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하의 소녀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
티에리 르냉 지음, 조현실 옮김 / 비룡소 / 2002년 2월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는 이밈 앞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어느 이야기나 다 그렇듯이 이책의 마지막 장에서도 끝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영원히 안 끝날지도 모른다.-5쪽

사라는 상처 입은 인형을 품에 안았다. 그리고 흐느꼈다.
"아무 말도 하면 안 돼......"-7쪽

겨울풍경
물은 더 이상ㅇ 흐르지 않는다. 아이들은 운다. 도시는 죽어간다.화가는 아이들을 그림속에 가둔다-32쪽

쟤가 어떻게 느꼈느냐 하는 건 쟤만의 문제야.쟤가 좋아했다 하더라도 그 사람이 그것을 이용할 권리는 없어. 벌을 받을 사람은 그 사람이지,쟤가 아니야-72쪽

선생님, 아세요? 운하의 끝에는 태양이 있어요.-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수레 전쟁 - 평화를 위해서는 전쟁을 알아야 한다 오늘의 청소년 문학 7
진 메릴 지음, 김율희 옮김 / 다른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세계에 존재하는 가장 큰 악이 전쟁이다. 종교때문에, 경제적인 문제때문에, 이념때문에,권력행사를 위해 많은 이유들때문에 온갖 전쟁이 아직도 지구에서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청소년들은 모든 것을 남의 이야기처럼 간과하고 관심갖지 않는다.

실상 전쟁은 우리 표피에 맞는 문제들이다.불과 몇 십년 전에 베트남 전에는 우리의 이모부, 할아버지, 삼촌이 전쟁에 참가했고, 지금 이라크에도 우리의 군인들이 참전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피납된 우리의 선교학생들도 모두 전쟁의 희생자들이다.

사람과 사람의 싸움은 그냥 대화로 법으로 화해하고 해결이 되지만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의 싸움은 여러가지 복잡다단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전쟁의 진면목을 마치 동네의 싸움처럼 쉽고 재밌게 풀어가고 있다.

한 마을에 트럭때문에 교통정체가 일어나고 있었는데 그 문제를 모든 사람들이 약간 손수레 때문이라고 덮어 씌었다. 그래서 손수레 상인들이 힘을 합쳐 트럭의 바퀴를 콩핀으로 구멍을 낸다. 국가는 그 상인들을 저지하기 위해 핀을 금지시키고 콩 사용을 엄금한다. 이 부분에서 박장대소를 했는데 국가가 하는 행위들이 이렇게 즉흥적이고 단발마적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일단 발등의 불만 끄려는 것들이다. 지금의 종합부동산세나 제산세 같은 세금정책도 어찌보면 정말 코믹하다. 점더 종합적이고 근원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이 책을 보면 국가의 행정이나 정책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을 갖을 수 있다. 국가나 경제, 투쟁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8-03 0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쟁을 쉽게 풀이한 책이라니 흥미롭네요.^^ 좋은 책 한권 알아가네요.
 
우리들의 스캔들 창비청소년문학 1
이현 지음 / 창비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후기 탈춤이나 인형극에서 보면 등장인물들이 우스꽝스러운 가면, 탈을 쓰고 거침없는 말들을 한다. 욕하고 비아냥거린다. 그것이 서민들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문학사적의의를 배우기도 했다.

요즘의 학생들이 그렇다. 세기말적인 행태를 저지르고 있다. 앞에서는 순한 양처럼 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엄청난 일들을 하고 있다.

교사 입장에서 보면 이런 글은 절대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창비에서 청소년문학이라고 내세웠지만 그냥 인터넷 소설류에 속할 정로밖에는 안 된다. 감동도 느낌도 주지 못한다. 답답한 청소년들의 속풀이용 글이라면 추천가능하다. 인터넷을 좋아하고 비밀 의사소통을 좋아하는 청소년이라면 권할 만하다.

가슴이 답답하다. 가독성은 있어서 2,3시간이면 쉽게 읽을 수 있다.

이모가 교생으로 온다. 그런데 그 이모가 미혼모이다. 그것이 인터넷을 통해 소문이 나고 학부모나 학생들이 들고 일어난다. 그래서 그 교생이 수업참관이나 교생의 일을 못하게 되고 일인 시위까지 하게 된다.

또 교사가 학생을 폭행하는 장면이 인터넷에 뜨고 교사가 학교를 떠나게 된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각각 비밀의 아이디를 가지고 자신이 해야할 말인지 아닌지도 구분하지 않고 마구 짓거리다가 동굴을 파고 숨어버린다.

이런 줄거리는 현실적 타당성이 없다. 학교에서 교생의 입지는 그렇게 강하지 않는다. 영화나 드라마처럼 그런 감동적인 일들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일년내내 있는 담임도 관심없는데 한달 오는 교생에게 그렇게 지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다. 한 달동안 정말 그렇게 많은 일들이 있을 수 있을까?

주인공 이보라 위주의 일인칭주인공 시점의 글이라 다분이 일방적이다. 자신의 생각, 당당함을 찾아간다고 하지만 종합적이지 못하다. 누군가의 조언이 충분히 필요하다. 곁에 성인인 이모가 있지만 철부지 이모의 행동들도 정서적 성숙에는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 이모가 미혼모라서가 아니라 모든 행동에서 성숙하지 못한 구석이 많다. 나이가 30이지만 사회경험도 없고 생각도 깊지 못하다. 또한 사건 전개에 있어서 교사의 파면은 정말로 기가 막힌다. 그토록 수업을 잘하는 교사가 욕하는 학생 구타 한 번으로 그런 곤경에 까지 처해야 한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체벌이 좋지 않다는 생각은 하지만 반 전체의 분위기가 즉각적인 수정을 위해서는 필요하다. 언제까지 달랠 수 있단 말인가. 그릇이 안 되는데 학생들에게 너무 많은 자유가 주어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한다.

책을 읽었는데 마음이 쓸쓸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사라진 어느 날 마음이 자라는 나무 11
루스 화이트 지음, 김경미 옮김, 이정은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3월
절판


우드로는 태어나서부터 줄곧 변변한 수도 시설도 없고 냉장고도 없는 분지의 맨 꼭대기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나와는 다른 학교에 다녔다. 우리는 동갑이었다. 나는 지난 11월에 우드로는 그해 1월에 만 열 두살이 되었다. 몸집도 비슷해서 둘 다 키가 145센티미더, 몸무게는 42킬로그램이었다.
하지만 그것 말고는 공통점이 없었다. 우드로는 굼뜨고 덜떨어진 데다 늘 자기 아빠나 러셀 삼촌에게서 물려받은 촌스러운 옷을 입었다. 열 살 무렵에 우드로가 우리 집에 왔는데 바지가 너무 커서 흘러내리지 않게 하려고 끈으로 허리를 묶고 있었다. 그떄 우드로는 정말 우스꽝스러워 보였다. 아마 자신도 그렇게 느꼇을 것이다. 그날 생일이었던 나는 프릴이 달린 파란색 원피스에 에나멜 가죽 슬리퍼를 신고 있었으니까-16쪽

새벽의 미풍이 그대에게 말해 줄 비밀이 있다네
다시 잠자리로 돌아가지마
그대는 정말로 원하는 것을 바라야 하네
다시 잠자리로 돌아가지 마
사람들은 돌아서서 문지방을 넘네
두 세계가 서로 맞닿는 곳을
문은 동글고 열려 있다네
다시 잠자리로 돌아가지마-23쪽

엄마한테 들은 얘긴데 우리가 죽는 순간 딱 하루를 똑같이 다시 살 수 있데. 난 오늘을 그날로 정했어.-52쪽

악몽이 찾아온 것은 새벽 무렵이었다. 매번 그렇듯 죽은 동물이 핏물이 고인 웅덩이 속에 축 늘여져 있었다.-59쪽

엄마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집으로 돌아왔으면, 그리고 내 눈이 남들하고 똑같았으면 하는 거. 집시. 눈을 고치면 내 눈도 꼭 태눈처럼 보일거야.-72쪽

그래서 총으로 자기 얼굴을 쐈어요. 아모스 아저씨는 자살한 거라고요-199쪽

난 더이상 엄마의 착한 딸이나 아빠의 이쁜이가 되고 싶지 않아요. 그냥 못생기고 못되고 싶어요.
하지만 넌 못생기고 못되지 않았어. 절대 그렇게 될 수가 없지. 넌 상처를 입은 거야. 그게 다야-206쪽

죄를 먹는 사람이 그 음식을 먹으면 죄가 그 사람한테 옮겨간다는 거야. 그러면 죽은 사람은 깨끗하고 자유로게 천국으로 가는 것이고-22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사라진 어느 날 마음이 자라는 나무 11
루스 화이트 지음, 김경미 옮김, 이정은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영미소설을 많이 읽어 보았지만 이 작품처럼 친근하고 재밌게 술술 읽힌 책은 처음이다. 2,3시간이면 충분히 완독을 할 수 있을 만한 짧은 내용이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이종 사촌간인 집시와 우드로는 이모의 가출로 가깝게 지내게 된다.

이모와 엄마와의 갈등때문에 이모가 가출을 하고 광부와 아무렇게나 결혼을 한다.

그리고 가족과 소식을 끊고 지내다가 십여년 후에 사라져 버린다. 흔적도 없이...

서술자는 집시이다. 집시는 아빠를 여의고 많이 힘들어 한다. 그리고 긴 머리를 억지로 기른다.겉으로는 아무 어려움 없어 보이지만 마음속에 불만이 많다.

우드로는 엄마의 많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 엄마는 환상적이고 감각적인 성격을 갖았는데 늘 안타깝고 고통스러운 상황을 이야기 하고 공감하게 한다.

그래서 우드로는 엄마가 사실은 동굴의 제3세계로 갔을 거라고 생각한다. 아빠는 엄마가 사라진 후 다른 여자를 사귀고 가족에게  등한시 하게 된다.

성장통, 통과제의, 질풍노도의 시기

모두가 쉽게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누구가 힘들게 자신만의 고통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극복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집시와 우드로는 스스로 그 고통을 참아내고 있다. 마치 홍역처럼

이 작품은 표현이 정말 유쾌하다. 집을 묘사하는 장면이나 처음 우드로가 등장할때 우드로를 묘사하는 장면에서 묘사의 전형을 보는 듯 감탄을 했다. 그리고 그림도 탁월해서 사과나무 밭에 있는 집시와 외할머니집의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사과나무를 사과 한 개로 표현하여 독특했다.삽화보는 재미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