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짝짓기 - 생명진화의 은밀한 기원 ㅣ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년의 비밀> 2
김시준.김현우,박재용 외 지음 / Mid(엠아이디)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 년 전의 비밀 4부 '반쪽을 위한 전략, 짝짓기' 방송을 기초로 그사이 새로 밝혀진 연구결과를 더해 <생명진화의 은밀한 기원 짝짓기>란 책으로 나왔네요. 사례가 풍부해 교양과학도서로 읽기 좋은 구성입니다.

생명역사의 비밀 중 짝짓기는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한 '경쟁'의 역사라 말할 수도 있겠어요.
인간의 성을 언뜻 생각해봐도 일부일처, 일부다처, 젠더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짝짓기>를 읽다 보면 턱이 빠질 만큼 놀라운 것들을 알 수 있답니다. 읽는 내내 신기하다는 소리가 끊이질 않았어요.

<생명진화의 은밀한 기원 짝짓기>에서는 저마다 독특한 짝짓기 패턴 생활 양상을 동, 식물 생명 전반으로 확장해 소개합니다.
진화 역사상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구 환경에서 살아남은 것은 바로 새로운 유전물질을 흡수해 자신을 바꾼 생명들입니다. 암컷과 수컷이라는 성이 나타나면서 급물살을 탔죠. 지구 생명의 역사에서 성이 왜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떤 것은 오히려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하는 것으로 바뀌었지만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변화해 살아남은 까닭을 여러 가설과 함께 과학계 학설을 다루고 있어요.

마침 얼마 전에 읽었던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의 계급화 사회에 관한 이야기도 언급되는데요. 공유, 균등, 안정이라는 세계국가의 표어 아래 태어날 때부터 계급이 정해져 있는 이 미래소설의 이야기는 개미와 벌처럼 역할이 정해진 사회적 집단과 유사합니다.
인간의 성 정체성에도 다양한 유형이 있듯 생물 세계에도 동성애가 있고, 다양한 젠더로 구성되어 있다네요. 동물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견되더라는 사실. 성이 번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동성애는 진화에 낭비되는 유전자일 뿐인데 생태계에서 퇴출당하지 않은 형태로 남아있지요. 그렇다면 분명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더불어 성의 목적에 대해서도요. 번식의 목적으로서의 성이 아니라 진화의 과정에서 번식과 밀접한 행위가 된 것일 뿐이라고요.
성의 목적은 본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성의 첫 시작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자신이 가지지 않은 다양한 유전자를 얻기 위한 교환 행위였어요. 종 안의 다양한 유전자 풀을 형성하기 위해서입니다. 놀라운 점은 성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생물도 꽤 많다는 것이었어요. 하지만 일부 절대적 처녀 생식의 경우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점차 사라져 성의 목적을 생각해본다면 예정된 멸종을 가는 길이라고 하네요.

다양한 교미 방식에 혀를 내두를 지경이었어요. 유전자가 자손에게 물려지기를 바라는 수컷의 눈물겨운 노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렇게해 야만 생명진화에 살아남는다니.
목숨을 내놓기도 하는 짝짓기의 사례로 우리가 흔히 아는 사마귀는 물론 벌, 가시고기 등의 이야기는 소름 끼칠 정도더라고요. 그중에서 수벌의 교미는 하복부를 폭발시키 가미가제 짝짓기라 번식을 마지막으로 삶을 마무리하지요.
그러고 보면 인간도 만만찮아요. 아기를 뱃속에서 열 달이나 품는 막대한 에너지 소모와 더불어 출산 때 도움이 있어야 가능한 형태니... 우리는 당연히 여기는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에선 출산으로 인해 사망하는 임산부가 엄청나거든요.

여러 성적 행위를 통해 인간의 여러 가지 성적 특성도 알아봅니다.
무리 내의 일부일처제가 남성에게 끼친 영향, 감정적 교류와 신뢰가 쌓이게 된 계기 등 인간만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보며 인간의 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남성의 본질이 쓸모없어져 가는 문명, 사회의 발달이 끼친 영향을 보면 왜 동안이 대세인지 재밌는 사례도 나오네요. 악습도 포함해서 다양한 문화적 전통에 의해 학습된 결과 남녀 성에 대한 사회적 태도가 차이 나는 우리 인간에게서는 성 이야기를 단순히 생물학적인 진화론으로만 해석하면 안 되기도 하고요.

성은 남자와 여자로 구분되어 있지만, 성적 정체성은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부분도 공감되는 내용이었어요. 어떤 유전자가 표준이고 비표준이라고 누가 정할 수 있느냐는 말이지요. 인류라는 종이 가진 다양한 유전자 풀의 자연스러운 발현 중 하나일 뿐, 그것을 '병'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겁니다.
<생명진화의 은밀한 기원 짝짓기>를 읽다 보면 협소한 틀을 깨뜨리게 하네요. 저마다의 방식으로 생명의 역사를 이어가는 다양한 짝짓기 진화과정, 흥미로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