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 선생님을 따라서 철원 문학기행을 다녀왔다. 철원의 두 중학교 학생들과 같이 [1945, 철원] 배경이 된 곳을 돌아보는 행사. 바람 쐴 겸 같이 가자는 선생님 말씀에 노느니 장독 깬다고 따라 나선 건데 날도 참 잘 잡았지. 강원도에 들어서자마자 어서 오시라는 듯 눈발이 거세지더니 점심을 먹고 나오자 이런 풍경이 되어 있었다. 철원엔 눈이 정말 많구나.
[1945, 철원]은 해방 직후 철원을 배경으로 한 청소년소설. 처지와 이념이 다른 아이들이 각자 희망과 좌절, 의지와 불안을 안고 세상에 나아가는 이야기다. 이현 선생님은 우연히 철원 '노동당사' 건물을 비롯해 허허벌판에 겨우 남은 옛 철원 시가지 흔적을 보고 대체 이곳에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건가 하고 매료되었다 한다. 해방무렵 춘천보다 컸던 도시, 남북 모두에게 애증의 대상이었던 도시, 전쟁이 한 도시를 어떻게 없애 버릴 수 있는지 증명하는 도시.
철원에 살고 있는 아이들과 이 작품을 읽은 선생님들이 강연과 함께 기행을 마련했고, 향토사학자 선생님도 여기 동행하셨다. 우리는 학교에서 중3 아이들이 만든 어설프고 귀여운 [1945, 철원] UCC를 보고, 선생님의 강연을 잠깐 듣고, 다같이 버스에 올라 '안보관광' 코스로 철원의 제한구역을 방문했다. 설명을 열심히 들으면서 따라 다녔는데, 늘 그랬듯 사진은 엉뚱한 것만 찍었다. 눈 구경 실컷 했네.
길이 미끄러워서 버스가 아주 천천히 갔다.
5만평 규모, 역무원만 80여 명이었다는 철원역의 터.
두 갈래 철로. 하나는 원산으로, 하나는 경성으로 향했다고.
월정리 역사 뒷뜰의 나무. 나는 이런 거나 찍고.
방해 되지 않으려고 일행과 떨어져 구석에서 사진 찍는 날 보던 군인 청년이 와서 사진을 좀 보자고 한다. 이 사진을 보더니 저도 웃긴지 피식 웃고 돌려주었다.
제한구역의 황망한 아름다움도 인상 깊었지만 그보다 내 마음에 새겨진 것은 아이들과 선생님들이었다. 춥다고 발을 동동 구르면서도 싫단 소리 안 하고 작가 선생님 얘기에 귀를 쫑긋 세우고 역사 선생님 말씀에 따라 주위를 둘러보는 아이들이 예뻤다. 저희도 입이라고, 추우니까 열량 높은 게 당기는지, "느끼한 거 먹고 싶다" "난 떡볶이." "난 탕수육." 하며 재잘대다가, 또 정색하곤 "작가가 되려면 자격증 있어야 돼요?" 하고 묻는 아이들. 속으로 아이구 이뻐라, 열 번쯤 말한 듯.
그 예쁜 아이들 뒤에는 좋은 선생님들이 계셨다. 세 개밖에 안 되는 계단이 눈 와서 미끄럽다고 한 명씩 손을 잡아 내려오게 하고, 조곤조곤 살뜰하게 아이들을 챙기던 담당 선생님은 버스 기사님은 물론 불청객인 나에게조차 정중하고 다정하게 대해주셨다. 향토사학자 역사 선생님은 애정이 가득한 목소리로 "너희 증조할아버지들이 이 땅을 어떻게 일구고 무슨 일을 당하고 어떻게 살아남으셨는지, 우리가 같이 기억하지 않으면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다."면서 "이렇게 선생님 얘기에 귀를 기울여줘서 선생님이 너무 고마워."라고 하셨다.
플래카드에 적힌 말, "70년 전 철원 사람들의 꿈과 사랑을 찾아서." 이 소박한 문구의 진정성.
철원역 터에서 준비해온 옛날 사진을 넘기며 설명하는 향토사학자 선생님. 꽁꽁 언 손과 눈밭을 헤친 발. 아이들은 그 손과 발이 보람 있도록, 동그랗게 모여서 선생님 설명에 귀를 기울였다.
아이들이 손을 잡고 폴짝 뛰었다. 핸드폰 카메라라 0.5초 늦게 찍혔지만, 그애들 웃음소리까지 여기 담아 왔다. 철원은 어쩔 수 없이 척박한 곳이었다. 그러나 사랑받는 아이들은 어디서든 태가 난다. 덕분에 즐거웠어요, 아가씨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