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이스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장르 3
이희영 지음 / 현대문학 / 2024년 3월
평점 :

세상에 자기 얼굴만 못 보는 사람이 있을까. 그런 일이 있다면 답답할지, 얼굴에 덜 마음 쓸지. 《페이스》에서 인시울은 자기 얼굴을 보지 못했다. 시울이 거울을 보면 얼굴이 보이지 않았다. 시울이는 여섯살 쯤까지 모두 그렇다고 여겼다. 다른 사람은 자기 얼굴을 볼 수 있다는 걸 알게 되고 조금 충격 받았다. 아빠나 엄마 어느 한쪽하고만 살던 아이가 다른 집은 엄마 아빠가 다 있는 걸 본 것과 비슷하려나. 아니 좀 다른가. 남과 이야기하지 않으면 남도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정말 그럴까. 난 어릴 때 그러지 않은 것 같다. 다른 사람이 나와 다르다는 걸 알았던 것 같기도 한데. 어저면 이건 좀 더 자랐을 때 생각한 걸지도.
사람은 자기 자신을 제대로 못 보기도 한다. 남이 보는 자신과 자신이 보는 자신이 조금 다르기도 하지 않나. 시울이는 자신을 아예 못 보니 다른 걸 잘 보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라미는 늘 자기 이가 비뚤어져서 교정해야 한다고 하지만, 시울이가 보기에 라미는 괜찮다. 라미는 사진을 찍을 때와 다르게 활짝 웃기도 한다. 그 모습을 라미 자신은 제대로 못 본다. 보려고 하지 않던가. 거울로 보는 자신이 진짜 자신이다 할 수 있을까. 거울 속 자기 모습은 좌우가 바뀐 거 아닌가. 그걸 이상하게 여기지는 않는구나. 자신을 남이 보는 것처럼 보지 못하는 건 어쩔 수 없다.
어릴 때 시울이는 자기 얼굴이 안 보인다고 했다가 여러 병원에 가기도 한다. 엄마와 아빠가 걱정하는 걸 보고 시울이는 자기 얼굴이 보이게 됐다고 거짓말한다. 어느덧 시울이는 고등학교 2학년이 되었다. 시울이가 거울을 보면 거기엔 얼굴이 아닌 다른 게 보인다.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어도 그게 안 보인다니 별난 일이 다 있다. 시울이는 가끔 엄마한테 자기 얼굴이 어떤지 묻는다. 그때마다 엄마는 예쁘다고 말한다. 사람 얼굴을 나타내는 말은 그리 많지 않구나. 자기 얼굴이 어떤지 설명하라고 하면 말하기 어려울 듯하다.
시울이가 이마를 다치게 된다. 같은 반 아이 묵재가 바닥에 튕긴 공이 시울이 옆얼굴을 치고, 시울이는 사물함 모서리에 이마를 찧었다. 묵재가 일부러 그런 건 아니다. 그건 어디까지나 사고였다. 시울이는 이마를 다치고 지금까지 얼굴을 다친 적이 없다는 걸 깨닫는다. 이마가 많이 찢어졌는지 스무 바늘이나 꿰맸다. 엄마와 라미는 흉터가 생기면 어쩌나 걱정하고 묵재도 흉터를 자신이 없애주겠다고 한다. 실밥을 빼고 거울을 보니 꿰맸던 자국이 보였다. 다른 곳은 여전히 안 보였는데 꿰맸던 자리는 잘 보였다. 시울이는 이제야 자기 얼굴을 본 듯 기뻐했다. 미술시간에 시울이는 얼굴은 파랗게 칠하고 흉터를 그렸다. 자화상을 그려야 해서다. 다른 사람은 믿지 않겠지만, 그게 시울이가 보는 자기 모습인데 묵재는 시울이가 흉터를 마음 쓴다고 여겼다.
얼굴 전체가 아니고 아주 조금이라도 보이면 기쁠까. 그런 일이 없어서 시울이 마음을 다 알기는 어렵다. 시울이가 흉터만 보는 건 자기 상처와 마주하는 거다 하는데 그게 맞는 것 같기도 하다. 지금까지 묵재는 자기 상처와 마주하지 못했는데 시울이를 알게 되고 이야기하다가 엄마 이야기를 한다. 그 이야기는 아무한테도 못했던 거다. 어떤 건 누군가한테 이야기하는 것만으로 조금 나아지기도 하겠지. 시울이와 묵재는 같은 반이어도 말을 나누지 않았는데, 사고를 기회로 서로 이야기하게 됐구나. 우연히 그렇게 됐다 해도 그런 우연이 일어나서 다행이다. 시울이는 다쳐서 아팠지만, 그걸로 자기 얼굴에서 아주 조금을 보게 됐구나. 사람은 서로한테 영향을 주고받겠지. 자신이 보지 못하는 걸 상대가 보고 말해주기도 하겠다. 묵재가 웃는 게 묵재 아빠와 닮았다는 것도.
희선
☆―
나는 내 얼굴을 볼 수 없다. 하지만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은 늘 다채롭다. 안개에 싸여 있거나, 검게 물들어 있거나, 이상한 꽃이 활짝 피거나, 동그라미가 가득 차 있거나, 색색의 블록인 적도 있었다. 이렇게 기묘한 삶을 살다 보니 아침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이 됐다. 그런데 날마다 보는 엄마의 얼굴은 늘 똑같다. 아니, 똑같다고 믿었다. 그런데 거울 속 내 모습처럼 엄마도 날마다 조금씩 바뀌어갔다. 조금씩 세월에 물들어갔다. 익숙함이란 안개가 가려서 나는 그걸 보지 못했다. 애써 못 본 척했다. (73쪽)
정말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게 인생이구나. 삶이란 결국 짙은 안갯속을 걸어가는 것이다. 한 발 그 너머에 뭐가 있는지 전혀 안 보이니까. 깊은 구덩이가 나올 수도, 커다란 벽에 가로막힐 수도 있다. 그런데도 모두 거침없이 보이지 않는 길을 잘도 걸어간다. 하루하루 살아간다는 건, 어쩌면 생각보다 훨씬 더 큰 용기가 있어야 하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98쪽)
“나는 인간이 스스로를 정확히 보는 게 뜻밖에 힘들다고 생각해. 그런데 어떤 사건이나 기회로 비로소 보일 때가 있어. 그것이 더 나은 부분일 수도 있지만, 애써 감추려 했던 아픔이 수면으로 올라올 수도 있어. 누군가한텐 상처가 될 수도 있다고. 뻔한 말이지만 어쨌든 흉터는 그 고통의 시간을 지나왔다는 상징이니까, 굳이 감춰야 할 필요는 없는 것 같아.” (1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