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5년 만에 문법
등록을 해 놓았으니, 학원비 1년치를 낸 셈 치고 그만큼의 본전을 뽑자고 요즘 문제들을 풀고 있다.
( 내일처럼 걱정하면서 신청을 해지하라고 하신 *****님, 조언에도 불구하고 해지하지 못했습니다. ㅡㅡ;;)
그런데 참 신기한 것이, 이 학원 선생들은
단 한 문장의 원문에 대한 문법 해설을 A4용지로 두세쪽 되는 분량이나 늘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해설을 읽어보니, 워낙 오래 전에 공부했던 내용이라 용어도 생소하고, 원문을 이해하는 데도 전혀 도움이 안된다. 저런 생각까지 하면서 해석을 하려면 무척 머리 아플 것 같다.
설마, 사람들이 저렇게 문법 생각하면서 영어 하는 것은 아니겠지?
우리 애들이 문법 싫어하는 게 새삼 이해가 된다.
그런데 문법 생각을 하니까, 학생 때 철없는 허영심(?)으로 선생님들을 못살게 굴었던 것이 떠오른다.
고2~고3때였던 것 같다. 국어나 영어의 문법에 어느정도 익숙해진 것까지는 좋았는데,
한동안 국어, 영어, 古文 교과서의 조사 하나, 단어 하나하나의 품사와 그 성격 분류에 유달리 집착했던 적이 있다. 왠지 남들은 그냥 지나치는 비밀 코드를 푸는 것 같은 재미를 느꼈다고나 할까?
지금 생각하면 문법적으로 일치된 결말이 나지 않을 만한 내용들도 많이 있었는데, (구체적인 건 까먹었음)
난 그런 걸 선생님들에게 물어보았고, 선생님들은 그런 논쟁의 소지가 있는 문법을 굉장히 싫어하셨고,
나는 선생님들이 답을 못하신다는 것는 직무유기라고 생각했었다.
오죽하면 국어 선생님은 내가 질문하려고 하면 "네가 질문하는 것은 시험에 하나도 안나와" 라고 대답하셨을까?
지금 생각하면, 나는 그때 나뭇가지만 보는 데 한눈이 팔렸던 것 같다.
내가 열중한 건 그저 퍼즐 맞추기였을 뿐, 역시 삶을 풍요하게 하는 것은 문법이 아니라, 글인데.. ^^
( 변명을 하자면, 우리처럼 국어공부를 교과서만 보고 했던 세대는 교과서에서 볼 '숲'이란게 한계가 있었다고나 할까? 아유 궁색해라..... ^^;;;; )
지금 누가 문법을 내 앞에 들이댄다면 무서워서 한 십리는 도망갈 것 같다.
2. See Through 망사 주머니
평소에 주로 큰 가방을 들고 다니는데,
가방 안에 지갑, MP3, 필기 도구, 열쇠 등 작은 물건들이 구석구석 굴러다니는 경우가 많다.
정작 무엇이 필요해서 찾으려면 가방 바닥을 한참이나 뒤져야 한다.
가방 자체에 주머니가 달려 있는 경우에도, 이 주머니 저 주머니 뒤지곤 한다.
그래서 물건들을 모아 담을 주머니가 있었으면 했고,
이왕이면 속이 들여다보이는 소재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49167153227564.jpg)
그러던 차에, 이 초록색 망이 눈에 띄었다.
앗! 이거 딱이네! ^^
이게 무슨 망일까?
생옥수수를 담았던 망이다.
양파 망과 같은 재질인데, 색깔만 초록색이다.
어제 옥수수를 삶으려고 꺼내다가 눈에 들어와서
주머니를 만들기 시작했다.
* 한겹으로 하면 너무 약해 보여서, 한면에 망 두겹을 썼다.
* 가위로 자른 가장자리는 금방 풀리기 때문에 곧바로
라이터로 가장자리를 녹여서 풀리지 않게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49167153227565.jpg)
* 옆솔기와 밑단은 쌈솔로 처리했다.
손으로 얼기설기 박음질 했다.
* 윗부분은 단을 아래로 접은 후, 위/아래를 박아서
끈을 끼울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 끈은 옛날에 책갈피 볼펜 만들기에 버닝 했을 때
쓰다 남은 것을 사용했다.
( 몸체는 허접한데 끈만 이쁘장해서 꽤 언밸런스 하다)
짠~! 샤프, MP3, 전자사전, 자외선차단로션 등을 담은 모습.
꽤 쓸만해 보인다.
3. 해리포터를 죽이지 말라!
얼마 전부터 간간히 들려오는 오싹한 소식 하나.
해리포터 시리즈의 주요 인물들이 또 죽을 예정이라는 것.
난 작가가 해리를 지나치게 고생시키는 것 같아서 불만이 많다.
이모 집에 얹혀 갖은 구박을 받으면서 커왔던 것은 그렇다 치자.
작가는 이모 가족의 핍박에 해리가 덜 구속될 때 쯤 되자,
학교에서는 거의 시리즈마다 왕따를 시키고,
어렵게 만나 해리가 크게 의지했던 해리의 대부(代父)를 죽였다.
해리의 보호자였던 덤블도어 교장선생님도 죽였고,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 바로는 해리는 호그와트도 떠날 듯 하다.
해리 포터는 '아동 소설'로 시작했지만,
그 내용은 갈수록 아동용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살벌해지고 있다.
그런데 마지막 권에서 해리 마저 죽게 한다면 이건 너무나 잔인한 일이다.
혹시 계속되는 시리즈를 쓰기 지친 코난 도일이 홈즈를 폭포 아래로 떨어뜨려 죽인 것처럼,
조앤 롤링은 후속편의 압박에서 벗어나고 싶은 것일까?
-----
그런데 말입니다......... 해리가 죽지 않았으면 좋겠지만,
다른 영미권 인기 소설들처럼 뻔한 '해피엔딩'이 되는 것도 싫고,
해리가 또 소중한 사람들을 잃고 고통 받느니, 차라리 해리가 죽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고,
시리즈 막판에 갑자기 해리를 고생시키지 않는다면 김이 빠지겠고....
아우,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