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는 <나홀로 볼링>으로 처음 알게 됐던 저자인 로버트 퍼트넘의 <아메리칸 그레이스>가 번역 돼 나왔다. 분량과 가격이 만만치 않다. 이번 책은 하버드대 사회학과 교수인 로버트 퍼트남과 노트르담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데이비드 켐벨이 5천 7백명의 표본을 직접 취재하고 조사하며 5년간 공을들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라고 한다. 미국은 개신교 신자 비율이 높은 국가이고 역사적으로 종교와 관련이 깊은만큼 종교와 사회가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일 것이다. 책에서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모든 복음주의자들이 매우 보수적이거나 혹은 종교적 우익이라는 집단의 일원인 것은 아니다. 대부분은 신앙을 위해 교회를 다니는 것이지, 정치를 위해 다니는 것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백번 동의하고 싶다. 하지만 이것이 자신의 이익과의 충돌도 인해 사회문제로 귀결될 경우 종교는 정치가 된다. 미국의 입장이 어떨지 몰라도 한국 개신교의 현실은 그렇다. 이제 종교도 한 지향점만을 향해 하나의 세력이 주도하는 시대는 끝났다. 책에서는 다원주의 사회, 다원주의적 종교관을 우리의 의식과 삶속에 정립해야 한다고 말한다.

 

 

 

 

 

 

 

 

 

 

 

 

 

 

 

 

 

 

 

비슷한 책으로 미국 기독교의 파시즘적 면모와 보주주의적 면모를 다룬 <지상의 위험한 천국>도 함께 볼 만 하다. 종교의 정치참여에 있어 장점보단 단점을 체계화 시켜 부각시킨 책이다. 

 

 

 

 

 

 

 

 

 

 

 

 

 

 

<아메리칸 그레이스>와 더불어 한국교회의 현 주소를 되짚으며 함께 엮어 볼 책을 좀 살펴봤는데 <당신들의 기독교>와 <시민 K, 교회를 나가다>가 쉽게 떠오른다. 그리고 신학자의 다문화주의 연구서인 <더불어 사는 다문화 함께하는 한국교회>가 작년에 출간되었다. 비교적 실증적 사례가 잘 반영된 것 같다.

 

 

 

 

 

 

 

 

 

 

 

 

 

 

작년 선거철에 나온  <정치하는 교회 투표하는 그리스도인>도 한국 개신교와 정치간의 관계를 조망할 수 있는 책이다. 같은 부류의 책으로 <정치하는 그리스도인> <정치교회>가 있다. 하단에는 기독교만이 아닌 가톨릭, 불교까지 망라한 한국종교와 정치를 다룬 책들을 찾아봤다. <현대 한국의 종교와 정치> <종교정치의 새로운 쟁점들>이 거의 독보적인 이 분야의 책인 듯 싶다. 세계사적으로 참고할만한 책은 <추악한 동맹>이 제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모모 정가 9천원일 때 샀었는데 벌써 정가가 1만 1천원이나 됐다. 책이 색이 바래고 너덜너덜해져서 반값 된 김에 다시 구입하려고 한다. (5500원이면 거저지.) 미하일 엔데의 <모모>는 원래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책이었지만 한국에서는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현빈이 조카에게 읽어주던 책으로 알려지면서 책의 인지도가 급상승했었다. 작년인가, 서점에서 모모의 인쇄수를 봤는데 200쇄가 넘었던걸로 기억한다. 비록 동화적 구성이지만 어른들에게도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에 실내악을 듣는것도 괜찮고 잔잔한 아리아를 듣는것도 괜찮은데 갑자기 이게 꽂혀서 집어 들었다. 필립 글래스의 바이올린 콘체르토 1번 1 무브먼트. 기돈 크레머의 연주로만 들어서 그런지 유투브에 있는 다른게 영 귀에 들어오질 않는다.

 

 

 

 

 

 

 

 

 

 

 

 

 

 

 

 

크레머가 연주한 필립 글래스가 들어있는 음반이지만 애석하게도 지금은 품절이네. 다른데는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뜨악하는 책 한 권을 발견했다. 그것도 따끈따끈한 신간을.. 제목부터 덜덜 떨린다. <국가가 장기를 약탈한다> 원서명은 '국가의 장기'정도로 번역하면 되나? 즉, 국민의 몸이 이미 자신의 몸이 아니고 국가의 필요에 의해 국민의 신체를 약탈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는 의미인 듯 하다. 책 소개를 보면 "중국의 양심수들의 동의없이 생체로 장기를 적출"한다고 설명한다. 그것도 자국민을. 물론, 타국민은 그렇게 해도 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일본을 보면 2차 세계대전 당시 731부대로 악명을 떨치지 않았는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도 아닌 평시상황에서 그것도 자국민의 장기를 꺼내 뒷돈을 챙기는 정부라..살벌하지 않은가?

 서울의 명동이나 광화문거리를 걷다보면 마주치는 집회 무리가 있다. 날이 좋은 봄, 가을은 거의 상주하다시피 같은자리에서 집회를 하는데, 그들의 정체는 파룬궁 불법 장기적출의 실상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한 무리다. 그 곳을 지나갈 땐 그냥 일부의 문제일거라고 생각하고 무심코 지나쳤는데 여러 학자와 연구자가 모여 책까지 낸 것을 보니 예사문제는 아닌 듯 싶다. 물론 이 책은 중국에서 절대 출판될 수 없는 책일 것이다. 책이 아직 미출간이라 내용이 매우 궁금하다.

 

 

 

 

 

 

 

 

 

 

 

 

 

 

함께 읽을 책들로 퍼뜩 생각난게 이것들이다. 장기 적출이나 밀매의 내용은 아니지만 신체나 시체를 주제로 한 이야기로 이 책을 읽으면 사람의 몸뚱아리가 이렇게 될 수도 있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불편한 진실을 마구 담은 책들이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동지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생겼다. 이탈리아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주간 패션 매거진 가 20일 창간호를 낸다. "당신 서재를 보니 관심사가 정말 잡스럽다!" 라고 느낄지 모른다. 패션업계 종사자도 아니고 지망자도 아니지만 요런 트랜디한 물건은 관심이 간다. 나는 오프라인 서점에서 이미 봤는데 창간호라 그런지 구성이 약간 부실하긴 해도 앞으로 월간지의 점유율을 충분히 뺏어올만한 잠재력을 봤다. 매월 5일과 20일 격주로 발간하며 가격은 별 변동이 없는 한 3500원을 유지 할 듯 하다. 구성도 상품 나열식보다는 트랜드 전체를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만, 여성지라는 점으로 인해 남성컨텐츠가 전무하다는 점. 섹스나 연애관련 챕터가 없다는 점은 독자들이 유의해야 할 것이다. 뒤쪽엔 뷰티기사가 실려있는데 아직은 많이 빈약한듯. 비슷한 구성의 남성지로 을 들 수 있는데 이제 7호를 발간 할 예정이고 월간지이며 가격은 3800원으로 와 비슷하다. 앞으로 그라치아의 행보를 기대한다. (창간호 표지는 영화 <레 미제라블>의 여우주연인 앤 헤서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