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닫았다.
오늘 10여년 간 일했던 일터의 마지막 날이었다.
새로운 직장으로 가기로 결정된 지 불과 2주 만에 이렇게 문을 닫게 되다니, 실감이 잘 안 났다.
최소한 한두 달은 여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어제부터는 실감이 나기 시작했다.
환자들마다 작별 인사를 하고,
몇십 키로 떨어진 그곳까지 오겠다는 분들도 있고...
작별 선물을 주는 분들도 있고...
몇몇 분들은 눈물까지 보이셨다.
지난 10년 간의 인연을 이렇게 짧은 시간에 정리해야 하다니.
2. 백수 되었다.
오늘 폐업 하고, 월요일에 임용장을 받는다.
고로, 내일은 백수다.
혹시 월요일에 임용장이 안 나오면 어떡하지? ( 신원조회에서 빠꾸당하는 거 아닐까?)
공무원 첫 출근을 어떻게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임용장도 받지 않고 곧장 보건소로 가야 하나?
아니면 구청에 가서 임용장을 받아서 보건소로 가야 하나? 그럼 보건소는 지각하는건가?
마지막 날까지 바빠서 직원들과 밥 한끼 같이 먹을 시간이 없었다.
내일 점심을 같이 먹기로 했다.
10년, 5년을 무던하게 있어준 직원들인데.... 너무 서운하게 보내는 것 같다.
3. 내가 정규직이 된 이유
원래는 계약직으로 3년 쯤 일한 후에 정규직으로 채용이 되는 것이 관례인데,
이 구에서는 처음부터 정규직을 뽑았다.
왜 처음부터 정규직을 뽑았을까?
구청장이 노동자 권익을 중시하는 사람이라서? - 아니다.
구청 직원 왈, 구의 예산이 적어서 계약직이 아닌 정규직을 뽑았단다.
(계약직이 정규직보다 월급이 150만원 정도 많다.)
점심 먹으면서 이런 이야기를 하니, buddy들 왈,
"계약직 채용 보장하라" 라고 데모라도 해보지?
4. 표현의 방법
알라딘에 중복 리뷰 관련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몇몇 분들은 이로 인해 리뷰 혹은 페이퍼 카테고리를 닫기도 했다.
중복 리뷰에 관해서는 찬성 반대 의견이 있을 수 있다.
내가 이번 사태에 유감인 것은, 의견이 다름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꼭 그렇게 날을 세웠어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게 날을 세운 분들은
중복 리뷰어들 만큼 책을 많이 읽는 분도, 리뷰를 많이 올리는 분도 아닌 듯 하다.
자신들이 지목한 서재인들의 성향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는 듯 하다.
그런 상태에서 단순히 중복 리뷰를 올린다는 것만을 문제를 삼았다.
아마 그분들은 위의 두 조건이 도대체 왜 고려되어야 하는가 의아해 할 것이다.
당연히 모를 것이다. 알라딘에 오래 거주하지 않았으니.
'강호에서 갈고 닦은' 직설적인 표현이 이곳에서는 얼마나 이질적인지 잘 모를 것이다.
리뷰를 올림으로서 서재인들간에 이루어지는 '소통'의 의미를 모를 것이다.
올려지는 리뷰의 기능이 단순한 '소통'의 역할로 끝나는 것이 아닌 것은 서재인이라면 다 알 것이다.
리뷰가 '서평 권력', 혹은 '마일리지나 상금으로 들어오는 금력'으로 변질되는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는 것은 좋다.
그런 문제 제기는 좀 더 리뷰를 많이 써서 문제점을 더 잘 파악하는 분이 했다면,
지적 당하는 서재인의 성향에 대해 제대로 파악한 분이 했다면,
그리고 '논리'로 무장한 폭력의 형태로 표현되지 않았다면.....
훨씬 더 많은 분들이 공감했을 것이다. 아쉽다.
5. 몸살 났다.
요즘 도는 독감 때문일까?
아니면 몇일 전에 맞은 황열 예방접종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