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과 꿈의 뉘앙스 민음의 시 268
박은정 지음 / 민음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만난 시집에서 민음사에서 나온 시집이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한권도 안 본 건 아닌데, 많이 못 만난 듯합니다. 시인이 쓰는 시는 그리 다르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민음사에서 나오는 이 시집은 좀 어려운 느낌이 듭니다. 이 시집 《밤과 꿈의 뉘앙스》는 ‘민음의 시 268’입니다. 예전엔 이런 양장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시집이 어디에서 나오든 상관없을 텐데, 민음사에 내는 이런 시집 어렵다고 말했네요. 박은정 시인 첫번째 시집은 문학동네에서 나왔을 겁니다. 그 시집 만나지는 못했습니다. 첫번째는 못 보고 두번째를 먼저 만났네요.


 처음엔 뭐가 뭔지 하나도 몰랐습니다. 한번 보고 두번째에는 느낌이 조금 달랐어요. 모르는 건 백번 보면 안다고 하던데, 시도 그럴까요. 그럴지도. 백번은 어려워도 열번 정도라도 봤다면 좋았을지도 모르겠네요. 겨우 두번 보고 이런 걸 쓰다니. 여기 담긴 시 모르는 게 더 많지만, 쓸쓸하거나 슬픈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말은 다른 시집 보고도 했군요. 시가 다 쓸쓸하거나 슬프지는 않겠지만, 어쩐지 그런 시가 더 많은 듯합니다. 시에는 사람이 잘 안 보고 스쳐지나는 걸 담아설지도 모르겠네요. 잊지 않기를 바라는 일도.




검은 눈이 도시를 뒤덮자

아이들은 학교를 버리고

눈사람을 만들기 시작했다

겁먹은 개들이 사납게 짖고

야윈 고양이들이 뒷걸음질 쳤다

대기를 떠도는 불운한 공기와 타락의 징조가

이 도시의 유일한 생명체였다

하천을 따라 달리던 아이들이

죽은 물고기를 꼬챙이에 꽂아

눈사람의 입에 쑤셔 넣자

입 가진 모든 것들은 침묵해야 한다는

신념이 눈사람의 입에 꽃피었다

저녁이면 기어이 찾아드는 아이들과

그들의 혓바닥이 파고드는 불빛 아래

감자와 묽은 스프를 차려 놓고

울먹이며 기도하는 사람들

몇 년째 겨울은 검고 탁했으므로

봄이 오지 않는 그들의 도시에

기도도 없이 전도사들이 하나둘 죽어 가자

술집은 사라지고 청탑의 종이 녹슬었다

각자 자신의 문을 굳게 잠근 채

어둠 속에서 검게 내리는

눈을 헤아려 보는 밤

도대체 이 무심한 장면은

어디서부터 발병한 것인지

구원은 요란한 고해성사처럼

마지막 남은 술병을 비우고

벌거벗은 관 속으로 들어간다

붉게 부어오른 혀를 말고

세상의 장례를 시작한다


-<검은 눈>, 70쪽~71쪽




 앞에 옮긴 시 <검은 눈>은 쓸쓸함이나 슬픔은 보이지 않는군요. 조금 쓸쓸한가. 어두운 느낌도 듭니다. 제목이 ‘검은 눈‘이어서 바로 그렇게 생각했군요. 이 시집에는 검은 색이 여러 번 나와요. 그게 어두운 것만 나타낼지. 검은 눈에 덮인 세상을 생각하니 세상이 죽은 듯하네요. 디스토피아 같은. 시인은 다른 생각으로 쓴 걸지도 모르겠지만. 세상의 장례라는 말이 나오는군요. 검정은 장례식 색깔이네요.




아직 갈 길이 먼 철새들이

긴 밤 지치지 않도록


아직 닿지 않은 마음이

저를 미워하지 않도록  (<목련>에서, 104쪽~105쪽)




담벼락에 숨어 앉아

머리카락을 뽑으며 놀았다


이것은 내가 처음 배운 위로


버찌나무 아래 누워

자신의 기이한 미래를

예감처럼 보는 아이들


오후에는 지하상가 계단에 앉아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유행가를 들었다


한줌의 흙을 입에 넣고 부르는 노래는

무덤처럼 따뜻할까


저녁의 한가운데

모르는 대문 앞에 머물다

저녁보다 먼저 저문 마음을 두고 왔다


몇 년 만에 눈이 내렸다

장갑을 버리고 귀를 막으면

누구도 나를 찾지 않아 괜찮았다


언 담벼락을 돌아가는 개가 있다


몸이 찬 사람들이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개가 얼어 죽는데

아무도 울지 않았다


-<오후와 저녁>, 130쪽~131쪽




 시는 쉽지 않네요. 언제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무언가 나타내는 게 있을 텐데, 바로 알지 못하는군요. 알아내는 것도 없고, 제가 생각하는 게 틀릴지도 모르겠네요. 시를 좀 더 자주 많이 만나면 좋을 텐데 그러지 못하는군요. 앞에 옮긴 시 <오후와 저녁>은 조금 쓸쓸한 느낌이 들지요. 이건 마지막 연 때문일 것 같네요. 시를 봐도 잘 모르지만 앞으로도 가끔 만나야겠어요. 마음 편하게.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괜찮으면 괜찮은 대로.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5-02-12 22: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어렵네요. 그리고 너무 암울해요. 시인이 민감하게 보는 세상의 모습일까요? 시인들의 감수성은 저같은 사람과는 많이 다른거 같아요.

희선 2025-02-14 04:34   좋아요 0 | URL
검은 눈은 꽤 어두워 보이죠 잘 모르지만 그 시가 눈에 띄었네요 세상을 바라보는 모습일지도 모르겠네요 조금이라도 알면 좋을 텐데, 그런 시는 얼마 없네요


희선

페크pek0501 2025-02-13 14: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시집을 펼치면 시가 어려워서 반복해 읽게 되는 것 같아요.
오독하면 오독한 대로 읽는 것도 나빠지 않다고 봅니다. 오독하기 좋은 장르가 시, 예요.
최소한 낱말 공부, 표현 공부, 분위기 공부는 된다고 봐요.ㅋㅋ^^

희선 2025-02-14 04:36   좋아요 0 | URL
천천히 읽어야 할지도 모를 텐데, 시집도 다른 책과 다르지 않게 봅니다 그렇게 읽다가도 마음에 드는 게 보이기도 합니다 여러 번 보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합니다 시를 읽는 답은 없겠지요 시인도 자신이 생각하지 못한 걸 다른 사람이 볼지도...


희선
 




밝은 날만 이어지길 바라도

뜻대로 되지 않아요


흐리고 비가 오는 날도 있네요


식물만 비를 반길까요

지구에 사는 생물체는

건조한 날이 이어지면

비가 오길 바랍니다


흐리고 비가 와도

우울해하지 마세요


하루나 이틀

길면 사나흘이 지나면

해가 나타날 거예요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5-02-12 22: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오늘 제 차가 내리는 비에 세차가 쫙 되서 좋았어요. ㅎㅎ

희선 2025-02-14 04:28   좋아요 0 | URL
세차한 뒤 눈이 오면 지저분해지겠지요 비가 와서 차를 씻어주었네요 비 오고 어제는 날씨 좋았어요


희선

페크pek0501 2025-02-13 14: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비가 내리면 세상 먼지가 씻겨지는 것 같아 처음엔 반깁니다. 길어지면 싫지만요..

희선 2025-02-14 04:29   좋아요 0 | URL
한동안 비가 안 오네, 하면 다음날이나 며칠 지나지 않아 비가 오기도 해요 그럴 때 신기하기도 합니다 비가 적당히 올 때 오면 좋겠습니다


희선
 




너와 내 시간은 다르지


여우는 어린 왕자한테

같은 시간에 자신을 찾아오라 했지

누군가를 만나는 시간이 다가오면

마음이 설렐 거야


다른 시간을 보내는

너와 난 같은 시간에 만나지 못해도

아주 못 만나는 건 아니야

네가 먼저 흔적을 남기면,

난 나중에 흔적을 남기지


만나는 시간은 어긋나도

마음은 어긋나지 않았으면 해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5-02-11 10: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흔적을 남긴다면 시간이 어긋나도 만난거겠죠. 마음이 따뜻해져요.

희선 2025-02-12 01:27   좋아요 1 | URL
시간 차이를 두고 만나는 거죠 그것도 괜찮지요 바람돌이 님하고도 오늘 만났네요


희선

페크pek0501 2025-02-11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린왕자라는 책에서 오후 네 시에 오라는 구절을 읽은 듯합니다.
온다는 시간을 알게 되면 미리 기쁘겠지요.^^

희선 2025-02-12 01:29   좋아요 1 | URL
어린왕작 네 시에 오면 여우는 세 시부터 설렌다고 했군요 사람 관계는 시간을 들여서 쌓아가는 거네요 서로에게 길들여지는... 그런 사이가 오래 가면 좋을 텐데...


희선
 




끝이 보이지 않는 우주

지구에서도 지구 끝을 보기는 어려워

우주에서 지구는 아주 작고,

지구에 사는 사람은 더 작지


문득 우주에는 소리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우주에서 소리는 전해지지 못해도

빛은 전해져


지구에서 보는 별빛은 오래전 거야

지금도 오래전 빛이 오겠지

빛은 쉬지 못하겠어

빛은 사라질 때 쉬겠군


끝이 보이지 않는 우주

속이 보이지 않는 마음

둘 다 알기 어려워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5-02-10 21: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금 삼체 읽고 있는데 책이 온통 우주 우주 하고 있어요. 그러니 오늘 유달리 희선님 시가 확 들어오네요. ^^

희선 2025-02-11 03:02   좋아요 1 | URL
거기에 외계인이 나온다고 하더군요 우주 먼 곳에서 지구로 온 걸지... 실제 외계인이 있을지, 있다 해도 소설에서 나온 것처럼 전쟁은 안 했으면 좋겠네요 그런 것보다 외계인은 벌써 지구 사람과 섞여 산다는 게 더 좋을 듯합니다


희선

페크pek0501 2025-02-11 15: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래전의 별빛을 보는 거라는 걸 저도 어디서 읽은 듯합니다.
점, 만한 지구에 사는 너무나 작은 인간이지요.^^

희선 2025-02-12 01:23   좋아요 0 | URL
예전 별빛이어서 지금은 없는 별도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지구는 우주에서 아주 작네요 사람은 그것보다 더 작다니, 그런 거 잊고 살기도 하네요 자신이 작다는 걸 기억해야 할 텐데...


희선
 
사에즈리 도서관의 와루츠 씨
코교쿠 이즈키 지음, 김진환 옮김 / 알토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오랫동안 불치병에 걸렸습니다. ‘언젠가 책이 사라지는 게 아닐까?’ 하고 고민하는 병입니다. 신기하게도 이 병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만 걸립니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두려워하고, 걱정하고, 앞날을 비관하고 어찌할 바를 모릅니다. 책에 관심이 없는 이들은 그저 시대의 흐름이겠거니, 하고 별 생각이 없습니다.


 저는 책의 죽음을 두려워한 적이 있긴 하지만, ‘그럴 리 없다.’ 고 결론 내렸습니다. 설사 전자책이 아무리 위세를 누려도 종이책을 전멸시키지는 못할 거라고요.  (<작가의 말>에서, 317쪽)



 책 좋아하고 도서관에 가는 거 좋아하세요. 이런 말 처음이 아니군요. 책과 도서관이 나오는 책을 보면 말했을 겁니다. 책이 많은 곳이 바로 도서관이죠. 저는 어릴 때는 책을 읽지 못하고 도서관도 몰랐습니다. 지금은 학교에 작아도 도서관(실)이 있겠지요. 어디나 있을지. 그런 거 부럽네요. 제가 다닌 학교에는 없었어요. 시간이 흐르면 종이책은 사라질까요. 저는 앞에 쓴 작가의 말처럼 종이책이 없어지면 어쩌나 걱정합니다. 옛날엔 책을 부자가 봤네요. 인쇄술과 종이 그리고 도서관이 생겨서 누구나 책을 쉽게 보게 됐습니다. 도서관도 처음에는 돈이 많은 사람이 갔군요. 지금은 누구나 가도 되는 곳이네요.


 이 책 《사에즈리 도서관의 와루츠 씨》는 시대가 지금보다 앞날입니다. 세계 3차 전쟁이 일어난 뒤인가 봅니다. 조금 디스토피아 같기도 하지만, 사에즈리초(시보다 작은 읍 정도 동네)는 좋아 보입니다. 가끔 정전이 되기는 하지만. 전쟁 때 사람이 많이 죽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여기에서는 책이 사치품이에요. 책 한권이 아주 비싼가 봅니다. 그런 시대에 사립인 사에즈리 도서관이 있고, 책을 그냥 빌려줍니다. 책이 더러워지거나 찢어져도 꼭 돌려줘야 해요. 책을 돌려주지 않으면 사에즈리 도서관 대표 특별 보호 사서관 와루츠 유이가 어디까지고 찾으러 간다고 합니다. 특별 보호 사서관 와루츠는 책에 심은 마이크로칩으로 책이 있는 곳 정보를 볼 수 있어요. 그건 와루츠만 가진 권한이에요. 와루츠는 왈츠기도 합니다. 이름 뜻은 아니고 발음이.


 어디에 책이 있는지 알다니. 와루츠 뇌에 뭔가 넣었다는 말이 나오는데 그것 때문에 아는 건지도. 단말기 같은 걸로 확인하기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종이와 펜을 잘 쓰지 않는군요. 저는 종이와 펜이나 연필이 없으면 안 되는데. 그런 거 쓰는 사람도 어딘가에 있겠지요. 많은 사람이 단말기로 보는데, 아직 종이책을 좋아하고 보는 사람 있어요. 종이책을 한번도 읽지 않은 사람도 있더군요. 책이 귀하고 사치품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회사원인 카미오도 지금까지 종이책 안 봤는데, 우연히 도서관에 가고 와루츠와 도서관에서 책을 자주 빌리는 이와나미 그리고 코토 선생님을 만나요. 도서관에서 책뿐 아니라 사람도 만났네요.


 저는 도서관에 가면 책만 빌리고 바로 집으로 옵니다. 코로나19 뒤로는 자주 못 가게 됐는데, 그게 지금도 이어지고 얼마전에 한달 반쯤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지 않기도 했어요. 그나마 읽을 책이 있어서 괜찮았군요. 도서관에 가면 책을 조금만 빌려야지 하는데 그 생각보다 더 빌려요. 책을 보면 보고 싶으니. 사에즈리 도서관에 가는 사람은 서로 알고 지내기도 합니다. 도서관 대표인 와루츠와 일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아설지도. 코토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에요. 초등학생은 책을 잘 모르더군요. 와루츠는 언제든 책을 봐도 괜찮다 생각하지만, 코토는 초등학생한테 책은 이르다고 생각하는 듯했어요. 코토는 와루츠를 만나고 그 생각이 좀 바뀐 것 같았어요. 코토 자신도 어릴 때 책을 보고 좋아한 걸 떠올렸습니다.


 할아버지가 책만 좋아했다고 여긴 모리야는 할아버지가 사에즈리 도서관에 기증한 책을 살펴보러 와요. 그 책에 할아버지가 쓴 글이 있었는데, 그건 특수한 펜으로 써서 보는 것도 특수 안경으로 봐야 했어요. 모리야는 할아버지를 조금 오해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할아버지가 책을 좋아하고 나중엔 치매 때문에 자신이 한번 산 책을 여러 번 샀어요. 그것도 아주 안 좋게 여겼어요. 할아버지가 뇌수술을 받은 건 소중한 걸 잊지 않으려고였는데. 책이 사치품이니 책을 많이 사면 식구가 싫어하겠습니다. 그런 때 사에즈리 도서관이 있어서 정말 다행입니다. 여기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런 도서관이 더 있다면 좋겠네요.


 누가 책을 훔쳐가는 일이 일어나요. 와루츠는 그 책을 찾으러 멀리까지 갑니다. 도시부라는 곳은 폐허 같아요. 사람도 얼마 살지 않고 위험해 보입니다. 거기에서 와루츠는 도서관 책을 가져간 이누즈카 온을 만나요. 어쩐지 나중에 이누즈카 온이 사에즈리초에 올 것 같기도 합니다. 배 속에 아이가 있거든요. 온은 태어날 아기한테 이모가 쓴 그림책을 보여주고 싶어했어요. 본래 온한테도 그 책이 있었는데, 불에 타고 사라지고 사에즈리 도서관에 딱 한권 있었어요. 세상에 책이 한권밖에 없다면 그건 정말 귀하겠습니다. 그런 걸 사에즈리 도서관에서는 돈을 받지 않고 빌려 주는군요.


 사에즈리 도서관은 와루츠 아버지인 와루츠 요시아키라 박사가 짓고 책과 함께 와루츠한테 물려줬어요. 와루츠는 도서관 책을 자기 거다 말하기도 합니다. 그 말 맞기는 하겠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그걸 빌려주는 거군요. 초등학교 아이들은 도서관에서 하루 자는 체험활동을 해요. 이런 건 지금 해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은 한권으로 끝나지 않아요. 일본에선 두번째가 나왔더군요. 다음엔 일본말로 만나 볼까 생각했는데, 지금 한국말로 옮기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5-02-09 20: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이 귀해지는 시대의 도서관이라 흥미로운 소재네요

희선 2025-02-10 02:45   좋아요 1 | URL
여기에서는 책을 내는 것도 아주 신중하게 합니다 자기 아이를 생각하고 종이책을 내요 여기 나오는 사람에 그런 사람이 있어요


희선

서니데이 2025-02-11 07: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 가면 읽을 수 있을 만큼 대여하면 되는데, 그 책이 다음에 있을 지 알 수 없으니, 대출 한도까지 채우는 것 같아요. 가까운 곳에 도서관이 생기는 것이 한때는 소망이었는데, 요즘엔 가까이 도서관이 있어도 거의 가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도 집 근처에 도서관이 있다는 건 참 좋아요.
앞으로 전자책이 많아진다면 종이책이 줄어들 수도 있겠지만, 도서관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희선님, 잘 읽었습니다.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희선 2025-02-12 01:19   좋아요 1 | URL
빌린 적은 없지만 도서관에서는 전자책도 빌려주더군요 전자책보다 종이책을 빌려가는 사람이 더 많을 듯합니다 제가 사는 곳에서는 다섯권밖에 못 빌려요 그나마 이것도 몇해 전에 늘어난 거예요 두 주 동안 다섯권 못 볼 때도 있었네요 요새는 열심히 책을 봐서 두 주 동안 다섯권 다 봅니다 그것보다 많이 보는 듯...

도서관은 오래 남아 있겠지요 오래된 책은 없애기도 하겠지만... 어떤 책은 더 잘 두는 것 같기도 해요 그것도 빌려주는지 어떤지 모르겠지만...

서니데이 님 새로운 하루 즐겁게 보내세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