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채림이 나오는 <달자의 봄>을 재밌게 보고 있다. 노처녀라는 설정이나 연하남과 사귀고 동거까지 하고, 결혼을 꿈꾸지만 혼자만의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매우 유사하다. 주인공의 독백이나 성격등도 똑같다고 볼 수 있다.

난 주인공처럼 75년생이지만 27에 결혼에서 아이가 둘이나 있다. 인생이 지루하기는 커녕 시간이 늘 부족해서 가끔 하늘을 나는 새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혼자만 자유롭게 영화도 보고 여행도 하고 나 자신도 꾸미고 그런 삶을 꿈꾼다. 그래서 주위에 결혼 안 한 사람들을 부러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결혼 안한 사람들의 속내를 이렇게 훤히 들여다 보니 별로 좋을 것도 없다는 생각도 든다.

주인공의 수다는 거침없다.

1월요일 아침은 사채이자 불입 날짜처럼 어김없이 돌아온다.

2나는 북극에 납치된 기린처럼 그 자리에서 얼어붙었다.

3콜타르처럼 검고 끈끈한 후회에 사로잡혔다.

4우산꼭지로 배꼽을 꾹꾹 누르는 것처럼 괜스레 찔렸다.

5여기만 생각하면 아련하고 뭉클하고 복잡했어요. 

6언제부턴가 이사람과 함께 있으면 따뜻한 물에 맨발을 담그고 찰랑이는 것처럼 소소한 평화가 느껴진다

표현도 적절하고 창의적이며 재미있다. 안정되고 싶어서 너무나 평범한 보통인 남자를 만나 결혼하려고 했지만 그런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없다.생활에 안정이란 없다. 자신이 없다면 어떤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주인공은 스스로의 삶을 선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시멜로 이야기 마시멜로 이야기 1
호아킴 데 포사다 외 지음, 정지영 외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엣날에 <내 영혼의 닭고기 수프(?)>라는 비슷한 책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를 들은 적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닭고기 수프는 인상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참패를 했다고 한다. 반면 비슷한 시기에 출판된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3편까지 나오며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마시멜로 이야기>도 제목이 <사탕 이야기>나 <떡 이야기>였다면 우리나라 정서에 더 맞지 않았을까 싶다.마시멜로가 난 캐릭터에 관한 이야기인 줄 알았다. 하얀색 통통한 인형이 마시멜로 였던 것 같은데...

누구에게 선물할려고 주문했는데 미니북까지 딸려와서 미니북만 내가 갖게 되었다. 미니북이 어찌나 앙증맞고 귀엽던지 버스나 전철에서 한 두시간 가량 혼자만의 시간을 갖을 때 읽기에 딱 좋다. 게다가 다이어리나 메모장의 기능까지 하니 대만족이다.

운전사 찰리에게 성공한 사장 조나단이 던지는 인생에 대한 질문들 그리고 성공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들을 이야기한다. 아들의 버릇을 고친 아룬 간디의 이야기나 농구장 코트를 계속 점검했던 래리 버드 이야기, 남들이 꺼려했던 포수, 왼손 타자가 되었던 호르헤 포사다 이야기, 가젤과 사자에 비유된 "해가 떠오르면 달려야한다"는 조나단의 아버지의 메모 .... 모두가 성공지향적이고 먹이사슬과 같은 경쟁사회를 나타내지만 그래도 알아두어야할 항목들이다.

명심하라. 내가 원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서 얻을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감동을 통해 설득하는 것이다.

또 내일의 성공은 오늘 어떤 준비를 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제부터 나만의 행복, 나만의 떡, 나만의 사탕, 나만의 아이스크림을 찾아 노력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장바구니담기


어릴 땐, 우리 가족이 화목한 일일 연속극 속 가족들과 전혀 다르다는 사실이 부끄러웠다. 이기적이고 쌀쌀맞은 아버지, 잔소리 많고 감정 기복 심한 어머니, 경박하고 뺀질대는 오라버니는 드라마뿐 아니라 어떤 동화책에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하지만 이젠 그러려니 한다. 나이 들어가면서 조금씩 터득하게 된 진리는 겉으로 근사해 보이는 다른 사람들도 실제론 구질구질한 일상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 아마 그 홈드라마 속에 사는 가족들도 카메라가 멈추었을 땐, 환멸 가득한 눈빛으로 서로를 흘겨본 게 분명했다.-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 유령들의 저녁식사 - 친구와 함께보는 그림동화 6 친구와 함께보는 그림동화 6
쟈끄 뒤케누아 지음 / 사계절 / 1997년 12월
평점 :
절판


그림만 보는 우리 아들은 그림을 보고 혼자 박장대소를 한다.

"엄마 유령 색깔이 막 변해"

6살이 되고 글도 다 읽을 줄 알지만 그래도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이 그림이다. 그림을 보고 재미가 있으면 끝까지 읽고 그렇지 않으면 덮어버린다.

이 책은 음식과 칭찬을 나누는 책이다.  하양의 유령들은 음료수를 먹으면 음료수 색깔로 보라, 주황,노랑으로 변하고 수프를 먹으면 수프 색깔로 변한다.연어를 먹으면 연어 색으로, 치즈를 먹으면 치즈로 변한다. 그리고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는 스스로 녹아 버린다. 마지막으로 설거지를 함께하고는 커피를 마시며, 우유를 마시며 제모습으로 돌아온다.

음식을 즐기며 이어지는 칭찬들... 네 솜씨 정말 놀라워, 정말 맛있어 보여.

이런 행복한 저녁식사라면 나도 초대받고 싶다.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친구를 배려하고 칭찬하는 모습이 웃음을 짓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엄마, 너 가져 꼬맹이 마음 1
프리델 슈미트 글 그림, 김지연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행복의 파랑새는 나의 집이었다는 동화책처럼 잔소리하고 때로는 화내고 때리는 엄마라도 그 엄마가 최고다. 나에게 코끼리 엄마도, 하마 엄마도, 토끼 엄마도, 기린 엄마도 아무 소용이 없다. 크기도 정서도 사랑도 모든 것이 부족하다.

우리 아들이 엄마를 인터넷에서도 시장에서도 마트에서도 못 산다니 안타까워한다.

엄마를 살 수 있으면 엄마가 아닌 것을 ... 엄마의 사랑을 어렴풋이라도 알고 바르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