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는 1~2주단위로 해오던 관심도서 목록을 순번제로 바꾸기로 했다. 내 본업이 학자나 출판업도 아니고 매일을 빡쌔게 독서에만 매진하는 인간이 아닌관계로 매주 포스팅하는데 여력이 달릴때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목록을 만들어둬야 언젠가는 내가 필요할 때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에 올 한해도 느리지만 꾸준히 달려 볼 생각이다.

 

 

 

 

 

 

 

 

 

 

 

 

 

 

독어 번역쪽에서는 인지도가 꽤 있는 안인희씨의 번역으로 헤세의 <데미안>이 나왔다. 문학동네판이며 앞으로도 헤세의 작품이 여려권 번역될 것 같다. 민음사에서는 제임스 조이스의 <더블린 사람들>이 이종인씨의 번역으로 나왔다. 판형이 커서 좀 비어보인다는 단점아닌 단점이 있는데 범우사판과 문학동네판, 펭귄판을 비교하며 보는 맛도 있을 듯. 시공사가 올해 세계문학쪽에 불을 지필 모양새다. 타 출판사에서 번역하지 않은 작품을 중심으로 목록을 구성해가는 듯 한데, 최근작으로 오귀스트 빌리에 드 릴아당의 <미래의 이브>를 펴냈다. 과학소설의 기원이라고 하며 작품이 쓰여진 시기는 1877년의 프랑스다. 그 당시 과학이 지금과 비교해 뭐 대단할게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작품은 사뭇 궁금함을 자아낸다.

 

 

 

 

 

 

 

 

 

 

 

 

 

 

윗 줄에 한 출판사로 도배를 하기가 좀 뭐해서 나눠서 쓰기로 했다.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가 미하일 엔데의 <모모>를 번역한 한미희씨의 번역으로 나왔다. 80년대까지만해도 '차륜 밑에서'라는 제목으로도 많이 나온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는 언제 읽어도 변하지 않는 한국교육의 실태와 어쩜 그리도 잘 맞는지 모를 일이다. 민음사판을 갖고 있는데 구해지는 대로 볼 참이다. 시공사에서 올 초에 다작을 내놨다. 어쩌면 내가 작년 마지막주에 발견을 못했을 수도 있다. <내 책상 위의 천사>는 영문학의 범주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우리에게는 생소한 문학인 뉴질랜드 문학이다.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작가가 뉴질랜드에서 쓴 진짜 뉴질랜드 문학이란 말이다. 후에 영국에서도 발간되어 좋은 반응을 얻은 작품이라고 한다. 이 작품은 1994년 초역 된적 있다.

 

 

 

 

 

 

 

 

 

 

 

 

 

 

참고로 말하지만 나는 문학동네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ㅋㅋㅋ) 세 줄 연속 문학동네 책이 첫머리에 오는 이유는 우연의 일치다. <겨자 빠진 훈제청어의 맛>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어쨋건 이런 소설이 나왔다. 영미권 미스터리 문학상을 휩쓴 작품이라고 하며 <파이 바닥의 달콤함>과 <꼭두각시 인형과 교수대>에 이은 시리즈 작품이라고 한다. <업둥이 톰 존스의 이야기>는 문학과지성사의 대산세계문학전집 시리즈 최신간인데 헨리 필딩이라는 작가가 썼고, 최초의 영국 현대소설이라고 불린다. 분량이 만만찮다.

 

 

 

 

 

 

 

 

 

 

 

 

 

 

현암사에서 <그림 형제 민담집>이 두꺼운 양장본으로 출간됐다. 그간 그림형제 책은 많았지만 이 정도로 깔끔하게 집대성 해놓은 책은 없었다. 관심있는 사람에게는 충분한 소장가치가 있다. 미야베 미유키나 아야츠지 유키토 외 작가 9인의 단편소설로 채워진 일본미스테리 단편집 <혈안>이다. <체인지킹의 후예>는 연말에 나온 듯 보이는데 이제 봤다. 문학동네 소설상 수상작이다.

 

 

 

 

 

 

 

 

 

 

 

 

 

 

권혁웅과 서영채의 평론집 <입술에 묻은 이름>과 <미메시스의 힘>이 나란히 나왔다. 출간일은 후자가 더 빠른데 유통은 같이 시킨 듯 보인다. <명문자의 조건>은 흡사 <니체의 말>같은 형식이다. 수많은 문장가, 사상가들이 글쓰기에 대한 핵심을 말해준다. 진짜 핵심적 문장만 모아놓은 것이다.

한번 보고 생각을 달리할 기회를 만들어 주는 듯 하다.

 

 

 

 

 

 

 

 

 

 

 

 

 

 

<한국 철학 콘서트>는 서양철학에 더 관심있는 나같은 사람에게 한국철학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책이다. 한국 철학에 관한 21명의 사상가들의 궤적을 훑어준다. <코기토와 무의식>은 지젝의 새로운 책이다. 지젝에 대해 큰 관심이 아직 없어 뭔 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언젠가는 보겠지. <화에 대하여>는 로마시대 세네카의 이른바 '화 다스리는 법' 정도로 할 수 있겠다. 불현듯 틱낫한의 <화>가 생각난다.

 

 

 

 

 

 

 

 

 

 

 

 

 

 

고은의 작품은 아니고 1973년~1977년까지의 개인 일기를 엮은 <바람의 사상>과 대담을 엮은 <두 세기의 달빛>이 나왔다. 고은 시인의 작품세계를 넘어 개인사와 인물에 대한 면모를 알 수 있는 기회인 것 같다. <괴테와의 대화>가 생각나기도 하는구만. 그래도 한국 문학계의 어른이니까. <철학의 세가지 질문>은 인간이 항상 품고있는 의문점 세가지를 철학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개인적으로 맘에 든 책.

 

 

 

 

 

 

 

 

 

 

 

 

 

 

<크라센의 읽기 혁명>은 언어학자인 스티븐 크라센이 일러주는 '잘 읽는 방법'이다. 다양한 수치와 통계를 통해 이론적 신뢰감을 더해주면서 우리를 잘 읽도록 도와준다. 함께 골라본 책으로는 <어느 독서광의 유쾌한 책 읽기>인데 국제기구에서 일해온 저자의 경험을 살린것이 돋보인다.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는 시리즈 신간이라 추가해봤다. 재미없을 것 같긴 하다. 그래도 푸코니까.

 

 

 

 

 

 

 

 

 

 

 

 

 

 

<천황의 하루>는 뭐 따지자면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쯤 되려나. 근데 왜 하필 천황이라 했을까. '일왕의 하루'는 이상했나.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은 사르트르의 <존재와 뮤> 강해라고 한다. 아.. 빡쌘 책이 될 듯 하다. 나는 일단 패스하련다.

 

 

 

 

 

 

 

 

 

 

 

 

 

 

<한자견문록>은 다양한 한자 어휘 365개를 문화사에 맞게 해석하고 살을 붙인 책이다. 가격은 5만2천원인데 하루에 하나씩이라면 140원꼴로 한자어 수십개를 익히고 속깊은 뜻까지 알 수 있다. 비싸지만 갖고 싶다. <2033 미래 세계사>는 <르몽드 세계사>를 출간한 휴머니스트에서 나온 책이다. 미래사라니까 억지스럽지만 궁금해지긴 한다. <풍수란 무엇인가>는 '풍수, 그 구라의 역사'라는 부제를 달고 나왔는데 저자는 이 '구라'의 의미를 '이야기' 와 '맞지 않는 이야기'의 중의적 의미로 사용한다. 꼭 틀리지는 않지만 또 100% 맞다고 할 수 없는게 풍수란 이야기.

 

 

 

 

 

 

 

 

 

 

 

 

 

 

 

<위기 반란 대안>은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에서 나온 무크지다. 정식 시리즈는 아닌데 아마도 이 무크지도 나름대로 시리즈화를 꾀하는 것 같다. 일단 1호라는 지령이 붙었기 때문이다. 현 국제정치경제학의 상황에서 국내외 학자들의 글이 실려있다. 이어지는 GPE 총서 시리즈도 기대된다. 다음편이 막스베버의 <사회경제사>이기 때문이다.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는 경제전문 출판 부키에서 나온 책이다. "자원이 유한하기 때문에 성장이 계속되리란 생각은 버려야 한다"는게 키워드 인듯 하다. <내 이름은 욤비>는 아주 독특한 책이다. 소수자 중에서도 소수자인 '난민'에 관한 문제다.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머나먼 이역만리 대한민국에 난민신청을 해 난민으로 살아가기까지 한국에서 당했던 불합리와 고생담, 그리고 또 다른 난민을 위한 난민지정 절차등을 알려준다.

 

 

 

 

 

 

 

 

 

 

 

 

 

 

<무조건 팔아라>는 광고기획자 데이비드 오길비의 평전격으로 보면 된다. 민음사에서 예전에 나왔던 스티브 잡스를 소개하는 책인 같은 책이다. <권력의 언어>는 독일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인 마티아스 뇔케의 책이다. 요지는 언어에서의 '주도권'이 가지는 힘이다. <성공한 국가 불행한 국민>은 16년여간 증권 애널리스트로 활동한 저자의 활동을 바탕으로 현실경제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비교적 잘 짚은 책이다.

 

 

 

 

 

 

 

 

 

 

 

 

 

 

<엄마와 딸>은 시인이자 교수인 김달자의 자전적 에세이다. 딸과 엄마로 살아가기의 고단한 세월을 보여준다. 그래도 남들보단 편했을 것 같다. 고생의 절대적 기준이 없으니.. <절망은 나의 힘>은 카프카의 생전 일기와 편지를 모은 책이다. 카프카의 문학작품과 함께 그의 생각과 삶의 궤적을 읽어볼 수 있어 좋다. 이스마일 카다레의 <사고>를 빠뜨려서 채워놓는다.

 

 

 

 

 

 

 

 

 

 

 

 

 

<실험실의 명화>는 미술작품을 과학적 실험으로 재미있게 분석한 책이다. 그리고 미술속에 숨어있는 과학적 상식들도 알려준다. <연극 기호학>으로 잘 알려진 안 위베르스펠트의 <관객의 학교>가 번역됐다. 이것 역시 공연기호학에 방점을 찍고 있으며 90년대 출간된 <연극 기호학>의 심화편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래에 훌륭한 삽화 또는 만화가 들어있는 책이 다시 나오거나 원작에 맛을 더해주기 위해 첨가되어 나왔다. 영화로도 이미 한국에 소개된 바 있는 르네 고시니와 장 자끄 쌍뻬의 <꼬마 니콜라>가 합본판으로 양장노트와 함께 한정수량 발간되었다. 까뮈 전집을 낸 책세상에서는 <이방인>에서 일러스트가 추가된 일러스트판 <이방인>을 출간했다. 판형도 크고 보기는 시원원하지만 작품의 맛을 오롯이 느끼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판형이 너무 크면 집중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린책들의 임프린트인 미메시스에서도 그래픽노블의 실력자인 크레이그 톰슨의 <담요>가 번역되어 나왔다. 꼭 청소년이나 아이들을 한정했다기 보다 타겟층을 성인까지 넓힌 그림책들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동네에서 나온 <파우스트>에는 낭만주의 시대 프랑스 화가인 외젠 들라크루아의 삽화가 들어가있다. 개인적으로 좋게 읽었던 파우스트 판본 중 하나이다. 반면에 애들용으로 나온듯 보이는 문학동네의 <레 미제라블>은 그림은 좋으나 원작에 비해 내용이 너무 부실하여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마지막으로는 미국의 산별노조의 역사를 그린 <워블리스>라는 그래픽 노블이다. 무겁고 재미없는 주제를 역동성 있는 그림으로 그려내서 재미있게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과 지성사에서 의미있는 책을 출간했다. 바로 <한국 현대 소설사>인데 두권으로 나왔고 전체 분량이 1400여쪽에 이른다. 찾아보니 한국 현대소설사를 이만큼 다룬 책도 드문것 같고 나왔어도 분량면에서 밀린다. 저자는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인 조남현 교수다. 특이점으로는 이번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에서 출간된 <한국 문학잡지사상사>라는 책도 동일 저자의 책이다. 엄청난 분량의 저작물을 동시에 출간했으니 그간의 노고를 엿볼 수 있다. 추후 현대 소설사를 배우는 국문학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책인 것 같다.

 

 

 

 

 

 

 

 

 

 

 

 

 

 

 

참고 해 볼 도서를 찾아봤는데 민음사에서 나온 <한국 현대 시사>와 <한국 소설사> 근,현대편 1권이 있는데 완간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고 고려대학교출판부에서 나온 <한국현대소설사론>이라는 책이 이 분야의 참고할만한 도서인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새해벽두부터 세권을 질렀다. 한권 한권 다 다른곳에서 따로 샀다. 미안하지만 알라딘에서 산건 없다. 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는 알라딘 중고샵에서 완전 저렴하게 득템을 했으니 알라딘에서 산게 맞구나. 전혀 살 생각이 없었던 책인데 이렇게 또 충동구매를.. 또 <데카메론> 2권은 1권 다 읽은 찰나 타 쇼핑몰 적립금 사용을 위해 질러줬고, <파우스트>는 동명의 영화를 보다가 빡쳐서(?) 오늘 구입해버렸다. 다른 출판사는 다 분권인데 (문학동네 일러스트판 빼고) 열린책들판은 합본이라 읽기도 편하고 40%라 싸고해서 구입. 원래 책세상판 파우스트를 가지고 있었는데 1권이 사라진김에 겸사겸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터 벤야민 선집 두권이 추가되면서 도서출판 길에서 나올 선집 열권중 8권이 발간완료됐다. 나머지 두권은 시리즈번호 7번인 <카프카와 현대의 미로>와 8번인 브레히트와 유물론이 남아있다. 길에서 나오는 선집이 완간을 얼마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새물결에서 나온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6권짜리 분권 시리즈 중 절반정도가 절판에 또는 출판사 품절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아케이드 프로젝트> 자체가 전공자가 보기에도 부담스러울 정도로 너무 광범위한 범위의 저작들과 파편적인 담론을 모아놓은 것이기 때문에 찾는이가 없는건 어쩌면 당연한 현실일지도 모른다. 그런 상황에서 벤야민의 선집 두 종의 출간 소식은 기쁘기 그지없다. 우선 <서사, 기억, 비평의자리>를 구입해서 보려고 한다. 이 안에서 헤벨, 발레리 등의 여러 작가에 대한 담론을 펼치고 있다. 특히 헤벨의 '뜻밖의 재회'라는 작품을 특정하게 다루는 파트가 있는데 그 작품은 창비에서 나온 <어느 사랑의 실험>이라는 독일 문학 단편집에 수록되어있는 작품이다. (이야기 자체가 좀 막장스러운 면이 없잖아 있다.) 그래서 쌍으로 참고해서 볼만 하고, <괴테의 친화력>은 작년인가 제작년에 이미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한 기억이 있다.

 

 

 

 

 

 

 

 

 

 

 

 

 

 

 

 

 

 

 

 

 

 

 

 

 

 

 

 

그 외 출간되었던 선집 작품들을 나열해 놓자면 이렇다. 제목들이 많고 길어서 따로 써두지는 않겠다. 여기서는 딱 두 종을 소장중인데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과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를 가지고 있다. 여력이 되면 나머지도 모두 구입을 해놓을 생각이다. 벤야민의 매체이론에 관련한 독일어 원서가 따로 있는데 그게 통으로 번역되어 나왔으면 하는 바람또한있다. 하지만 쉽지는 않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