제철인데
아이가 안먹으니...패쓰.

오가피순 먹고 싶은데
박스로만 판매하신단다
해홍나물은
청산별곡에 나오는
나마자기, 나문재이다.
취나물과
톳만 사서 돌아선다
나물가게 총각 인심 좋고
활기차다.
명함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