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찰 - 선비의 마음을 읽다
심경호 지음 / 한얼미디어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사람과 사람의 따스한 연결고리를 복원하는 것]
요즘은 통상 편지 또는 서신이라고 일컬어지는 의사전달수단을 옛적에는 참으로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였음을 알고 저으기 놀랐다. 간찰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용어조차 낯선 척독은 또한 뭔지.
각설하고 이메일로 대치되어 거의 사라지다시피한 수기 편지는 이메일과는 다른 묘한 뒷맛을 주는 것 또한 사실이다. 추신이란 것도 수기 편지에서나 필요하지 이메일에서는 언제라도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니 말이다.
그러고보니 내가 편지를 써본지도 언제였는지 까마득하다. 군입대시 의무적 제출을 빼면 중고등학교 시절이 마지막이 아니었을까 싶다. 강제적 위문편지의 폐해는 그렇게 심대하였다. 마치 초등학생의 방학숙제였던 일기쓰기가 일기에 대한 조기 환멸을 불러왔던 것과 동일한 현상이다. 진정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정감있고 깊은 여운이 감도는 그런 글쓰기를 망치는 교육은 언제쯤 사라질 것인가. 며칠전 수시1학기 시험감독을 하였다. 논술고사 하나에 목매는 수험생도 애처롭지만 그들이 논술연마를 통하여 글쓰기의 즐거움을 깨칠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선인들은 얼핏 꼬장꼬장한 선비적 삶의 자세를 견지하였던 인물이라 할지라도 간찰과 같은 의외로 비공식적 부분에서는 대단히 유연하고 격의없는 태도를 보여준다.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외형적 엄숙성에 대한 선입견을 지닌 내게는 매우 신선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 책은 고려시대의 이규보로부터 조선말 황현에 이르기까지 24명의 간찰을 선택하여 게재한 후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기술하여 더욱 그 간찰의 맛을 음미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역사속 인물인 정몽주와 이황, 이이 등의 개인적 말투가 간찰 속에서 새록새록 친밀감을 자아내는 묘미는 역시 간찰이라는 특수한 형식이 주는 장점일 것이다.
간찰에는 기본적 형식요건이 준비되어 있다. 받는이, 안부인사, 본문, 맺음말, 작별인사 등. 요즘 편지도 형식은 크게 다르지 않다. 하물며 서양의 소위 레터(letter)도 형식면에서는 공통분모를 지닌다.
간찰에는 옛사람의 인간적 풍모가 물씬 배어난다. 당대의 학자들 간에 교제를 주고받기도 하며, 우정어린 조언을 교환하기도 하며, 스승이 제자의 안부를 걱정하며, 친구간에 격의없는 농을 주고받기도 한다. 또한 우국충정의 강렬한 염원을 담아 시국을 토로하는 간찰도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그 모든 것이 간찰의 내용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없지만 서로 떨어져 사는 부모자식간에 안부를 주고받는 따뜻한 모습도 볼 수 있다.
이제 간찰의 문화는 사라졌다. 우체국은 이제 금융기관으로 변모중이며, 편지와 엽서를 배달하기에 정신없던 우체부는 택배물품과 쓰레기광고지를 전달하느라고 여전히 바쁘기 그지없다.
간찰이 쇠퇴한 연유를 반추해 본다. 현대사회의 스피드는 간찰이 지닌 느림의 미학을 인내하기에는 부족할 듯 싶다. 보내고 받는데 짧게는 수 일, 길게는 수 개월이 걸리는 편지를 선호하는 자는 없다. 그러기에 내용과 안부를 신속히 전달하는데 편지는 부적합하게 되었다. 그러면 간찰은 영원히 사라질 운명일까.
꼭 그렇지만은 아니다.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소멸될 운명에 처해졌던 아날로그음반들이 다시금 조용히 세를 확장하고 있다. 보다 빠르고 세련된 사회로 변모할 수록 사람들은 땀냄새나고 따스한 체온을 느끼고 싶어한다. 인간 자체는 결코 디지털이 될 수 없는 존재이다. 편지의 실용적 목적은 포기하자. 그리고 비실용적 목적을 부활시키자. 상호간에 인간미를 되살리고 쿨(Cool)한 마음을 웜(Warm)하게 덥혀주는 그런 간찰은 삭막한 인간관계를 촉촉하게 적셔주고 윤택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도 아내에게 간찰을 보내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