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의 마음

 

                                                  나희덕

  

배추에게도 마음이 있나보다
씨앗 뿌리고 농약 없이 키우려니
하도 자라지 않아
가을이 되어도 헛일일 것 같더니
여름내 밭둑 지나며 잊지 않았던 말
- 나는 너희로 하여 기쁠 것 같아
- 잘 자라 기쁠 것 같아


늦가을 배추포기 묶어주며 보니
그래도 튼실하게 자라 속이 꽤 찼다
- 혹시 배추벌레 한 마리
이 속에 갇혀 나오지 못하면 어떡하지?
꼭 동여매지도 못하는 사람 마음이나
배추벌레에게 반 넘어 먹히고도
속은 점점 순결한 잎으로 차오르는
배추의 마음이 뭐가 다를까
배추 풀물이 사람 소매에도 들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랑스런 추억

                                                                   윤 동 주

봄이 오던 아침.

서울 어느 쪼그만 정거장에서 희망가 사랑처럼 기차를 기다려.

 

나는 플랫폼에 간신한 그림자를 떨어뜨리고,

담배를 피웠다.

 

내 그림자는 담배연기 그림자를 날리고,

비둘기 한 떼가 부끄러울 것도 없이

나래 속을 속, 속, 햇빛에 비춰 날았다.

 

기차는 아무 새로운 소식도 없이

나를 멀리 실어다 주어,

 

봄은 다 가고-

동경 교외 어느 조용한 하숙방에서,

옛거리에 남은 나를 희망과 사랑처럼 그리워한다.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

 

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서성거릴 게다.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

마음이 복잡해질때 윤동주의 시비를 찾는다는 아직 소녀같은 내 친구를 만나고 돌아오는 어느 날이 기억난다. 우연히 본 이 시... 아무 느낌이 없다가 마지막에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는 말에 한참 서성이는 내 자신을 본다.

그래, 젊음아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6-06-18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시 담아가요.. 감사~
 

 

 

 

 

작년 겨울엔가 1년에 두어번쯤 만나는 미대 나온 친구를 만났었다. 이 친구랑은 중학교때 부터 친구인데 1년에 두어번 만나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그렇다고 자주 연락은 하지 않지만 든든한 그런 묘한 관계이다. 그 친구가 그때 인사동에서 열리고 있다던 일흔이 넘은 나이에 미술전시회를 여는 세탁소 할아버지의 얘기를 해주면서 시간이 있으면 드로잉을 해보라고 작은 드로잉수첩을 선물해줬었다.  고등학교때 미술을 좋아했고 한때나마 그림을 그리고 싶었던 적이 있기에 아직도 나에게는 미술에 대한 동경이 남아있다. 대학교 다닐때 한번은 정말 학교 관두고 미대를 다시 들어갈까하는 고민을 심각하게 했었던 적도 있었는데 나의 재능으로 안그러길 다행이라는 생각을 지금에서야 해본다.

이 책을 읽고는 정말 드로잉을 해보고 싶단 생각을 했다. 저자는 아내가 불의의 사고로 장애인이 되고 부터 주변의 사물을 그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세상의 모든 날들이 소중하다는 평범하지만 깨닫기 힘든 진리들이 책장 곳곳에 숨어있다.

그중에 기억나는 한마디, 아내가 장애인이 되고 절망하고 있는데 장애인 친구가 해준 말

'느리지만 깊고 진한 삶이 시작될꺼라고...

이 말이 며칠동안 머릿속을 맴돈다. 그래, 조금 늦더라고 순간순간이 감동이고 의미있을 수 있는 데..

나는 늘 왜 아둥바둥 불안초조해했을까.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기를 중단하고 삶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있는 우리 자신에 대해 매일 매시간 마다 생각해봐야 한다는 진리를 요즘 두 책으로 부터 얻었다. 아마도 이 책 두권이 올해 나에게 최고의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또 다른 한권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찾길 바래' 는 틀린 표현이고 '찾길 바라' 가 맞는 표현이랍니다.

 

그런데 문득 드는 생각...  이렇게 맞춤법 다 맞게 말하는 사람은 너무 정떨어질꺼 같으요... ㅠ.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래 쑥맥이라는 말은 한자숙어 菽麥不辨에서 온 말이다.

                                                                     

         숙맥  (ㅇ)      

 

 

쑥맥이 틀리고 숙맥이 맞다는 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