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970년대 당시의 신세대 명연이다. 

은쟁반에 옥구슬 굴러가는 듯한 굴다의 피아노는 투명함 그 자체이다. 황제의 위풍당당한 모습은 오히려 슈타인 지휘의 빈필이 들려준다. 영롱하고 화려하게 조탁한 피아노 사운드와 장중한 관현악은 언뜻 이질적이면서 묘하게 잘 어울린다.  

브렌델-하이팅크 콤비의 내면적 충실성을 논외로 한다면 '황제'라는 부제가 주는 곡상의 외향적 화려함을 잘 표현한 연주... 

하지만 개인적으로 굴다의 피아노는 모차르트에 보다 적합하다는 생각이 이 연주를 들으면서 계속 떠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앙세르메의 연주는 무엇보다도 선명한 색채감이 특징이다. 서두르지 않는 차분한 템포로 개별 곡의 섬세한 묘사에 노력하면서도 금관의 시원한 분출에서는 거대한 스케일마저 느끼게 한다. 당시 데카의 뛰어난 녹음도 한몫을 하고 있다. 

물론 무소르그스키의 러시아적 정취를 선호하는 이에게는 지나치게 화려하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라벨 편곡의 프랑스적 오리지낼러티를 제대로 살린 음반으로서는 첫손에 꼽힐 만하다. 

라이센스 LP로 소장하고 있는데, 현재나온 CD 음반으로는 구입하기가 마땅치 않다. 데카에서 레전드 시리즈 또는 오리지날스 시리즈로 출반해 주면 당장 구입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클라우스 텐슈테트. 개인적으로는 그저그렇게 평가하는 지휘자다. 몇 장의 음반을 접했지만 딱히 마음을 사로잡지는 못하였다. 그래서 유명세는 영국 평론가들의 띄우기로 치부하곤 하였다.

그런데 이제 그가 지휘하는 말러의 제5번을 제대로 들었다. 1988년 그의 암 투병에서 복귀 무대다. 이건 좋은 의미에서 독일적인 소박함과 강건함을 지닌 연주다. 다소 어두우며 내재적으로 응축된 에너지는 과도하지 않으면서도 이따금 폭발적 에너지를 표출한다. 그의 유명한 라이브 연주들, 즉 제1번과 제6번 등과는 달리 작위적인 과장이 드러나지 않는다.  

텐슈테트의 지휘 스타일과 실황 연주라는 특성상 음악이 물흐르듯이 매끄럽게 흘러가지는 않지만 결코 느슨해지거나 유기적인 끈을 놓치지 않는 점은 불가사의다. 횡적으로 또 종적으로 고르지 않지만 무뚝뚝하나 퉁명스럽지 않은 어투로 들려주는 말러도 제법 매력적이다. 여기서 그의 신경질적 자극을 기대하지는 말자.

어쨌든 번스타인, 카라얀 등과 확연히 대비되는 또다른 차원의 명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도와 실황임을 감안하고 들었는데 기대를 뛰어넘는 음질을 들려주었다.  

아직 말년 번스타인 특유의 거대하게 확장된 음의 세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지만 자체로서도 수준급의 연주라고 생각한다. 장대하게 폭발하는 힘은 오히려 이때가 더 낫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논리적으로 구축되고 정제된 말러가 아니라 생명력이 살아 숨쉬고 꿈틀거리는 말러의 8번을 원한다면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 뜻깊은 음반이다. 내가 제일 처음으로 구입한 발레 음악이자 <백조의 호수> 음반이다. 당시 서울음반에서 내놓은 라이센스 LP 음반이었는데, 아직 CD로는 국내에 나오지 않은 듯하다. 매우 아쉽다. 이렇게 탁월한 연주가 묻히다니.

주연 여자무용수가 전면에 나와 양팔을 벌리고 그 뒤를 남자무용수가 받쳐 주는 아름다운 음반 재킷은 고전 발레에 대한 나의 환상을 한껏 충족시켜 주었으며 선곡과 연주 또한 뛰어나서 참 많이도 듣고는 하였다.

모든 발레 음악과 마찬가지로 <백조의 호수> 연주는 발레 음악으로 연주할 것인가 아니면 귀에 쏙쏙 감기는 아름다운 관현악곡으로 접근할 것인가하는 분기점이 존재한다. 작품의 인지도에 비해 발레 지휘와 감상 경험을 갖기란 실제로 어렵기 마련이므로 대개의 지휘자와 청자는 관현악 작품으로 받아들인다. 확실히 이 편이 해석의 제약을 벗고 템포와 극성의 자재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정통 발레 스타일의 연주는 작품의 진면모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하며, 더욱이 여기에 연주마저 뛰어나다면 금상첨화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주자가 바로 알기스 주라이티스와 볼쇼이 오케스트라다. 이들의 <백조의 호수>는 요약하면 서정과 극성을 절묘한 융합이다. 연주와 녹음이 환상의 조화를 이룬 소위 명반의 필요충분조건을 지닌 셈이다.

이들의 대단함은 1막 왈츠의 피치카토 개시부만 들어도 쉽사리 알아차릴 수 있다. 이어지는 바리에씨옹과 코다를 통해 우아하고 세련되며 역동적인 매력에 흠뻑 취할 수밖에 없다. 아, 이게 바로 정통 고전 발레이구나. 1막 정경의 클라이막스에서 한껏 기대하였던 팀파니(큰북?)의 쿵 쿵 하는 타격감이 부재하여 처음에 실망하였던 기억이 떠오른다. 순전한 관현악곡 해석의 연주에 길들여진 탓임을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가장 압권은 역시 '파 드 되' 부분이다. 독주 바이올린의 섬세하면서도 애잔한 선율은 다른 연주에서는 결코 느껴보지 못하였다. 한껏 물기를 머금은 소리는 다소 느린 템포로 청자의 가슴을 후벼파는데 왜 이리 짧게 느껴지는, 그냥 이대로 한없이 지속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들을 때마다 남긴다. 연주자의 숨소리가 배어나오는 게 이채로우면서 거슬림이 없다.

2막에서 스페인 춤, 나폴리 춤 등의 장면에서는 너무나 흥겨운 나머지 콧노래가 나오며 무릎을 들썩들썩, 고개를 까딱까딱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장면에서 무심한 사람의 감수성에는 절대 동의하지 못한다.

1983년 당시, 멜로디야와 일본 빅터의 협력으로 만든 이 연주가 완전한 전곡판으로 다시 출반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