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2 - 위기로 치닫는 제국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권에 이어서 12권도 계속되는 로마의 위기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고 있다. 다만 11권보다 12권의 내용인 3세기의 로마의 상황이 더 악화되었다는 것이 다른점이랄까? 오현제의 시대를 거친 로마인들은 이후 서서히 제국의 무너짐을 경험한다. 12권에서 서술되는 73년간 로마인들은 그동안은 상상도 못했던 일들을 경험한다. 황제가 적군에게 생포되는 일도 벌어지고, 황제자리 또한 보통 1년쯤. 길어야 5~6년. 그 말은 곧 한 황제가 자신의 정책을 수립하고 그것을 추진하기에는 더없이 부족한 시간이라는 뜻이다. 계속되는 야만족의 침입과 사산조 페르시아의 등장. 그리고 계속되는 내분으로 인하여 로마는 급속도로 하향곡선을 긋게된다.

이 책에서도 나오는 말이지만 어느나라이던지 발전은 비슷한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쇠퇴의 형태는 저마다의 양상을 띈다고 했다. 하지만 로마인들은 발전도 로마인답게 이루어졌지만, 쇠퇴에 이르러서는 점점 로마인답지 않게 변해가는 모습을 보인다. 로마인이 로마인답지않게 변하는 것. 그것이 결정적으로 제국이 위기에 직면하는 원인이 아니었을까? 기독교의 교세확장과 야만인의 침범, 경제력 약화(스테그플레이션의 발생),자질이 부족한 황제들의 등장. 그리고 로마인 특유의 정신을 잃은 것 등이 모두 한 번에 모여서 대 제국인 로마에게 칼날을 들이댄것이 아니었나 싶다. 그 동안 로마인들은 자신들에게 들이대여진 칼날을 무디게할 능력이 있었다면 3세기의 로마인들은 그 능력조차 상실한 채 야만인들에게 휘둘리는 모습을 보인다. (사실 야만인들도 발전하여 상대하기 어려워진것도 사실이지만..) 앞으로 남은 13권~15권에서 로마가 어떻게 그려질지 궁금해진다. 오랫동안 기다려서 읽은 책이니만큼 매우 흥미진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켄 블랜차드 외 지음, 조천제 옮김 / 21세기북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씨월드에서 하는 범고래 쇼를 보고 의문을 가진 한 사람이 조련사에게 그 비법을 묻고 그 비법을 인간관계에 적용시켜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활을 이끌어간다는 내용의 책이다. 분량도 그리 많지 않고 내용도 흥미로워서 생각보다 빨리 읽어내려갔다.

   이 책은 범고래 조련사인 데이브와 최고의 경영자라고 불리는 앤 마리의 조언. 그리고 그 조언을 삶에 적용하고자 하는 웨스의 이야기이다. 이 책에서는 긍정적인 면은 강조하라는 말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사람들은 흔히 일을 잘하고 있을 때에는 침묵을 지키다가 일이 잘못되면 뒷통수 치기처럼 혼을 내는데 그럴것이 아니라 일을 잘하고 있을 때는 일을 잘 하고 있다고 그 과정을 칭찬해주고, 만일 일이 잘못된다면 그 원인에 대해서 같이 생각해보고 때로는 자신이 책임을 질 줄 알아야 된다고 했다. 직장에서든, 가정에서든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는 건 힘든 일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그런 힘든 일을 습관화한다면 어려운 일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을 부정적으로 보지 말고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칭찬을 한다고 해도 그것에 진실이 담겨져있지 않으면 안된다. 사람은 아무리 상대방의 칭찬에 기분이 좋아진다고 할 지라도 그것이 그 사람의 진심에서 우러나온 것인지 그냥 기분 좋으라고 하는 말인지 정도는 구분할 수 있기때문이다.

   여튼, 이 책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신뢰와 진심어린 칭찬과 구체적인 목표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을 절로 들게 만들어줬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소개에 써있다시피 이 책은 조선의 뒷골목을 누빈 무명씨들의 생기발랄한 삶의 현장을 쓴 글이다. 우리가 흔히 학창시절에 배워온 지배자가 주체인 그런 역사가 아닌 우리와 같은 서민들의 삶에 대해서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다. 간간히 그림도 곁들여서 좀 더 역사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해줬으며, 소주제 자체들이 상당히 흥미로운 것이라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조선이라는 나라는 몇 백년동안 이어져왔다. 한 왕조가 그렇게 오랜 시간 이어져온데는 지배자의 삶만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와 같은 평범한 서민들. 그렇지만 뭔가 시대의 흐름을 알려주는 인물이나 그들이 일으키는 사건들이 있었던 것이다. 어느 시대나 사람들의 모습은 비슷하다고 했던가?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의 서민들의 삶과 현대의 우리의 삶의 공통점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당시 사람들도 술과 고기를 즐겼으며, 또한 여자도 즐겼다.(물론, 여자의 경우 어우동과 감동과 같은 큼지막한 파장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기녀의 존재를 통해서 현대의 창녀도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 때도 대리시험을 봐주는 사람, 쪽집게 선생, 조폭등등 우리의 삶과 유사한 점이 매우 많았다. 조선의 뒷골목 풍경은 흥미로운 부분을 꼬집어 재미있게 지은 역사책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에 관심이 없던 이들이라도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29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하아. 대체 이 책을 얼마간 붙잡고 있었단 말인가.. 쿠바의 혁명을 위해 싸운 체의 일대기를 읽는동안, 완전 거지가 된 책 표지가 어쩜 이렇게 잘 어울릴까 싶기도 한..마치 체의 인생을 보여주는 듯한 모습.

의사가 되어서 편하게 살 수도 있었겠지만, 혁명을 위해 게릴라로 활동하면서 몸은 힘들지만, 마음은 행복했던 사람. 바로 그 사람이 체게바라였다. 이 책은 굉장히 접한 사람도 많지만, 그에 비해 끝까지 읽은 사람은 매우 적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왠지 그 이유를 알듯하기도 한.. 초반부인 체의 탄생과 성장, 중반부인 쿠바의 혁명을 위한 활동에 비해서 후반부로 갈수록 정치적 색채가 드러나면서, 좀 뭔가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이 떨어졌기때문이 아닐까 싶었던.. 그리고 마지막에 볼리비아에서의 그의 활동에서 다시 흡입력이 생기고.. 중반 이후에 살짝 읽기 힘들었지만, 그래도 제법 매력적이었다.

여튼, 책 첫장에 사진과 함께있던 "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라는 말이 그의 생을 대표할 수 있는 말이 아닌가 싶었다. 좀 읽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줏대있게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살아온 체의 삶이 존경스러웠다. 그리고 그가 건강한 사람이 아닌 천식이 심한 사람이었음에도 늘 자신보다 남을 위해 생활했던 점, 그리고 대장이긴 했지만 다른 부하대원들과 같은 대접을 받기를 원했던 모습들도 굉장히 와닿았다. 그런 그를 존경하지 않을 대원이 어디에 있었을까? (뭐 물론, 그를 배신한 사람들도 꽤 있었지만..-_-) 여튼, 제국주의라는 거대한 벽과 싸운 그의 모습이 멋있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스텍 제국 : 그 영광과 몰락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16
세르주 그뤼진스키 지음 / 시공사 / 1995년 11월
평점 :
품절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라는 교양과목의 참고도서여서 친구가 복사해준 자료를 보다가 중간에 빠진게 많길래, 아예 빌려서 봤다. 수업시간에 이미 배웠던 내용을 조금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아스텍 제국은 절대군주제도 아니었고, 중앙집권체제도 아니었다. 굉장히 미묘한 구조를 가진 아스텍. 그들은 자신의 신을 섬기기 위해서 꽃의 전쟁이라는 이름을 걸고 인근 부족민들을 정복했고, 그런 이들을 신에게 제물로 바쳤다. 그들이 인신공양으로 삼은 이들은 8만명이 넘었다고 하니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랴?

 이들은 석기문명이긴 했지만, 굉장히 정교하고 훌륭한 문화를 남겼다. 이들의 피라미드를 보거나 역력체계를 보면 그들이 고도의 문명을 누렸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그들이 무자비한 인신공양을 했다니.. 그들은 인신공양을 통해 주변 부족들에게 경고할 수 있었고, 동맹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들의 신인 껫쌀꼬아뜰 신이 돌아온다고 예언한 해와 스페인 정복자가 들어온 해가 일치하는 우연한 사건으로 그들은 스페인 정복자에게 무너지고 만다.

  아스텍제국. 그들은 더이상 남아있지 않지만, 많은 학문적 연구를 필요로하는 분야임에는 틀림없다고 본다. 그들의 구체적 생활이 더욱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