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책을 몇 권 고르고 랜덤으로 예술분야의 책을 뭐 볼 거 없나 하고 기웃거리다 발견하게 된 책이 있다. 빌 리제베로의 <건축의 사회사>라는 책인데, 1982년에 원서가 출간돼서 그런지 사진이 아닌 볼펜으로 그린 듯 한 도판이 설명으로 나와있다. 그런데 허접한 사진보다 왠지 이게 더 정감이 간다. 한국어판은 2008년에서야 열화당에서 나왔는데, 나는 그 책을 읽었다. (이 꼭두 새벽까지 재미있게 읽었다.) 이 책은 1990년에 <현대건축과 디자인>이라는 제목으로 기진사에서 이미 출간된 적이 있다. 열화당에서는 <건축의 사회사>라는 다소 의미심장한 제목을 부여했는데, 조금만 읽어보면 제목을 붙인 이유에 어느 정도 수긍이 간다. 다만 1980년대 이후 책이 개정되지 않아서 최근 경향의 건축 이야기는 없다는 게 아쉽지만, 포스트모던 건축에 대한 책은 차고 넘치니 커버가능하다.

 

국내에 나온 빌 리제베로의 책으로는 한길아트에서 나온 <서양 건축 이야기>가 있는데 이 책은 서양 건축을 공시적으로 다룬 책이며, 하버드나 MIT등 유수의 대학에서 건축사 교재로 쓰이고 있는 책이다. 국내독자들도 건축이나 디자인을 전공했다면 기억에 있는 책일 수도 있겠다. 위에서 다룬 <건축의 사회사>의 경우 원문이 쉬운건지 번역이 잘 된 건지는 몰라도 건축사 책 치고는 술술 읽히는 편이다. 다만, 유럽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독자라면 조금의 어려움을 겪을 수는 있으나 염려할 정도는 아니다. <서양 건축 이야기>까지 술술 읽힌다면 저자 글쓰기 방식의 명쾌함이 이유일 것이다. 여담으로 이 책의 도서관 입수일자가 몇 달 되지 않는데, 책 뒤 간기면을 보니 2008년 초쇄도 아직 소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좋은 책은 빌려읽든 사서읽든 읽히면 좋은 법이니까 알음알음 많이 읽히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일런트 랜드>와 밀란 쿤데라 전집판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표지 그림이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The man in the bowler hat' (1964)과 똑같다. 밀란 쿤데라 전집판의 경우 모두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을 표지 디자인에 사용하고 있다. '중산모자'라는 번역어를 쓰기 싫어서 작품명은 영어명으로 표기해 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서인 <총으로 글을 쓸 수 없지 않은가?>와 사회과학서인 <당신도 전쟁을 알아야 한다>의 표지가 우연의 일치겠지만 굉장히 비슷하게 뽑혔다. 두 책 모두 책의 표제와 연관있게 디자인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수린재에서 나온게 그나마 덜 심심하다. 뭐, 이런 책도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가중 굉장히 짱짱한 번역으로 정평이 난 김석희의 번역으로 열림원에서 <위대한 개츠비>가 나온다. 영화 개봉에 발 맞춰 기획해 온 것으로 보인다. 번역도 좋고 뭐 기획도 좋고 다 괜찮다 이거다. 표지 누가 만들었냐. 그간 많은 문학작품 표지를 봐왔지만 21세기가 13년이나 지나고 있는 이 시기에 이딴 표지가 등장할 수 있는지.. 밑의 "한국 최고의 번역가 김석희..." 이것은 띠지이길 간절히 바란다. 열림원 정도면 좀 더 신경 쓸 수 있었을텐데 껍데기가 그저 아쉽기만.. 차라리 오른쪽의 1984에서 나온 <위대한 개츠비> 표지가 더 감각적이다. 타이포 그래피로만 이루어져 오히려 깔끔한 느낌. 조만간 영화 개봉을 즈음해서 <위대한 개츠비> 정리좀 해봐야겠다.

 

P.S - 실물 확인 결과 다행히도 '한국 최고의 번역가 김석희' 카피 부분은 띠지로 출간되었음을 밝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낌이 비스무리 하므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