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는 영화를 별로 보지 않았다. 극장에도 손에 꼽을 정도로 갔고, 그렇다고 집에서 본 것도 아니었다. 겨울쯤 부터 올해는 영화를 좀 많이 봐야겠다는 생각에.. 요즘 본 영화들을 기억에서 끄집어내 본다. 

  

예스맨  - 우와, 난 짐캐리를 예전부터 좋아하고 있었지만, 이렇게 또 쏙 반하는 연기를 선물할 줄이야. 조조로 나혼자 극장가서 본 영화고, 너무 좋았다. 흠, 예스맨이 되기 위해 모인 그 집회는 다소 삼성을 연상시켰지만.. 또, 매사에 예스예스만 연발하는 건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영화는 좋았다. 특히, 뭔가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장면들은 나의 생각과 같기 때문에 새로운 것에 도전해 보려는 생각들이 이 영화를 보고나서 스물스물 올라왔다. '청주날씨 어때요?' 이거 너무 우꼈다. 한국어로 꽤 오랜시간 연기를 하다니 이런 정보를 하나도 모르고 봤는데 정말 재밌었다.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 이 영화를 보기 위해 펭귄클래식에서 나온 피츠제럴드의 단편집을 읽고 극장으로 달려갔다. 와, 단편과는 많이 다르지만 나는 영화가 더 좋은 것 같다. 적절히 주제를 잘 뽑아냈다. 노인이 노인으로 사는 것은 노인의 자세가 몸에 뱄기 때문이다. 그 자세 하나로 중년이 노년이 결정된다. 나는 어떤 자세로 살아갈 것인가. 이 영화를 보고 너무 감동이어서 친한 친구가 안봤다길래 나 한번 더 볼꺼라고 같이 극장에 갔다가 한시간도 넘게 잤다. 음하하... 내가 그렇지 뭐...  

멋진 하루 - 하정우는 정말이지, 정말 배우로구나. 추격자에서도 그랬지만 이 능청스러운 연기는 정말이지... 처음에 이 뺀질이 건달 짜증났지만 막판에 그 여자(이혼녀 마트직원?)의 태도 때문에 정말 반전이라고 느껴질정도로 머리털이 쭈뼛섰다. 심지어 하정우와 같은 태도로 살아가는데 어찌보면 부러운 것 같기도 하고... 이 영화 꼭 보라고 널리널리 알리고 싶다.   

말리와 나 - 몇년전 책을 읽고 울었기 때문에 실망할까봐 보기가 그랬으나, 봐버렸다. 천둥을 무서워하는 장면, 해변에서 놀던 장면, 목걸이를 삼켜버린 장면...들이 책에서 읽었던게 하나하나 기억에 떠올랐다. 하지만 역시 책이 더 좋았던 것 같다. 기억에 남는 대사는... 그로건이 쓴 기사에 대해 상사가 평하는 장면이었다. 기자는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고... 우리는 사실과 의견을 얼마나 혼동하는가. 사실에 가치를 부여하여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편견을 만드는 것은 비일비재하다. 어떤 것에 대해 받아들이는 것도 표현하는 것도 사실과 의견의 구분을 명확히 해야한다.  

워낭소리 - 간만에 엄마랑 본 영화. 워낙 흥행해서 인지 cgv에서 재상영까지 하던데.. 나는 시골에서 자라서 그런지 그닥 감동은 못 느꼈다. ㅋㅋ 엄마역시.. 초반에 소 목의 방울소리가 좀 거슬렸던거 같고, 발이 아픈데 자꾸 걸어서 안타까웠다. 음,, 소는 정말이지 여느 동물과는 다른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동물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을 읽기 전에 다른 사람의 리뷰를 보고 함안댁이 죽는 다는 걸 알았었다. 꽥! 이건 스포일러라고.. 땅을 치며 읽기 시작... 함안댁이 죽은건 약과였다는 걸 깨달았다. ㅋㅋ 호열자(콜레라)가 돌아 마을 사람의 상당수가 죽어버린다. 심지어 윤씨마님까지, 봉순네도.. 흑흑.. 서희의 인생은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까. 어이없이 등장한 조준구와 홍씨가 아주 미워죽겠다. 아씨가 어서 자랄수밖에...  

하지만 뭐니해도 가장 충격은 용이의 변신!! 월선과 이루지 못할 사랑때문에 앞에서는 측은했는데 이건 뭐 임이네를 임신시켜 아들까지 얻고 조금 꼴배기 싫어졌다. ㅋㅋ 끝부분에 구천이 잠시 등장하는데 별당아씨는 어찌된건가 기대된다.  다른 책들과 동시에 읽으니 마치 연속극을 보는 것 같다. -_-;; 몰아서 읽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 먹는 법 

                                       정 호 승 

        밥상 앞에
        무릎을 꿇지 말 것
        눈물로 만든 밥보다
        모래로 만든 밥을 먼저 먹을 것

        무엇보다도
        전시된 밥은 먹지 말 것
        먹더라도 혼자 먹을 것
        아니면 차라리 굶을 것
        굶어서 가벼워질 것

        때때로
        바람 부는 날이면
        풀잎을 햇살에 비벼 먹을 것
        그래도 배가 고프면
        입을 없앨 것  

------------------------------------------- 

요즘 내가 보는 시집..  배가 혹은 마음이 허할 때 이런 시를 보고 있으면 때론 더 허기가 지고 때론 배가 부르다.  

나이에 따라 밥을 먹는 법도 달라진다. 요즘 나는 어떤 방법으로 밥을 먹고 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9-01-30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의 밥 먹는 법은? 전 요새 속탈이 나서 먹기가 겁이 나요.
아마도 밥 먹는 법에 잘못이 있나 싶네요.^^

스파피필름 2009-01-31 02:54   좋아요 0 | URL
이런이런.. 저도 요즘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들 먹으면 탈이 잘 나요 ㅠㅠ
시처럼 풀잎을 햇살에 비벼먹어도 배가 부르면 참 좋을텐데말이죠.. ^^
 

 

                         밥 

                                             천 양 희 

 

       외로워서 밥을 많이 먹는다던 너에게 

       권태로워 잠을 많이 잔다던 너에게 

       슬퍼서 많이 운다던 너에게 

       나는 쓴다.  

       궁지에 몰린 마음을 밥처럼 씹어라.  

       어차피 삶은 너가 소화해야 할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천이와 환이가 동일인물인가.. 잠시 헤깔린다. 별당아씨랑 도망갔다는 부분에서 둘의 관계는 나오지 않고 구천이라 했다가 환이라고 했다가 하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니 역시나 나와같은 질문을 해놓은이가 있다. ㅋㅋㅋ  신분을 숨기고 최참판댁 종으로 들어오는 부분은 뒤에 나오나 보다. 평산과 길상, 귀녀가 음모를 꾸밀 때 설마 치수를 죽일까 했는데.. 죽여버렸다. 뭔가 큰 인물일줄 알았는데 초반에 죽네. 윤씨마님이 환이를 낳는 부분이 2권에 나와있다. 월선을 잃은 용이는 시름시름 앓는다. 토지에 나오는 수많은 아낙들은 대게는 복이 없다. 그냥 평범한 아낙들이라서 그런지 누구하나 멀쩡한 남편 갖은 이가 드물다. 쩝. 자,이제 최참판네 집안은 어찌 될것인가. 그런데 예전에 드라마로 할때는 왜 안봤나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09-01-21 0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도 멀쩡한 남편이 드문데 그시절엔 더하지 않았을까요? 시대가 힘겨워지면 아낙과 아이들이 가장 힘겹게 견디어 내는 듯 합니다.
제가 무척 좋아하는 소설이라 글 달아봅니다. 사투리도 정겹고 다소 거칠지만 정겨운 고향 흙길을 느리게 걷는 느낌의 소설이라 참 좋습니다.

스파피필름 2009-01-21 08:38   좋아요 0 | URL
사투리가 적응되니까 정겹고, 휘모리님 말씀대로 정말 소설에서 흙냄새가 나는 것 같아요.. 요즘 정말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