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반정보
   - 레이블: Aulos media
   - 음반번호: AMC2-061
   - 수록시간: 60:24

2. 연주자
   - 피아노: 최희연 (HIE-YON CHON)

국내 여성 피아니스트 중심계보로 손꼽히는 피아니스트 최희연은 7세에 인천시향과 협연으로 데뷔한 후 본격적인 음악도로 성장하였고 서울예고 졸업후 도독하여 베를린 국립 음대에서 클라우스 헬비히와 한스 라이그라프 교수를 사사하면서 독일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인디애나 음대에서 죄르지 셰복교수를 사사하며 아티스트 디플롬을 취득한 최희연은 1999년 귀국하여 현재 서울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화 경향, 한국, 중앙, 동아 음악콩쿨 등을 모두 석권하였으며 이태리 비오티, 부조니, 미국 카펠, 프랑스 에피날, 스위스 하스킬 콩쿨, 아테네의 마리아 칼라스 콩쿨등의 국제콩쿠르에서 입상, 국제무대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최희연은 이태리의 아씨씨 국제음악제, 일본 요코하마 국제음악제, 독일 슐레스비히 홀스타인 음악제를 비롯하여 룩셈부르크, 스웨덴, 이태리, 독일, 일본, 미국 등지에 초청되어 수십회의 독주회를 가졌고 베를린 심포니, 베를린 방송교향, 워싱톤 내셔날, 로잔 챔버등의 유럽과 미국의 유수한 오케스트라와 수차례 협연하였다. 이 연주회들의 일부는 독일, 이태리, 스위스, 스웨덴 각지에 라디오 및 TV방송을 통해 실황 중계되었으며 1988년에는 Parke & Davis 사의 후원으로 리스트의 파가니니 연습곡 전곡 음반을 내서 극찬을 받았다.
귀국한 후 최희연은 KBS 심포니, 코리안 심포니, 서울시향, 부천시향, 원주시향, 창원시향, 바로크 챔버등과 협연, 전국 순회 독주회를 비롯하여 금호 사중주단, 야나체크 사중주단, 빌라 무지카 앙상블(Villa Musica Ensemble)과의 실내악 연주 등 왕성한 연주활동을 펼체 제35회 난파 음악상 수상자로 선정되었고 2001년에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쇼팽 에튀드 전곡을 녹음하였으며, 브레멘 음대, 베를린음대, 미국 브레바드 음대, 독일 레거 음악제, 스위스 에르넨 무직도르프 등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는데, "소름 끼치는 전율", "힘과 비르투오소, 음악성으로 충만한 연주"라는 호평을 받았다.
최희연은 또한 지난 2002년부터 건반악기를 위해 작곡된 음악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위대한 유산인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전32곡을 금호 아트 홀 특별 시리즈로 완주해 오고 있는데 "주목할 만한 대형 피아니스트", "절정에 다다른 완벽한 연주"라는 등의 지속적인 호평을 받으며 회를 거듭할수록 진지하고 열정적인 무대를 만들어 청중을 사로잡고 있다.  [내지에서...]

3. 녹음
   1) 녹음일자: 2001.07.02-04
   2) 녹음장소: Ebert-Halle, Harburg

4. 프로그램
        F.Chopin: Etudes, Op.10
   01. No.1 in C major  (2:04)
   02. No.2 in minor  (1:23)
   03. No.3 in E major  (4:09)
   04. No.4 in C sharp minor  (2:06)
   05. No.5 in G flat major, <Black Key>  (1:44)
   06. No.6 in E flat minor  (3:46)
   07. No.7 in C major  (1:41)
   08. No.8 in F major  (2:27)
   09. No.9 in F minor  (2:05)
   10. No.10 in A flat major  (2:10)
   11. No.11 in E flat major  (2:46)
   12. No.12 in C minor, <Revolutionary>  (2:51)
        F.Chopin: Etudes, Op.25
   13. No.1 in A flat major  (2:29)
   14. No.2 in F minor  (1:28)
   15. No.3 in F major  (1:51)
   16. No.4 in A minor  (1:40)
   17. No.5 in E minor  (3:18)
   18. No.6 in G sharp minor  (2:01)
   19. No.7 in C sharp minor  (5:45)
   20. No.8 in D flat major  (1:09)
   21. No.9 in G flat major  (1:06)
   22. No.10 in H minor  (4:05)
   23. No.11 in A minor, <Winter Wind>  (3:36)
   24. No.12 in C minor  (2:33)
    

최희연의 음반이길래 반가운 마음에 덥석 집어들었다(정확히는 쇼핑카트에 담았다). 그녀가 누구인든가. 나와 인연이 깊은 일련의 음악회의 첫번째 연주자 중의 하나였으며 함께 만찬을 같이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음반에 수록된 곡목에 상관없이 나는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

솔직히 쇼팽의 연습곡은 조금 의외였다. 그녀라면 응당 베토벤 소나타를 낼 줄로 생각하였는데. 사실 연습곡을 잘 모른다. 원래 비전공자인데다 악보에는 까막눈이라서 피아니스트에게 어떤 존재인가는 알지 못하는 일반 감상자로서 연습곡 자체는 그다지 재미있는 곡이라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이는 폴리니의 음반을 들어도 마찬가지다. 결국 쇼팽과 나 둘 중의 하나에 원인이 귀속된다.

그녀 정도의 역량이라면 보다 많은 음반 출시도 가능할 텐데. 분발하기 바란다. (리스트의 파가니니 연습곡 음반이 있었다니 구할 수 있으려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12-02-22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나무님의 글 덕분에 최희연님이 위대해보이기까지 합니다.
 



 

 

 

 

1. 음반정보
   - 레이블: PROARTE (SKC 라이센스)   * 요즘에는 ORFEO 레이블을 달고 시중에 나와있음
   - 음반번호: NTCD-013
   - 수록시간: 42:16     * CDP에는 41:41로 표시됨

2. 연주자
   - 피아노: 백건우 (KUN WOO PAIK)
   - 지휘: Gary Bertini 
   - 연주: Stuttgart Radio Symphony Orchestra

한국 출신의 피아니스트 백건우는 1972년 한 연주회에서의 그의 대담한 시도로 일약 유명해졌다. 그날 뉴욕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그는 라벨의 피아노 독주곡 전곡을 연주했으며 그에 대한 반응은 대단한 것이었다. 세계는 그의 명인기적 기교와 시적인 강렬함에 매료되었으며 바이런의 말처럼 그는 하루 아침에 유명해졌다.
하지만 그는 이미 나움부르그 페스티벌 1등상, 부조니 콩쿨 1등상, 레벤트리트 콩쿨에서의 본선 진출 등 다양한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견 피아니스트였다.
백건우는 16세의 어린 나이에 뉴욕의 미트로풀로스 경연대회에서 이미 입상하였는데 그 이전에는 서울에서 그의 아버지로부터 음악 교육을 받았다. 이후 한국 정부의 도움으로 줄리아드에 유학한 그는 로지나 레빈, 빌헬름 켐프, 귀도 아고스티 등의 선생에게 사사하였다.
현재 파리에 살고있는 백건우는 스폴레토 페스티벌에 자주 참가하고 있으며 프랑스, 런던, 잘츠부르크, 독일, 미국 등에서 수시로 연주하고 있다. 1975년에는 베를린에서 다시 한번 라벨의 전곡 연주로 선풍을 일으키기도 했다.  [내지에서...]

3. 녹음
   1) 녹음일자: 1981.11
   2) 녹음장소: Villa Berg, Stuttgart

4. 프로그램
        M.Ravel: Piano Concerto in G  
   01. Allegramente-Andante  (8:18)
   02. Adagio asssai  (8:55)
   04. Presto  (5:06)
        M.Ravel: Piano Concerto in D for the Left Hand
   05. Lento-Andante-Allegro  (19:57)
   

데카에서 바흐-부조니와 포레의 독주집을 낸 후 백건우는 베토벤 소나타 전곡과 쇼팽 협주곡 전곡을 녹음하는 등 메이저 레이블에서 눈부신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이전에는 BMG에서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전곡을 단발로 내놓기도 하였다.

따라서 최근의 경력만 보고 백건우의 화려한 각광에 치중한다면 그의 별칭 '건반 위의 구도자'처럼 한발 한발 황소의 걸음처럼 꾸준히 지반을 다져온 그의 수많은 나날을 외면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VRIGIN에서의 독주집과 NAXOS의 프로코피에프 협주곡 음반(음반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전에 그는 마이너에서 스크리아빈의 독주집과 라벨의 협주곡 음반을 출시하였다. 오늘날처럼 주목받는 스타가 아니었기에 눈길을 잡아끄는 데 실패했지만 그렇다고 연주의 가치가 저하되는 것은 아니다.

삼십대 중반에 접어들고 라벨 스페셜리스트로 인정받기 시작한 그가 좋은 반주자를 만나 혼신을 기울인 자취의 결과가 여기에 있다. 사후에 말러 전문가로 인정받는 불운한 지휘자 게리 베르티니는 어쩌면 백건우와 상성에서 잘 어울릴 것 같다. 외향적인 화려함 보다 내면에 파고드는 두 연주가들의 기백이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음반정보
   - 레이블: ARCADIA
   - 음반번호: ARC-2014-2
   - 수록시간: 56:03

2. 연주자
   - 비올라: 오순화 (SOON WHA OH)
   - 피아노: Mario Angelov

바이올린과 첼로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하는 비올라의 특성상 연주자가 부각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식견있는 음악 애호가들로부터 뛰어난 비올라 독주자로 주목을 받아왔다.

그는 서울예고 1학년 재학중 미국으로 건너가 메도우 마운트 썸머스쿨과 줄리아드 프리컬리지를 거쳐 줄리아드 음대 및 동대학원에서 마가렛 파디와 폴 독터 교수를 사사했으며 장학생으로 졸업하였고, 독일 뮌헨 R.스트라우스 콘서바토리움에서 M.A.로데 교수의 연주 조교로 활동하였다.

그는 이미 유학생활 AMTL콩쿠르를 비롯해 그레이트 넥 영 아티스트 콩쿠르, 줄리아드 바하 콩쿠르, 줄리아드 베를리오즈 콩쿠르 등을 석권하는 등 두각을 나타낸바 있다.
또한 그는 링컨센타, 카네기 리사이틀홀, 독일 뮌헨, 일본 오사카, 교토 등지에서 여러차례의 연주회를 가진바 있고, 국내에서도 꾸준히 독주회를 열어오고 있으며, 서울 시향, KBS 교향악단, 바로크 합주단, 부산시립 교향악단, 줄리아드 심포니, 상해 교향악단 등 국내외 오케스트라와 여러차례 협연을 하였다.

현재는 실내악 그룹 '코리안 솔로이스츠'의 멤버와 비올라 전문 계간지인 올라비올라의 발행인으로 활약하고 있는 그는 한국 예술 종합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후배 비올리스트 양성에 각별히 전념하고 있다. [내지에서...]

3. 녹음
   1) 녹음일자: 2000.02.04-09
   2) 녹음장소: Bulgaria Concert Hall, Sofia, Bulgaria

4. 프로그램
   01. P.Hindmith: Sonata for Viola & Piano, Op.11, No.4 
        - Fantasie  (2:48)
        - Thema mit Variationen  (4:23)
        - Finale (mit Variationen)  (10:40)
        M.Glinka: Viola Sonata D Minor
   02. Allegro moderato  (9:29)
   03. Larghetto ma non troppo (Andante)  (6:43)
   04. J.S.Bach: Arioso (From Cantata No.156)  (3:36)
   05. G.Faure: After a Dream (Apres un Reve)  (3:00)
   06. C.Debussy: Beau Soir  (2:24)
   07. M.Bruch: Romanze Op.85  (7:48)
   08. S.Rachmaninov: Vocalise Op.34  (4:43)


흔치않은 비올라 독주 앨범이다. 앞표지에는 누워서 꿈꾸듯 눈을 감고 있고, 뒷표지에는 화사하게 웃음짓는 표정의 연주자가 각각 모델로 나서고 있다. 대조적인 모습이 어쩌면 이 음반의 전체적 분위기를 드러낸다고 생각한다. 비올라도 꿈꿀 수 있는 악기임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일까.

비올라는 여전히 비대중적이다. 그 점은 내게도 마찬가지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다고 할까, 그래서 더욱 감질나게 만든다. 나도 한번 연주자처럼 비올라의 매력에 푹 빠져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BS FM SERIES FOR THE 21ST CENTURY / KOREAN MUSICIANS 66

1. 음반정보
   - 레이블: 신나라뮤직
   - 음반번호: KCC-A113
   - 수록시간: 63:50

2. 연주자
   - 피아노: 이형민 (LEE, HYUNGMIN)

이형민은 1968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 음대를 졸업했다. 이후 이스트만 음대에서 전문 연주자 과정을 이수하고, 피아노 연주와 문헌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형민은 코퍼스 크리스티 국제 콩쿠르 입상을 비롯해서, 막스 랜도우 기념재단상 등을 수상했다. 이형민은 국내외에서 많은 연주회로 호평을 받았는데,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위시해서 국외에서는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 방송 교향악단, 폴란드 브로클라브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에버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바 있다. 특히 1997년에는 폴란드 국립 방송 교향악단과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으로 데뷔 CD를 제작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 예술 종합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내지에서...]

3. 녹음 
   1) 녹음일자
      - 2000.09.18/09.25
      - 1999.03.12 (Track 10, Live)
   2) 녹음장소
      - KBS Radio Studio 16
      - 호암아트홀 (Track 10)

4. 프로그램
   01. R.Schumann: Arabeske Op.18 (아라베스크 Op.18)  (7:03)
   02. C.Debussy: 'Feux d' artice' from Prelude Book II (전주곡집 제2권 중에서 '불꽃')  (4:46)  
   03. D.Scarlatti: Sonata E major K.380 'Andante' (피아노 소나타 E장조 K.380)  (5:57)
   04. D.Scarlatti: Sonata A major K.24 'Presto' (피아노 소나타 A장조 K.24)  (4:51)
        A.Ginastera, Danzas Argentinas Op.2 (아르헨티나 춤곡 Op.2)  (9:01)
   05. Danza del Viejo Boyero (Dance of the Old Cowherd)  (1:15)
   06. Danza del la Mozza Donoza (Dance of the Delightful Young Girl)  (4:07)
   07. Danza del Gaucho Matrero (Dance of the Artful Herdsman)  (3:29) 
   08. F.Chopin: Andante Spianato and Grande Polonaise Op.22  (14:38)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그랜드 폴로네즈 Op.22)
   09. F.Liszt: Liebestraum No.3 (사랑의 꿈 제3번)  (4:54)
   10. F.Liszt: Mephisto Waltz No.1 (메피스토 왈츠 1번)  (11:30)
   

도전적인 표정의 강렬한 인상을 풍기는 표지에 충동구매를 한 음반이다. 몇번 들어봐도 역시 피아노 독주곡들은 쉽게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기껏해야 쇼팽과 리스트 정도. 그냥 소장 자체에 만족하고 있는 형편이다. 데뷔 음반이라는 모차르트 협주곡 CD를 구하고 싶은데 아무리 검색해도 구하기가 어렵다.
오랜만에 꺼내서 들어보니 의외로 좋게 다가온다. 그동안 내공이 쌓였나보다. 음이 따뜻하고 풍요로워 서정적인 정감을 은은하게 풍기는 게 기분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음반정보
   - 레이블: MUSICPHIL
   - 음반번호: N/A
   - 수록시간: 69:26

2. 연주자
   - 트리오 탈리아 (Trio Thalia)
     1) 바이올린: 김이정 (E-JUNG KIM)
     2) 첼로: 이숙정 (SOOK-JUNG LEE)
     3) 피아노: 오윤주 (YOON-JU OH)

2002년에 성공적인 창단 연주회와 더불어 우리 음악계에 신선한 화두를 던진 트리오 탈리아는 바이올린의 김이정, 첼로의 이숙정, 피아노의 오윤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스 신화의 여신 "Thalia" (자연과 인생에서 우아함과 미를 상징하는 여신으로서, 시와 예술세계에 영감을 주는 역할을 하며, "만발한 꽃", "기쁨"을 상징하기도 한다)에서 명칭을 가져와 모든 사람들에게 예술적 영감과 기쁨을 선사하는 그룹으로 음악계의 높은 관심과 관객들의 열정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세 연주자 모두 미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 오랫동안 수학하며 쌓은 기량으로 활발한 솔로와 실내악 활동을 통하여 잘 알려진 아티스트들로 다양한 음악적 색채와 레퍼토리로 매 음악회마다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다. 브람스, 베토벤과 같은 정통 레퍼토리를 비롯하여 Aaron Copland, Dmitry Shostakovich, Rebecca Clarke, Frank Martin, 그리고 Astor Piazzolla에 이르기까지 여러 장르와 시대를 트리오 탈리아만의 독창적이고 섬세한 해석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매년 정기연주회는 물론, 금호 스페셜 콘서트, 삼성리움미술관, 이원문화센터, 미 대사관 등의 초청 연주, 박창수 House Concert의 고정 Guest Artist 등 크고 작은 연주회들을 통하여 그들의 영역을 확장하며 다양한 계층의 관객들에게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또한 2006년에는 코스메틱 브랜드인 ‘코스메 데코르테’의 ‘밀리오리티 클럽’ 홍보대사로 선정되어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바 있다.

2007년 시즌에는 4월 예술의전당에서 주최하는 교향악 축제에서 전주시향과 베토벤의 <Triple Concerto>를 협연하였으며, 5월에는 울산에서의 초청연주 및 고려대학교 초청연주(고려대 인촌기념관)를 가진 바 있으며, 9월 충무아트홀 갤러리 초청연주회와 정기연주회 등 다양한 무대에서 관객들과의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내지에서...]

3. 녹음 
   1) 녹음일자: 2007.05.31 (Live)
   2) 녹음장소: Inchon Memorial Hall, Korea University

4. 프로그램
   01. Johann Strauss II: Wiener Bonbons (비엔나 봉봉)   (6:58)
        Astor Piazzolla: Four Seasons in Buenos Aires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사계)
   02. Primavera porteno   (4:20)
   03. Verano porteno   (6:46)
   04. Otono porteno   (5:24)
   05. Invierno porteno   (6:10)
        Shostakovich: Piano Trio No.2 in e minor, Op.67 (피아노 트리오 제2번 e단조, 작품 67)
   06. Andante   (7:39)
   07. Allegro con brio   (3:06)
   08. Largo   (5:13)
   09. Allegretto   (11:10_
        Rodion Shchedrin: Three Funny Pieces (세 개의 유쾌한 소품들)
   10. Conversations: Rubato recitando   (1:40)
   11. Let's Play an Opera by Rossini: Recitativo-Allegro assai   (2:25)
   12. Humoresque: Sostenuto assai   (2:57)
   13. [Encore] Vittorio Monti: Czárdas No.1 (차르다슈 1번)   (5:21)
   

개인적으로 깊은 관련을 지닌 음반이다. 그래서 더욱 애착이 간다. 트리오 탈리아로서도 첫음반이니만큼 그들의 감흥도 남다를 것이다. 프로그램이 정통 클래식에서 약간 벗어나지만 어렵지 않아 공연에서 대중적 호응도 매우 좋았다. 그래도 백미는 쇼스타코비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