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하바라타 - 불멸의 인도문학 2
비야사 지음, 주해신 옮김 / 민족사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불멸의 인도문학 2.
마하바라타는 라마야나와 쌍벽을 이루는 인도의 고대 서사시다. 무려 10만 구절의 20만행의 분량만으로도 초대작인 이 작품은 그 유명한 그리스의 양대 서사시를 합한 것의 8배에 해당하는 분량이고 한다.
작가는 비야사라고 하는데, 대개 고대 서사시가 그러하듯 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닐 뿐 오랜 기간의 무명 악사들에 의한 공동 작업의 결과물이라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인도인들은 "이 세상 모든 것이 마하바라타에 있나니 여기에 없는 것은 이 세상에는 없는 것이다"라고 말한다고 한다. 참으로 이 대작에는 인간사의 모든 측면이 깊숙이 드리워져 있다.
크게 보면 판다바들과 카우라바들의 친족 간 왕위 계승 전쟁에 불과하지만, 마치 <일리아스>에서 그리스 연합군과 트로이 동맹군이 세계(그들이 아는 범위 내에서)의 패권을 건 일대 혈투를 벌이듯 온 인도의 국가들이 양측에 갈라져 격전을 벌인다.
그 결과는 무엇일까? 외관상 판다바들의 승리로 끝나지만 수많은 혈육과 친지, 지지자들을 잃은 마당에 상처뿐인 영예를 차지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런지. 오히려 이를 계기로 고대 인도의 정치체제가 붕괴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화를 보면 언제나 고대는 완전하고 선한 세상이다. 성경에서 아담과 이브가 그러하며, 고대 중국의 요순 시절에 대한 회귀적 갈망이 또한 그러하다. 그리스신화에서 황금시대에서 철의 시대로 오는 과정도 다르지는 않다. 마찬가지로 인도에서도 바라타족의 전쟁을 계기로 환상이 깨지기 이전에 신성과 절대선은 추앙을 받았다. 라마야나와는 달리 이 작품에서는 친족 간의 살해가 빈번히 등장한다. 그리고 다르마(도덕)의 기준 자체가 흔들리고 있음을 발견한다. 그만큼 라마야나보다는 후대에 기술되었음을 추정케 한다.
카우라바들은 판다바들을 시기하여 죽이려고 하다 실패하고 결국 대전쟁으로 귀착되는데, 이 과정에서 판다바들의 부인에 대한 비겁한 모욕으로 씻을 수 없는 분노를 유발한다. 이 분노의 결과 비마는 일백 명에 달하는 카우라바들을 한명만 제외하고 모조리 죽여버린다. 또한 상호 전투 과정에서 엄숙하게 선서하고 지켜지던 계율들, 즉 무기없는 자는 공격하지 않는다, 비전투요원을 공격하지 않는다, 전투는 일몰과 함께 끝난다, 하체는 공격하지 않는다 등등의 전투가 진행되면서 하나씩 무시되고 마침내 비마는 두료다나의 두 다리를 공격하여 전쟁을 종결짓지만 이로 인하여 다르마를 위배했다는 비난을 판다바들은 얻게 되고 잔여세력의 야습이라는 복수를 당하게 된다. 그리고 다르마푸트라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받던 유디슈티라는 거짓말로 드로나를 속여 그를 죽게 만드나 그 대가로 "언제나 지상에서 한 뼘쯤 떠서 다녔던 그의 전차가 드디어 지상에 닿았다는 것은 그 또한 속세의 속물로 떨어지고 말았다는 뜻이었다(P.403)."
교과서에서 인도의 카스트 제도에 대하여 듣지 못하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사실 보다 더 세분된 신분계급이 있다고 하는데, 속세를 다스리는 지배층은 크샤트리아며, 마하바라타 역시 크샤트리아들 간의 전쟁이다. 브라만은 고행을 통하여 영적인 신통력을 지닌 승려계급으로 원칙적으로 속세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전투에 참가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크샤트리아의 다르마는 "늙거나 병들어 침대에서 죽기보다는 전쟁터에서 자랑스럽게 죽기를 원하다"(P.289)고 하는데, "싸움터에서 죽는 무사에게는 남들이 크게 고생해야 얻을 수 있는 천국에의 길이 쉽게 열린다"(P.366)고 한다. 곧 크샤트리아는 전쟁이 다르마인 것이다. 그들에게 죽음을 바치는 대가로 속세의 지배권과 천국에의 약속을 보장하는 것이 인도의 계급 제도다. 한편 브라(흐)만은 속세를 떠나 숲속 등에서 은둔의 고행을 통해 신의 능력을 가지게 되는데, 고행자의 분노와 저주는 세속의 왕 뿐만 아니라 하늘의 신까지도 두렵게 만든다. 즉 천신조차도 위대한 브라만에게 고개를 숙인다. 439면을 보면 불의 신 아그니가 브라흐마차리야 삼바르타의 분노에 벌벌 떠는 장면이 소개되어 있다.
라마야나와는 달리 마하바라타에서는 신과 아수라 같은 인간 이상의 존재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크리슈나는 비슈누신의 화신이지만 결코 신 자체의 역할을 맡지는 않는다. 즉 바라타족의 전쟁과 패망은 신에 의해 운명지어졌지만 결국 이를 실행에 옮긴 것은 바라타족 자신인 것이다. 카우라바들의 아버지인 드리타라슈트라의 소시민적 선과 소극적 방관이 불화를 비극으로 이끈 계기가 되고 있다. 마하바라타의 시대에 와서 신은 인간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맹인의 코끼리 다리 만지는 우화가 있다. 마하바라타를 400여 면의 압축된 한 권의 책으로 진면모를 알았다고 하면 세인의 조소를 받게 될 것이다. 그나마 이것에라도 감사할 따름은 이조차 없다면 우리는 인도인의 정신세계의 큰 자리를 차지한 이 고전에 대해 발가락이라도 만져볼 기회가 없음에서이다.
판다바는 선하고 카우라바는 무조건 악하다고 비난할 수 없다. 어쩌면 보다 인간적인 것은 두료다나일 것이다. 뻔히 자신의 능력이 미치지 못함을 알고 맞부딪히면 깨질 것을 감수하면서도 그는 운명에 떠밀려서 한편으로는 감수하면서 죽음을 맞이한다. 그가 천국에 올라간 것은 전쟁터에서 죽은 크샤트리아로서가 아니라 악의 숙명을 묵묵히 감내한 그의 동정이 불가피한 인간적 속성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