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순신과 임진왜란 1 - 신에게는 아직도 열두척의 배가 남아 있나이다
이순신역사연구회 엮음 / 비봉출판사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임진왜란은 물론 이순신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참으로 부족하였다는 사실을 요즘들어 절감하고 있다. 군사정부시절에는 오로지 '구국의 영웅'으로 부각시키는데 급급해서 인간이 아닌 신화적 존재로 여겨지기도 하였는데, 그후로도 큰 진전이 없었던 듯. 어쩌면 TV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이 이러한 정체된 이순신 연구에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는 점에 있어서 중요한 기여라고 할 수 있다.
역사연구가 꼭 전공자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는 없다. 소위 재야사가들의 연구가 정통학계에서는 별로 인정을 못받고 있는 형국이지만 언젠가는 다방면에서 참신한 접근법과 발상을 갖고 우수한 성과를 낼 것으로 믿는다. 그런 면에서 이순식역사연구회와 구성원들의 헌신과 열성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징비록><난중일기>를 비롯한 역사고전과 '불멸의 이순신'드라마, 각종 시중 문헌을 참조하면서 이순신의 위대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다. 과거의 이순신 상이 단순한 무장에 그쳤다면 요즘은 문무를 겸전한 뛰어난 경영자로서의 새로운 면모에 집중하고 있다. 그도 아픔과 슬픔을 겪고 괴로워 할줄 아는 진실한 한 인간임에 더욱 친근함을 접하게 된다.
이순신의 해전 전략전술에 관하여 구체적 분석이 일반대중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저 역시 이순신이 나서니 잘했구나 하는 인식과 아울러 한산대첩에서 학익진을 사용했고, 거북선으로 들이받아서 이겼다고 믿을 뿐. 하지만 잠시 되짚어보니 전쟁이란게 그리 간단한 상황은 아닐듯 싶다. 적 또한 나 못지 않게 이성과 감성을 갖고 똑같이 이기고 살아남으려는 강렬한 욕망을 지닌 존재가 아니던가. 내가 준비하고 내가 힘쓰는 동안 그들이 그냥 놀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두 권의 책에서 이순신 장군의 해전을 처음 옥포해전부터 부산포해전까지 속속들이 파헤치고 따져보고 비교분석한 점은 글자그대로 참신하며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막연히 그러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부분을 백일하에 드러내어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논리는 순수한 역사전공자 또는 일개인으로서 이루기 어려운 성과라고 할때 다방면의 연구집단이 이루어낸 업적인 것이다.
2권 중반부터는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경사학(經史學)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데 대략적인 의미는 이해하겠지만, 저자의 견해처럼 너무나 전통의 학문접근을 등한시하고 서양과학에 몰입되었는지 쉽게 와닿지는 않는다. 하여튼 공리공론에만 치중을 한 당시 조정의 무능과 격물치지에 충실한 이순신은 정말로 대비가 된다.
그런데 후반부터 등장하는 '임진왜란은 ...에서 막을 수 있었다'는 부분에서는 고개를 갸우뚱거리지 않을 수 없었다. 부산포에서, 아니면 문경새재에서 또는 한강이나 임진강, 대동강에서 막을 수 있었는데 우왕좌왕하여 막지 못했다는 주장은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다만 너무나도 중언부언하는 부분이 많은 것은 저자들의 답답한 심경이겠지만 이런 연구서에 그렇게 토로하는 것은 적합치 않다. 부산에서 한강에서 대동강에서 어선과 협선들을 활용하고 화포무기를 적극 활용하였다면 당연히 임진왜란의 흐름은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였을 것이지만, 그렇게 대비를 못하고 피난가서도 당쟁에 몰두하였던 것이 당시의 조정과 집권층이었음을 왠만한 이라면 충분히 인지하는 사실이 아닌가. 저자들 못지 않게 읽는 나도 짜증스러운데 그걸 동어반복으로 읽자니 갑갑하기 그지없다.
더구나 <난중일기>와 <징비록><선조실록>을 일자별로 조목조목 나열하고 훑어나가는 부분에서는 도대체 이 책이 보여주려는게 무엇인가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우리가 진정으로 바라고 기대하는 바는 이순신 장군이 적군을 무찌른 전략과 전술, 전시경영의 참모습 등이지 당시 무능한 조정의 잘못을 한줄한줄 조목조목 비판하는 데 있지는 않다. 차라리 비판하려면 그렇게 한심하고 썩어빠진 선조와 집권층이 전쟁후에도 어떻게 정권을 유지하고 썩은내 나는 그들만의 계급사회를 왕조가 멸망할때까지 움켜쥐고 있었나를 제시하는 것이 보다 발전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마추어이기에 가능한 연구서이며 성과도 남다르다. 특히나 정발의 부산성전투와 송상현의 동래성전투에 얽힌 신비화의 껍질을 벗겨내어 잘못된 우상화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데서 참으로 공감을 하게 된다. 하지만 특히 후반에 접어들수록 아마추어로서의 한계가 노정되는 점에서 후속작업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