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랏차차 도깨비죽 신나는 책읽기 24
신주선 지음, 윤보원 그림 / 창비 / 2010년 2월
장바구니담기


도깨비죽이라...
도깨비들이 먹는 죽인가?도깨비가 들어간 죽인가?
제목만 가지고는 알 수가 없다.

홍주가 자다가 우연히 화장실을 가다가 달라진 부엌을 발견하게 되고 조왕할머니와 함께 들도깨비,산도깨비,강도깨비를 만나게 된다. 메뚜기처럼 생긴 들도깨비,멧돼지 닮은 산도꺠비,수달 닮은 강도꺠비 모습이 정말 우습다.

해마다 가을 마지막 보름달이 뜨는 날에 지킴이들과 도깨비들이 씨름을 벌인다. 씨름전에 죽을 한 그릇씩 먹는데 우연히 홍주가 먹게 되어 터줏대감을 힘을 쓰지 못한다.죽을 먹은 홍주가 힘이 펄펄 나서 터줏대감을 도와준다.

이러저러한 추격전과 싸움으로 이어지는데 그것이 흥미진진하다.

도깨비들이 씨름에서 이기면 집지킴이들 힘이 약해지고 사람들을 많이 도와줄 수 없어. 이제껏 터줏대감이 씨름에 질떄마다 농사를 영 망쳐 버렸다고...

이제 목숨을 건 홍주의 도움 작전이 펼쳐진다.

결국 홍주와 터줏대감팀이 씨름에서 이기지만 도깨비들과 화해하고 내년을 기약하며 헤어진다.
일단 토속적인 도꺠비와 조왕할미, 터줏대감등의 캐릭터가 재미있고, 어린 홍주의 놀라운 활약이 재미를 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마귀의 소원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7
하이디 홀더 글.그림, 이명희 옮김 / 마루벌 / 1996년 2월
구판절판


보통 '까마귀'라는 새는 아주 나쁜 인상을 갖는다. 까악까악 울면서 시꺼멓게 떼지어 날아다니면 불길한 느낌을 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그림책의 까마귀는 너무나 착하다.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을 양보하고 친구들의 소원을 들어준다. 그리고 끝내는 자신의 소원도 이루게 된다.

까마귀는 반짝이는 물건 모으기를 좋아한다. 금박지, 열쇠, 핀, 구슬, 가위, 숟가락, 포크까지

어느 날 먹이를 찾으러 갔다가 올가미에 갇힌 백조를 보게 되고,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위로 백조를 구하게 된다. 어떤 것을 바라지 않았지만 백조는 자신을 구해준 보답으로 별가루를 받게 된다. 소원이 이루어지는 별가루...

그러나 착한 까마귀는 힘들어하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자신의 소원도 중요하지만 그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별가루를 나누어준다. 꼬리가 짧아 고민하는 쥐, 선물을 살 돈이 없어 고민하는 개구리, 친구가 없는 토끼에게 별가루를 나누어준다.
그리고 소원을 이룬 친구들의 모습을 지켜본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소원을 이루게할 별가루가 없다는 것을 알고 힘들어한다. 정작 자신은 외롭게 혼자 밤을 지새다가 우연히 별가루의 아주 작은 흔적을 발견하게 되고, 아주 소중히 소원을 빈다

아주 소중히 자신의 소원을 말한다.
"젊었을 때처럼 멋지고 아름답게 해주세요."
다음 날 아침, 까마귀의 소원이 이루어진다. 깃털은 윤이 났고, 부리는 보기 좋게 매끈했다. 까마귀는 그의 소원을 성취하고 창공을 향해 날개짓을 한다.
내용은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내용이지만 착한 마음을 가지고 누군가를 끊임없는 돕는 까마귀를 보며 감동을 받는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그림이 정말 좋다.연필로 그린 선들이 잘 보여서 마치 내가 그림을 그리듯 꼼꼼이 읽을 수 있는 멋진 그림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0-08-07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는 낯익고 내용은 낯서네요. 좋은 내용으로 접수합니다.
 
내 인생의 결정적 순간 - 그 순간이 없었으면 지금의 나는 없다
안철수.박경철 외 지음 / 이미지박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들에게 위인전을 읽으라고 많이 말한다. 그런데 이순신이나 세종대왕, 헬렌켈러 등등의 위인전은 너무나 거리감이 있다. 아이들이 읽어도 실제에 적용하기가 무척 어렵다.  

그런데 부모로서 아이들에게 읽힐 만한 적절한 위인을 찾기도 힘들고 피부에 와닿는 멘토들은 더 찾기 힘들다. 

그런 와중에 '결정적인 순간'이라는 말이 좋아서 이 책을 골랐는데 역시나 정말 마음에 들었다.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각 분야의 멘토들이 자신의 삶에서 힘들었던 순간들, 도움이 되었던 말들, 친구들, 그리고 극복한 이야기들이 다 나온다. 마치 라디오의 사연코너를 듣는 것처럼 정답고 살갑게 느껴진다. 아주 많은 위인전을 읽은 듯 부자가 되었다. 이 책을 청소년들이 읽는다면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데, 꿈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의사, 시인,건축가,피디,작가,평론가,몸짱아줌마,동화작가,아나운서,성우 등등 학생들이 선망할 만한 모든 직업의 대표주자들이 자신의 어린시절, 힘든 시절을 이야기한다.  그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은 행복전도사 최윤희씨의 글과 소설가 양귀자씨의 글이다. 

모두의 삶이 거창해보이고 위대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아픔과 시련이 녹아있다. 참고 인내하고 견뎌내어 지금의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을 느꼈다.  

최윤희씨의 삶도 만만치 않다. 남편의 부도와 벼랑끝 절망, 사회 생활 시작, 명예퇴직, 그리고 책 출판, 방송 출연 등등 

하지만 그녀는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인생은 한 편의 영화를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행복은 셀프"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에너지를 축적해서 불을 만들고 행복을 만들어야 내 삶이 행복해진다."라고 말한다. 내 인생을 주도적으로 섭외하고 활동해서 멋진 영화 한 편을 완성하겠다는 생각에 동감한다. 내 인생도 그녀의 후반 인생처럼 '요절복통 박장대소 코미디'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기 위해 행복을 만들고 웃음을 창조하는 프로가 되어야겠다.

양귀자의 글은 이 책의 주제와 약간 벗어나는 감이 있다. 결정적인 순간은 없다. 다만 매 순간 성실히 노력해서 그것이 쌓이면 달라진다는 것이다. 역시 작가라서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글을 읽으면 완전히 사로잡혔다. 그녀의 글은 정말 매혹적이다. <원미동 사람들>을 지을 때의 창작 동기가 나와서 좋았다.

영혼을 강타하는 벼락은 아무에게나 내리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작은 실금에도 불현듯 둑은 무너지고 물은 범람한다.  깃털 같은 눈송이도 쌓이면 지붕을 가라앉히고 거목을 쓰러뜨리듯 우리들 삶은 늘 하찮은 것으로부터 커다란 것을 일궈낸다. 열심히, 무조건 열심히만 살면 무엇이든 쌓인다. 더 이상 무엇을 말하랴. 결정적인 순간이란 곧 전력을 다하여 살아낸 순간임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학생들이 또는 누구나가 매 순간이 결정적인 순간이라고 생각한다면 정말 진지하게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매 순간이 승부차기이고 매 순간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면 인생은 정말 달라질 것이다. 학생들이 읽고 마음 속에 불꽃 하나씩을 간직했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0-07-11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담어린이에서 나온 같은 제목의 책을 봤는데 비슷할 듯...
 
이 아침 축복처럼 꽃비가 - 장영희가 남긴 문학의 향기
장영희 지음, 장지원 그림 / 샘터사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유고집이라 더 애틋하다. 일상의 잔잔히,소소한 이야기들이 가슴을 따뜻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화속으로 - 71-Into The Fir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전쟁이란 무엇인가? 

학도병은 군인인가? 아닌가? 

너희들의 조국이다. 반드시 지켜낼거라 믿는다. 

어머니 오늘 제가 죽을지도 모릅니다. 어머님이 싸주신 내의를 입으며 수의를 생각했습니다. 

학도병 중대장을 맡은 오장범은 아직도 학생이며 청소년이며 어머니의 손길이 필요했다. 하지만 전쟁에서 전투경험이 있다는 이유로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되고 포항을 지키는 명을 받는다.살인미수범으로 나타난 갑조 일당들 때문에 사사건건 시비가 붙지만 진정한 마음으로 학도병들을 이끌어낸다. 

3명의 카리스카 넘치는 인물을 보면서 많이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전쟁에서의 영웅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왜 싸워야 하는지도 고민하게 되었고, 인간이 얼마나 잔인하게 변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자녀들과 함께 보고 이야기하면 좋을 작품이다. 

특히 탑(최승현)의 연기가 빛을 발하는데 외로우면서도 쓸쓸하면서도 의지에 불타는 모습이 정말 눈물겹다. 권상우는 정말 껄렁껄렁 한 대 쥐어박고 싶은 인물로 나온다. 말도 안 듣고 사고만 치고 반항하고 하지만 마지막에는 다시 돌아온 멋진 전투를 벌인다.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해 학교 문턱에도 못가고, 한글도 모르고 부모는 인민군에게 총살당한 그에게 남은 것은 악밖에 없었다. 그에게 조국은 무엇이었을까 생각해 본다. 

장범이 밤마다 어머니에게 보낼 편지를 쓰는데 어찌나 절절하던지 눈물이  흘렀다. 실제로 어떤 학도병의 유골과 함께 발견된 그 편지는 실제라서 더 진실된다. 어머니 제가 오늘 죽을 지도 모릅니다. 어머님이 끓어주신 김치찌개가 먹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