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9PM 밤의 시간 다음, 작가의 발견 7인의 작가전
김이은 지음 / 답(도서출판)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음, 작가의 발견 7인의 작가전 시리즈' 의 일환으로 이번에 선보이는 김이은 작가의 <11:59 PM 밤의 시간> 이라는 작품을 대면하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작가 김이은에 대한 그 어떠한 사전정보도 없엇고 그러다보니 그의 작품세계나 작품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하는 백지 상태에서 이번 작품을 대하게 되고 이번 작품으로 김이은의 작품세계를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 같지만 많은 부분에 대해서 김이은이라는 작가에 대한 선입관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합니다. 단 하나의 작품으로 작가를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있을수도 없고 있었어도 안되는 일이지만요. 이번 작품은 그야말로 많은 독자들에게 상당한 임펙트를 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순수문학을 주로 접한 독자들이라면 경악을 금치 못할 정도의 충격을 받을 수 있을 것이고, 장르소설을 주로 읽는 독자들에게도 어느 정도의 임펙트를 끼치는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네요. 굳이 이번 작품을 장르로 제단해야 한다면 심리스릴러계열이라고 봐야 할 듯 한데요. 좀더 구체적으로 사이코패스계열이라고 해야할까요.


          먼저 이번 작품을 읽고 가장 먼저 와닿는 점은 리뷰에 대한 호불호가 극명하게 양분될 수 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안티쪽에서 보게 되면 막장 드라마라고 보여질 수 도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인간 내면의 솔직한 악의 모습을 제현한 작품이라는 찬사를 들을 수 도 있는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내러티브의 짜임새나 스토리의 구성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연기력과 결말 부분의 반전... 속되말로 표현하면 그저 그런 부류의 작품입니다. 뻔한 스토리의 구성과 쉽게 예견될 수 있는 결말, 머리를 쮜어짜내면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려고 하는 추리등의 긴박감등을 찾기 힘들정도로 그저 작가가 펼쳐놓은 포장도로를 그대로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 편안한 작품이라고 해도 무방할 듯 한데요. 뭐 이러면 굳이 7인의 작가전이라는 타이틀을 달 필요성 조차 없는 작품으로 오인하기 쉽겠죠. 이번 작품이 독자들의 반응을 양분할 수 있는 힘은 다름 아닌 주인공 해선과 그의 딸 교영의 사이코패스적인 심리상태와 그 심리상태의 형성과정 그리고 그런 심리상태가 행동으로 자연스럽게 옮겨지는 과정에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행동으로 옮겨진 이후의 심리상태를 묘사하는 부분에서 여타의 범죄심리스릴러에서 보와왔던 기존의 형식과는 사뭇 다르게 접근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상당히 리얼리즘이 강하게 묘사되고 있는 해선의 심리상태에서 간혹 혹시 작가의 경험? 뭐 이런 느낌마저 자아낼 정도로 소름돋는 서사들을 대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순진무구해도 모자랄것 만 같은 교영이라는 어린애의 심리상태를 엿보는 순간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눈쌀을 찌푸리게 되면서 거부 본능을 유감없이 발동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교묘한 감정의 이입을 끌어내는 서사들 역시 작가의 필력이라고 봐도 무방하리라는 생각을 갖게 하고요. 내러티브 중간 중간에 녹여놓은 성애의 묘사 역시 독자의 호흡을 가쁘게할 만큼 적나라하면서도 애로틱하고 충동적인 느낌을 강하게 전달합니다.


          이번 작품을 한마디로 리뷰하기엔 뭔가 석연치 않는 묘한 뉘양스를 주고 있는데요. 작품을 주시하는 관점적인 즉 시각적인 측면은 충분히 머리로 십분 이해되지만 수용하는 측면에서는 절로 거부 반응이 일어나는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악' 이라는 가치관과 그 '악' 이라는 본성이 과연 어느 선까지 어필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수긍하고 인정해야는가에 대한 흔들리는 우리들의 현 주소를 작가는 꼽집어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누구나 내재되어있을 수 있는 그런 심리적인 태제를 공공연하게 작품으로 끌어낸 부분에 대한 반응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라미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4
윌리엄 골딩 지음, 안지현 옮김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벨문학상 수상자 윌리엄 골딩은 이미 <파리대왕> 이라는 작품으로 국내 독자들에게 인간 본성의 야만성과 도덕성 문제를 실랄하게 다루면서 작품성까지 겸비한 사회풍자소설의 백미를 보여준 작가입니다. <피라미드> 그 후속작으로 영국사회 전반에 깊게 새겨져 있는 "계급" 이라는 또 하나의 성역에 대해서 풍자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올리라는 주인공이 스틸본(물론 가상의 도시죠) 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성장하면서 겪게 되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영국사회 뿌리 깊게 각인되어 있는 "계급성" 과 그로 인한 인간 본성의 왜곡등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번 작품이 <파리대왕> 이라는 작품 내지는 그의 또 다른 풍자소설작품들과 비견되는 것은 기존의 우화적인 기법이나 신화에 기반을 두고 있는 작품과는 달리 직접화법을 사용한 사실적인 기법으로 내러티브를 끌어가고 있다는 점인데요. 뭐 달리 보면 자전적인 성장소설을 차용한 플롯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올리(올리버)의 성장과 옥스퍼드의 진학등이 골딩의 성장모습을 재현하면서 많은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피라미드> 뭐 작품명에서도 얼핏 작품의 전반적인 핵심 스토리는 대충 나옵니다. "계급" 이라는 의미는 지금 현재에도 아니 오히려 지금 현재가 더 계급적인 사회로 치닫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것입니다. 인류가 집단생활 내지는 조직적인 생활을 감행하면서 필요불가분하게 동반하게된 모티브이고요, 물론 동물들 사회에서도 엄연하게 존재하는 담론입니다. 먹이사슬인 피라미드 구조 최상층에 위치하는 이들에게 "계급" 은 "질서" 와 거의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우리는 그 동안 수없이 많은 사회풍자소설들을 접햇고 이러한 작품들 역시 거의 대동소이할 정도의 컨셉트와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결말적인 부분에 이르러 아! 하고 우리의 내면을 한번 되돌아 보게 하는 작품에 상당히 익숙해져 있는 것도 사실이죠. 그런데 골딩의 <피라미드> 라는 작품은 상당히 이색적이고 유니크한 설정을 가지고 있는 작품이라 흥미를 자아내게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제목을 무시하고 작품속으로 들어가면 어 이거 완전 성장소설 같은데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됩니다. 물론 작품 여기 저기에 상당히 강력하게 팁을 주고 있지만 첫번째 스토리는 그야말로 한적한 작은 마을에서 성장하는 올리라는 소년의 성장소설이라는 범주를 크게 벗어나버리지 못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물론 군데 군데 무거운 담론의 일부가 고개를 처들고 있지만 올리와 이비 그리고 바비 사이에서는 벌어지는 촌극은 성장통의 일환으로 밖에 받아들여지지 않는게 사실입니다. 첫 경험의 서사와 성애의 묘사가 신선한 느낌을 선사하면서 무거운 담론 자체를 떠올리지 못하게 하죠. 물론 두번째 스토리도 그렇고 세번째 스토리도 첫번째 스토리와는 대동소이한 느낌을 주는것이 사실입니다. 첫번째 스토리의 연장선으로 봐도 크게 무방하지 않을 정도로 이어지고 있고 마지막 바운스(돌리시부인)의 묘지에서의 회상부분 역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구조적 패러다임을 벗어나지는 않는 작품인데요. 문제는 바로 이러한 스트럭쳐가 아주 그것도 상당히 교묘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파리대왕> 의 경우 우화적 기법 내지는 신화적인 체체의 차용으로 내러티브를 한층 가열시키면서 끌어갔다면 이번 <피라미드> 정말 노멀한 분위기 그대로 나이브한 그 자체라고 해야할 정도로 사실적으로 서사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입니다. 작품을 다 읽고 한번 더 리뷰해 보면 더 이말에 공감하게 될텐데요, 올리를 중심으로 스틸본 마을에서 벌어지는 하나 하나의 소사들이 심지어 인물들이 무심코 내뱉는 단어 하나 하나에 계급의 피라미드가 그대로 내포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보이게 되면서 깔끔한 성장소설에서 상당히 무거운 담론을 품고 있는 작품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죠. 근데 말이죠 오히려 이러한 기법이나 구조가 왠지 이번 작품과 딱 맞아떨어진다는 느낌을 강하게 주는것이 독자들로 하여금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 작품이 가장 특색은 바로 올리라는 주인공이 드러나지 않지만 정해진 계급이라는 틀속에서 성장하면서 주변의 환경과 그 속에서 벌어지는 소사들을 사실적인 분위기에서 한땀한땀 그려 낸다는 점에도 있지만 무엇보다 올리라는 인물 역시 그 계급적인 구조를 그대로 인지하고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 솔직한 담론으로 독자들에게 어필된다는 점입니다. 계급적인 피라미드 구조를 타파하기 위한 영웅적인 내러티브나 그 피라미드속에서 어떻게 하던 발버둥 칠려고 하는 스토리를 내장한 작품(얼핏 계급적 갈등이라는 긴장감을 가지고 스릴러한 분위기로 몰아가는 작품) 이 아닌 계급이라는 거대한 피라미드 그 자체에 순응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했다는 자체가 상당히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컨셉트라는 느낌을 주고 있는 점입니다. 내러티브 전반에 걸쳐 그 어떠한 긴장감(올리가 이브를 꼬시는 초반부의 스토리는 상당한 긴장감을 불러오지만요) 이나 극적인 흐름을 자아내게 하는 스토리의 반전 같은 거 하나 없이 작품을 써내는것도 실상 대단하다고 할 수 있을정도로 속도가 나지 않는 작품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라미드> 가 독자들에게 던지는 화두는 다름 아닌 같이 한번 현실을 사실적으로 음미해보자라는 참여성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계급이라는 거대한 담론에서 살아가면서 그 자체를 부정할 수 없다면 어떻게든 계급이라는 자체를 제대로 이해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생각,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그 진득한 맛을 제대로 전달해주는 작품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피라미드> 가 계측의 구조를 형상화한 도형이 아니라 어쩌면 파라오의 무덤처럼 어느 누구도 벗어날 수 없는 무덤이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되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글을 읽는 사람에게 영원한 저주를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42
마누엘 푸익 지음, 송병선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미여인으로 국내 독자들에겐 낯설지 않는 작가죠. 파격적인 구조의 파괴와 인간 본성의 심연을 터치하는 붓 무엇보다 마누엘 푸익의 유니크한 작품세계를 감상할수 있을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2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32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로도 곧 계봉될 예정이니 원작과 비교해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있을것 같고, 무엇보다 유대민족의 애환이 담긴 작품이라 한번쯤 읽어볼 작품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1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31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로도 곧 계봉될 예정이니 원작과 비교해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있을것 같고, 무엇보다 유대민족의 애환이 담긴 작품이라 한번쯤 읽어볼 작품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