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아르투르 토스카니니가 협연해서 1940년에 녹음한 연주가 있는데, 이는 참으로 무시무시하다고 밖에 표현할 수 없는 연주다. 이 작품이 이탈리아 여행 후의 즐거운 시기에 작곡된 것이라 하여, 대부분의 연주자들은 터치를 가볍고 산뜻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호로비츠는 강한 터치로 중후하게 울리고 있어서 우선 피아노의 웅장한 음에 압도되고 만다. 녹음 당시 36살, 젊었을 때부터 거장이라는 칭호를 가졌던 그가 적어도 힘과 기교란 면에서는 최고의 시기였다. 물론 음악성도 만개한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는 그가 3년 후에 역시 토스카니니와 녹음한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통해 알 수 있다.
토스카니니의 지휘도 오케스트라를 강하게 강하게 때로는 어둡게 울리면서 호로비츠의 피아노와 멋진 경연을 벌이고 있다. 최고의 거장들이 빚어내는 팽팽한 긴장감은 듣는이로 하여금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게 한다. 협주곡이라기보다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대교향곡'이라는 칭호가 더욱 잘 어울릴 것 같다.
1악장 처음 시작할 때부터 물결치는 음향에 몸이 떨리며, 4악장이 끝날 때까지 어느 한 곳 허술히 들을 수 없는 최고의 절대적인 명연주다. 이 곡의 대표적인 명연주로 손꼽히는 박하우스, 뵘의 1967년도 연주와는 가는 길이 정반대이지만 우열을 가리기 힘들며, 개인적인 선호로는 가점을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