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면증
요즘 상당히 심하다.
오늘 새벽에는 두시부터 네시까지 불끄고 말똥말똥하다가
네시부터 다섯시반까지 책 읽다가 잠이 들었다.
솔직히 불면증이 싫지는 않다. 이 계절, 그 새벽시간이 내가 제일 좋아하는 시간이니까.
다만 아침 출근이 고달플 뿐.
2. 소방 설비 점검
지난 봄에 소방 설비 점검을 하고, 거기에서 지적한 기준에 맞게 공사한다고 한바탕 난리쳤었던 것이
불과 4개월 전이다.
2년 전에도 소방점검이 나와서 스프링클러를 추가로 달았었는데,
봄 점검 때 또 추가로 달라고 지적을 받아서 두번째로 공사를 했다.
오늘 또다시 또다른 업체에서 나와서는, 또 또 스프링클러를 추가하라고 한다.
오늘은 화가 나서 조목조목 따졌다.
왜 사람마다 기준이 바뀌냐, 지난 번에 다시는 문제 없게 한다더니 이게뭐냐,
왜 점검에 일관성이 없냐, 반년도 안되어서 이게 뭐냐.....
오랜만에 대동맥이 각기춤을 출 정도로 열을 냈다.
그랬더니, 지난 봄 것은 작년 것이 늦어진 것이고,
이번 것은 금년 것이란다. 게다가 앞으로는 매년 점검이 있을거라나.....
봄에 어느 분 서재에 댓글로 '이러다가 천정에 스프링클러가 별처럼 총총 박힐 것 같아요"라고 했었는데,
정말 그렇게 될 것 같다.
아예 지적받은 것 보다도 더 많이, 한 1미터 간격으로 스프링클러를 달까보다.
3. 책 수소문합니다.
1)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출판일: 1999년 5월
출판사: 교보문고
이 책을 소장하고 계신데 곧 방출하실 예정이 있으신 분이나,
이 책을 파는 헌책방을 아시는 분께서는 제게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전에 헌책방에 자주 가시기 때문에 구하고픈 책은 알려달라고 하신 분이 계셨는데,
누구시더라..... 까먹었어요. 아이고... 이름치야.....
2) 좋은 사전
사전은 영 그게 그거인 것 같고, 사서 열심히 찾아 본 적이 없어서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좋은 사전에 어떤 것이 있을까요? 영한, 한영, 영영, 국어, 유의어, 국어/영어의 바른 표현 등의 면에서요.
인문이나 어학 전공하신분들에게는 상식일지 모르지만, 영 까막눈이라....
여태까지는 인터넷 사전하고 전자사전만 썼는데....
4. 그러고보니, 영어 공부를 제대로 한 적조차 없었네.
어제는 서점에 간 김에 영어 쪽 서가를 주욱 둘러보았다.
국어와 영어의 유의어 사전을 찾아보려고 갔었는데, 새삼 나의 무식함을 느꼈다.
학생 때 성문 종합영어조차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흔한 토플, 토익, 텝스(이건 또 뭐야?)도 한번도 쳐보지 않았다.
그렇다고 영어 학원을 제대로 다녀본 적이 있나? 아니다.
독학으로 vocabulary 책 하나라도 공부해 본 적 있나? 전공은 했나? 유학은 가봤나?... 다 아니다.
그런데도 자꾸 그쪽을 힐끔거리는 이유를 나도 모르겠다.
하려고 생각하니 할게 꽤 많네.....
5. 컴플랙스
난 컴플랙스가 많은 편이다.
엔트로피의 법칙처럼 늘어나기만 하는 내 체중과,
고등학교때부터 '엉뚱'이라고 불렸던 내 체형에 대한 컴플랙스는 말할 것도 없고,
일단, 너무 고급스러운 것은 영 불편하다. 물건 뿐 아니라 장소도.
거추장스런 물건은 잃어버리지 않을까 신경만 쓰일 뿐, 그저 서랍 속에서 썩고 있고,
옛날에 사주셨던 옷들은 도대체 어딜 입고 가라는건지 대책이 서지 않았다.
80년대에 친구 따라서 코코스(음식점)에 처음 갔을 때의 이유 없는 거부감은 나자신도 이해할 수 없었다.
튀는 것도 싫어한다.
하다못해 실수로(?) 너무 등수가 잘 나올 때면 등수가 제자리를 찾을 때까지 적당히 쉬었다.
중고등학생때 반장 선거에 한번도 나가지 않았고, ( 못한 것이 아닐까? ^^a )
주목 받지 않도록, 그러니까 딱 2등 할 정도로만 공부했다.
만약에 모 단체에서 지회장을 하라면, 아니면 혹시라도 해야할 것 같은 분위기가 된다면,
그런 분위기가 쏙 들어가게끔 태업, 잠수할거다. ( 흐흐, 이건 경고이자 협박이다.)
본의 아니게 오버했던 근래의 이슈에 대해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다.
다들 조용했을 때는 워낙 다급하다는 생각에 오버하고 말았는데,
이제는 서로 경쟁적으로 나서는 것을 보니, 이제 잠수할 수 있겠구만, 잘됐다... 라는 생각이다.
....... 음, 게으름을 합리화 하는 번지르르한 논리인지도 모르겠다.
6. 제대로 된 목공 책이 나왔네.
미국은 목공이 취미인 인구가 많고, 간단한 집수리는 스스로 하는 분위기다.
따라서 목공 중에서도 디자인 전문, 맞춤(joinery) 전문, 무늬목 작업, 상감, 조각, 마감 등, 세세한 분야별로 사진과 더불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상세하게 노하우를 알려주는 그런 책이 참 많다.
그동안 산업미술이나 가구 디자인을 전공하는 사람이 아닌, 일반인이 볼 만한 우리 나라 목공 책을 오랫동안 찾았는데, 찾을 수 없었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전반적인 원칙이 아닌 소품 몇가지 만드는 목공 안내서가 하나 둘 나오기는 했었다 .
그러던 중, 오늘 이 책이 도착했다! ^0^
아쉽게도 한국인이 직접 쓴 책이 아니라, 미국에 많이 있는 안내서, 그중에서도 비교적 간단한 것을 번역한 책이지만, 이 책 덕에 난 처음으로 한국말 목공 용어를 제대로 알게 되었다.
(일반 영한 사전에는 목공 용어가 정말로 부실하다 ㅡㅡ;; )
원칙을 알면, 그 원칙을 응용해서 하고픈 것을 만들 수 있다. 이 책도 그런 책이다.
몇미리짜리 목재를 어떤 크기로 잘라서 어디에 붙이라고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목재 자체의 특성, 디자인 과정, 목가구 만드는 각 단계마다의 주의사항과 요령을 알려주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전공자에게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목공을 취미로 하고픈 사람은 이 책이 꽤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