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작품은 언제나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한다.

<개미>,<뇌>등도 평범한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할 가공의 순간을 구성력있게 엮어 놓고 있다.

 작가는 언제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기를 좋아했고, 그것을 하나의 게임으로 삼아 생활한다. 문제르 제기하고 뜻밖의 해법을 찾아내게 하는 게임으로 말이다. <나무>에 있는 단편들이 장편소설의 모티브가 되는 작품들이 된다고 하니 우리고 그의 독창성을 도화선 삼아 즐거운 상상을 해볼만 하다.

별똥별이 서울의 중심에 떨어진다면...영화 <우주전쟁>과 같이 도시가 파멸할 것인가. 아니면 우주인과 사랑을 나누게 될까

또 이영애처럼 투명한 피부를 꿈꾸다가 정말 피부가 완전히 투명해져서 핏줄과 뼈가 다 보이게 된다면 얼마나 징그러울까.

과학이 너무나 발달해서 기계들이 알아서 모든 것을 해준다면 인공지능을 가진 기계들은 오히려 인간에게 해가 될 수도 있다. 그 기계들이 너무나 성실해서 인간의 존엄성마저 침해한다면 말이다.이런 상상도 이미 많은 영화에서 소재로 택한 것들이다. 복제인간이나 인공지능의 물건이 인간과 사랑까지 하는 그런 영화들만이다.

그의 상상력은 언제나 사회문제를 담고 있다. 그냥 넘기기 힘든 문제들 말이다.

아주 지루하고 재미없을때 그의 재미난 세상에 동승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리로 만나는 과학 교과서 - 엄마와 두 딸의 흥미진진 과학 수다
이영미 지음, 윤예슬.윤정빈 그림 / 부키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직 과학교사이면서 딸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재미난 요리를 통해 과학의 원리를 가르치고 있다.

팝콘 만들기를 통해상태 변화와 에너지를 설명하고

오므라이스를 통해 호화현상과 중력을 이야기하고

수제비를 통해 달의 변화, 지질 구조를 이해하게 한다.

무게, 질량, 부피 등의 과학 개념과 우주의 원리까지 요리를 통해 과학 지식을 확대해 나가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 우리말 속뜻 사전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박숙희 편저 / 책이있는마을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상상플러스 올드엔 뉴를 통해 우리말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좀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서 사전을 구입하게 되었는데 순 우리말, 합성어, 한자어,외래어, 관용어구,한자성어까지 영역을 나누어 말의 유래와 풀이, 보기글까지 기록되어 있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남세스럽다-남우세스럽다가 줄어든 말이다.

넋두리- 무당이 죽은 이를 대신하여 하는 말이다.

눈시울-시울은 고깃배 가장 자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길게 타원형으로 생긴 모양으로 눈시울이나 입시울로 쓰인다.

미주알고주알-항문에 닿아 있는 창자의 끝부분을 가리킨다.

볼멘소리- 볼이 메어질 정도로 부어서 하는 소리를 가리킨다

부리나케-불이 나게에서 나온 말이다.

오사바사하다-재미나게 얘길 하거나 사근사근한 모양을 표현한 의성이다.

올케 - 오라비+겨집에서 온 것이다.

옹헤야- '올해야' 변해서 된 말이다.  

연말이나 시험 끝나고 자투리 시간에 퀴즈를 낼 때 이용하면 정말 좋다. 유래담과 사례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서 아이들에게 알려줄 내용이 많다. 자주 써서 너덜너덜해질 정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해도 참 맛있는 나물이네 밥상
김용환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결혼해서 가장 힘든 것이 아마 요리일것이다. 하루에 세끼 모두 챙겨먹으려면 4,5시간은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솜씨가 없어서 힘만 들고 돈만 들고 맛도 없는 요리를 몇년째 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다른 요리책과 달리 아주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특별한 재료 없이도 만들 수 있는 요리들이라서 읽기 좋았고 먹고 싶은 요리를 찾아 만들수 있어서 좋았다.부엌에 꽂아두고 보기좋은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__왕 2007-01-03 1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보고 요리를 하는 것 보다는 요리에 대한 상식을 넓힌다는 생각이 맞겠지요.
 
푸른 하늘 저편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35
알렉스 쉬어러 지음, 김희수 옮김 / 화니북스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죽으면 사람들은 얼마나 나를 생각할까.

그것이 궁금하다. 갑작스러운 죽음에 가족과 친구들이 모두 당황하겠지만 그들의 생활이 그다지 달라지지는 않는다. 다만 죽은 사람만 허공을 떠돌다 남은 사람들을 돌아보고 안타까워 할 뿐이다 .

죽음도 삶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우리는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환생이나 천국 지옥을 피상적으로 상상할 뿐이다. 이 소설은 죽음에 대해 재미있게 그리고 심오하게 생각하는 소설이다. 주인공은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주변 사람들을 걱정하고 그곳으로 돌아가 그들의 생활을 지켜본다.

하지만 주인공이 생각하는 것처럼 심각한 변화는 없다. 내가 없으면 누군가가 내 자리를 아주 쉽게 보충한다. 삶에대해 그리고 나의 역할에 대해 지금 이자리에서 생각하게하는 소설이다.

청소년들이 읽기에 아주 좋은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__왕 2007-01-03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모님도 순간은 힘들지만 ...
시간이 약이라고 삶에 찌들리다보면 그러면 안된다는 것을 알지만...오래 기억에 남는다는 것은 욕심일거에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