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리의 뼈 로컬은 재미있다
조영주 지음 / 빚은책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 《쌈리의 뼈》에서 쌈리가 정말 있나 했다. 쌈리는 평택 지명으로 집창촌이었다. 집창촌은 평택역 일대에 있었다. 미군 부대 때문에 생겨난 곳이었단다. 쌈리는 지난 2024년 재개발에 들어갔나 보다. 마지막 집창촌이었다고 한다. 역이라는 말을 보고 내가 사는 곳에도 역 가까운 곳에 그런 곳이 있었다는 게 생각났다. 내가 어릴 때로 자세히는 모른다. 분홍색 건물을 얼핏 본 것 같기도 하다. 어쩌면 사진으로 본 걸 거기에서 봤다고 생각하는 걸지도. 여기에도 미군 부대가 있었던 것 같다. 지금은 역이 다른 곳에 있다. 예전에 역이 있던 곳은 많이 달라졌다. 아파트가 많아졌구나. 예전에 쌈리였던 곳에도 아파트를 지을지.


 언젠가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위안부였고 한국 전쟁 뒤에는 양공주가 됐다는 말 봤구나. 지금이라고 그런 사람이 없지는 않겠지. 일본 소설에는 룸살롱이나 캬바쿠라나 풍속점 같은 게 나와서 거기에는 그런 게 있구나 하는데, 한국은 어떤지 잘 모른다. 한국에도 여전히 있겠지(룸살롱인가). 이 소설은 옛날 이야기가 아니다. 처음 나온 날짜는 2025년 10월 16일로 아직 오지 않은 날이구나. 마지막에는 2026년 4월 16일이다. 4월 16일이라니. 16일로 맞춘 걸까. 4월 16일은 잊지 못하는 날이어서 말이다. 이건 소설이다는 걸 나타내려고 날짜를 그렇게 한 걸지도 모르겠다.


 윤명자는 소설가로 2019년에 치매 판정을 받는다. 자신이 치매라 해도 소설을 쓰려고 했는데, 2020년에 코로나19로 바깥에 쉽게 나오지 못했다. 윤명자는 취재를 하고 소설을 썼는데, 치매 때문인지 마스크를 끼지 않고 밖에 나가려고 했다. 2020년에 코로나19로 세상이 무서워지기는 했다. 그게 지난 일이 되다니. 그런 날은 또 찾아올지도 모른다. 시간이 갈수록 윤명자 치매는 심해졌다. 윤명자는 딸인 윤해환한테 자신이 쓰던 소설을 이어서 써달라고 한다. 소설을 완성하고 싶다고. 윤해환은 윤명자가 쓴 메모와 글을 보고 소설을 쓰기는 한다.


 해환의 엄마 윤명자가 쓴 소설 제목은 이 소설 제목과 같은 ‘쌈리의 뼈’다. 한동안 연락이 끊겼던 윤명자를 맡은 편집자 이상모가 해환한테 연락한다. 이상모는 쌈리에 있는 해바라기집에서 갓난아이 뼈가 발견됐다고 한다. 이상모와 해환은 함께 쌈리에 간다. 쌈리에 간 해환은 왜 자신이 거기에 갈 생각을 하지 않았나 한다. 그곳에서 엄마가 쓴 핑크레이디와 핑크 양복을 입은 노인을 만나고, 엄마 소설에서 죽임 당하는 미니도 만난다. 미니는 이름을 물려받아서 여러 미니가 있었단다. 해환은 여러 사람을 만나고 소설로 쓸걸 떠올리고 소설을 쓴다.


 소설과 현실이 섞인다. 무엇이 소설이고 무엇이 현실인지. 읽다 보면 조금 헷갈리기도 한다. 치매를 앓는 사람 머릿속 같은 느낌. 아니 그것과는 조금 다른가. 해환의 망상도 소설이 된다. 그건 정말 망상일지. 뭔가 쓰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참된 것에 다가갈지도 모를 일이다. 소설은 거짓을 참으로 만들기도 하던가. 해환이 생각하는 게 지나치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는데. 이런저런 게 겹쳐서 그렇게 된 건 아닐지. 해환은 엄마가 치매에 걸린 척하는 게 아닌가 하는데, 정말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그건 어떨지. 치매여도 모든 걸 다 잊지는 않겠다. 지금 일은 기억 못해도 옛날 일은 선명해진다고 하지 않나.


 이걸 한번 보고 어떻게 쓰지 하다가 한번 더 읽어봤다. 다시 보니 윤명자가 한 어떤 말은 치매 탓이 아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윤명자는 정말 치매였을지. 앞에서 의심한 거 또 말했구나. 치매인 것 같지만, 가끔 정신이 돌아온 듯하다. 그럴 때도 아닌 척했나 보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쌈리의 뼈 로컬은 재미있다
조영주 지음 / 빚은책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 윤명자는 정말 치매였을까, 치매여도 가끔 본래대로 돌아오기도 하겠지. 그럴 때 뭔가 생각났을지도 모르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쉽게 책을 만나는 시대지만

책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은 줄어드는군


먼 앞날엔 책이 사라질까


책, 네가 사라지지 않았으면 해

넌 언제나 거기 있을 거지

널 만나는 사람이 줄어든다 해도

아주 없지는 않을 거야


책인 너를 만나고

손에 들고

책장을 넘기고

천천히 되새기는 사람은

사라지지 않아


네가 늘 거기 있어서

다행이야

고마워




희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5-07-27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이렇게 재미난 책을 말이죠
 
드립백 케냐 키린야가 AA - 12g, 5개입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립백 케냐 키린야가 AA, 자몽은 산미겠지. 피칸과 군밤을 보니 고소한 맛도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직 마셔 보지는 않았지만 맛 좋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헨리 노는날 그림책 1
카타리나 마쿠로바 지음, 김여진 옮김 / 노는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할 수 있고 누구나 가진 걸 자신은 못하고 자신은 가지지 못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건 만화에서 봤던가. 요즘도 그런 이야기 나오는 듯하다. 마법이 있는 세상에서 혼자만 마법을 쓰지 못하는 아이가 나오는 이야기. 그 아이는 큰 꿈을 가졌다. 가장 위로 올라가고 싶다는. <나루토>에서 나루토도 다르지 않았구나. 나루토는 모자란 듯 나오지만 재능은 있다. 몸속에 구미가 봉인됐으니 말이다. 그것 때문에 사람들이 꺼리기는 했구나. ‘나루토’는 닌자가 나오는 만화로 모두가 인법을 썼다. 이 인법을 쓰지 못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 사람은 체력을 기르고 힘을 길렀다. 마법을 쓰지 못하는 사람도 다르지 않았다. 체력을 단련하고 누구보다 센 힘을 가지게 된다.


 이번에 만난 《달팽이 헨리》에서도 달팽이인 헨리는 다른 달팽이와 달랐다. 달팽이는 태어나고 나면 어디든 기어올라가려고 할까. 헨리는 그러려고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그런 일 아주 없으리란 법은 없겠다. 자연에서는 모자라면 일찍 죽을지도 모르겠다. 동물이 사는 세계에서는 힘 있는 동물이 힘 없는 동물을 잡아 먹는다. 동물 세계만 그런 건 아니겠구나.


 사람은 많은 사람과 다르면 놀리거나 괴롭힌다. 모두가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러는 사람이 좀 있다. 여기에는 그런 건 나오지 않는다. 다른 달팽이가 헨리를 놀리는 모습이 없어서 좋았다. 헨리는 다른 달팽이와 다르게 점액질이 나오지 않아서 높은 곳으로 기어오르지 못했다. 헨리는 그 일을 절망하지 않고 운동하고 힘을 길렀다. 헨리는 무거운 걸 들어올리고 돌멩이를 끌고 완두콩을 들어올렸다. 복숭아 씨앗은 배에 올리고 쓰러지지 않게 균형을 잡았다. 그런 거 오래해서 헨리는 힘이 세졌겠지.


 운동으로 힘을 기른 헨리는 뜰에 있는 키 큰 식물을 기어오르려고 했다. 어느 정도 올라갔지만, 아직도 멀어서 쉬었다. 멀리서 헨리를 지켜보던 민달팽이가 헨리를 도와주었다. 헨리는 민달팽이 등에 올라타고 식물 꼭대기까지 올라갔다. 그건 해바라기였다. 꼭대기에서 보는 풍경은 멋졌다. 힘이 있다 해도 헨리가 혼자 식물을 기어오르지는 못했다. 그럴 때 친구가 도와주었다. 헨리 친구는 다 착하구나. 사람도 서로 돕고 살아야 할 텐데.


 헨리가 운동하던 게 재주로 보이기도 했다. 다른 달팽이는 헨리의 재주를 배웠다. 다음엔 어떻게 됐을까. 달팽이들이 하는 게 꼭 서커스 같았는데, 헨리는 달팽이 친구들과 서커스를 했다. 운동하면서 익힌 게 재주가 되고 놀이가 됐구나. 난 못하는 걸 다르게 하려고 하지 않을 것 같다. 못하면 말지 할 거다. 그것도 그렇게 안 좋은 건 아니겠지. 못해서 그만두는 건 아주 많이 하고 싶은 게 아니어서일 거다. 하고 싶은 건 잘 못해도 어떻게든 하겠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