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산업로,
울산공항에서 북구청을 지나 효문공업단지까지,
가로수, 넌 이름이 뭐니?
15년 만에 물어본 나무 이름.
와우~
대왕참나무.
대왕?
참나무 중에 대왕이라는 것인가?
그렇게 크지는 않은데?
열매가 대왕인가?

오늘도 답은 역시 책에서 찾아내...지 못했네.
음............

이름 붙인 분이 살아계시다면 왜 ‘대왕참나무‘라고 했는지 알려주시면 좋을텐데!

아무튼, 1980년대에 종묘사를 통해서 들어왔다면, 산업로 가로수들도 (나무 치고는) 나이가 그리 많지 않다는 말씀이로군.

아무튼 이역만리 타국에 와서,
밤낮으로 큰 차 작은 차, 차 많이 달리는 도로가에서(오죽하면 도로 이름이 ‘산업로‘이겠음..)
몇 십 번의 겨울을 나며 살아있는 대왕참나무야,
내 곁에 살아줘서 고마워.
정말 고마워.







대왕참나무는 원산지가 미국 동남부로 높이 25미터, 지름 60센티미터까지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다. 결각(缺刻, 잎의 가장자리가 깊게 파여 들어가는 것)이 발달한 잎 가장자리 끝이 핀이나 바늘처럼 뾰족해 핀참나무, 바늘잎참나무라 부르기도 한다.

영어로는 보통 핀오크Pin oak라고 하지만, 스왐프오크 Swamp oak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스왐프는 습지를 말한다. 대왕참나무가습기 많은 땅에서 잘 자라 그런 이름으로 불린다. 학명의 종소명 팔루스트리스palustris도 ‘습기 많은‘, ‘습지에서 나는‘이란 뜻이다. 이 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에는 1980년대 중반에 종묘사를 통해 들어왔다. 대왕참나무란 이름도 종묘업자가 붙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왜 대왕참나무라고 했는지 정확한 이유를 모른다. 마찬가지로 미국 동남부가 원산지로솔잎이 아주 긴 대왕송Pinus palustris 이란 소나무가 있다. 대왕송과 이 참나무의 종소명이 같으니까 대왕과는 상관없는 대왕참나무란 이름을 즉흥적으로 붙이지 않았을까 추측해볼 뿐이다. - P2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 진짜 완전히 딴세상이다.
한국말이라고 다 같은 한국말이 아니로다.
그래서 100점 만점에 60점 맞으면 합격인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

세상살이가 다 그런 것 아닐까.

60점이면 합격인데 너무 처음부터 90점 100점 맞으려고 애썼던 거 아닐까.

일단 시험에 합격하고 나머지 점수는 차차 현장에서 실력으로 쌓아가면 되는 거 아닐까.

일단 필기 합격하고!




물은 식물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초본 식물은 보통 생중량의 80~90% 이상이 물이며,
목본식물도 5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식물에게 물은 단순한 환경요인뿐 아니라, 식물의 주요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식물세포를 팽창시키도록 작용하는 압력인 팽압을 유지하는 데에도 물이 필요하다.

식물에 포함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하로 감소하면, 팽압이 줄어들어 위조하기 시작하여 마침내 고사한다. - P162

■유성생식, 무성생식

종자는 수정에 의해 암수가 합체하여 생기는 것이다. 이렇게 성을 통해 생식하는 것을 유성생식이라고 한다.

(......)

이러한 유성생식에 대해, 삽목이나 휘묻이, 접목, 구근번식, 포기나누기 등의 번식방법은 수컷과 암컷의 합체가 없기 때문에, 성의 개입이 없어서 무성생식 혹은 영양번식이라 한다. 조직배양도 영양번식의 일종이며, 새로 늘린 개체는 부모와 같은 유전정보를 가지게 된다.

같은 부모로부터 무성생식에 의해 늘린 개체군을 클론clone이라고 부른다. - P170

■삽목

잎이나 줄기, 뿌리 등 일부를 분리하여, 삽목상에 꽂아 뿌리나 싹을 형성시켜, 새로운 독립된 식물체로 증식시키는 방법을 삽목 또는 꺾꽂이라고 한다.

식물은 상처가 나면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이나 기관을 만드는 재생능력늘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삽목은 인위적으로 식물의 일부를 절단하여 분리된 식물체의 재생을 유발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낙엽수는 새눈이 나오기 직전인 2월 하순부터 3월과 장마시기,

상록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은 장마시기가 삽목의 적기이다.

삽목 후 온도를 15~25°C로 유지하면 언제라도 발근이 가능하다. - P172

■ 접목

식물체의 일부를 떼어 내어, 다른 식물체에 유합시켜 새로운 개체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접목라고 한다. 

접목되는 쪽의 식물을 대목stock이라 하고, 
붙이는 쪽의 식물을 접수scion라고 한다. 

접수는 지상부로 뻗어서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거나 관상부가 되며, 대목은 뿌리가 붙은 식물을 이용하며 뿌리와 줄기의 일부가 된다.

접수는 광합성에 의한 동화물을 대목으로보내고, 대목은 뿌리부터 흡수한 물이나 양분을 접수로 보내기 때문에 양자는 서로 공생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접목의 장점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종자나 삽목 등으로 번식시킬 수 없는 식물도 번식이 가능하며, 같은 형질을 유지할 수 있다.

2.접목묘는 종자파종에 비해 생장. 개화 · 결실이 빠르다.


3.대목의 선택에 따라 병해나 더위, 추위에 강한 수종을 만들 수 있다.

4.대목에 여러 가지 원예품종의 접수를 접목하여, 다양한 꽃이나 열매를 즐길 수 있다. - P174

■전정

식물의 줄기(수간 또는 가지)를 자르는 것을 전정이라고 한다. 

전정은 식물체를 작게 키우거나, 
분지를 촉진시키거나, 
가지의 수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행한다. 

또 전정을 통해서식물을 재배하는 공간에 적합한 수형으로 만들거나, 꽃이나 열매의 수를 조절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꽃이나 열매를 즐기는 식물은 꽃눈이 생기는 시기가 식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전정시기를 잘못 맞추면 꽃눈을 없애버리는 수가 있다.

따라서 식물마다 꽃눈이 생기는 시기를 미리 조사해서 꽃눈이 생기기 전에 전정을 해야 하며, 이미 생긴 후에는 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꽃이 지기 시작할 무렵이나
꽃이 진 직후에 실시한다. 

꽃이나 열매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낙엽수는 
낙엽기부터 이른 봄(11~3월)까지, 

상록수는 새눈이 생기기 직전인 3~4월이 
전정의 적기이다.

*전정의 종류
1. 가지치기
2. 주갱신
3. 수관다듬기
4. 순자르기(적심. 어린 곁가지의 적심을 아적 혹은 눈자르기라고 한다. 소나무류의 경우는 특히 순지르기라고도 한다.)
5. 꽃솎음
- P17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6-13 08: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6-13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식물용어사전 - 그림으로 보는
이광만.소경자 지음 / 나무와문화(나무와문화연구소)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우아,
최고다♡ 멋지다♤ 짱이다♧
마르고 닳도록 보리라.
짱 짱 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비즈니스 - 나의 삶과 일을 성장시키는 도구로서의 책
앨리슨 존스 지음, 김민희 옮김 / 유유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비즈니스》
▪︎ 원제: This Book Means Business
▪︎ 부제: 나의 삶과 일을 성장시키는 도구로서의 책

결국, 책. 책으로 돌아왔다. 지나다니는 사람들 한번씩 보고 웃으라고 담벼락 화단에 꽃을 심는 심정으로 책을 만들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 나무 도감》

머리말

정보가 흘러 넘치는 세상입니다.

우리 주변의 나무에 대한 자료들도 넘치고 넘치는 시대입니다.

그런데도 이름에 대한 무지로 자료에 접근하지 못하고, 정보화 시대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름만 알아도 궁금할 때 자료를 곧바로 검색할 수 있고, 관련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데도 말입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이름만이라도 쉽게 기억하고, 궁금할 때 원하는 나무를 바로 찾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나무 이름에 숨겨진 비밀을 하나하나 찾아 나섰고 그 결과를 털어놓게 되었습니다.

나무 이름에는 생육특성, 색깔, 용도, 도입지, 인간과의 관계 등 많은 요인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그 유래를 알면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것들은 오랜 세월이 흘러 오늘날의 정서로는 이해하기 힘든 이름들도 있지만 그런 것들은 나무 이름을 통해서 역사와 조상들의 생활사 공부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나무 이름의 유래는 이처럼 나무를 구별하고 기억하는 지름길이자 정보 창고를 여는 열쇠입니다.

비록 부족한 지식, 성긴 문장으로 이루어진 책이지만 나무를 가까이 하고, 나무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 책은 임경빈 박사님, 박상진 박사님, 황중락 박사님 등 선학자 분들이 나무 이름의 유래에 대한 초석을 놓아주셨기에 저술이 가능했음을 밝혀두고 감사를 드립니다. 특히 민속식물연구소의 송홍선 소장님은 소중한 사진을 기꺼이 제공해 주셨습니다.

아울러 이 책이 독자분들에게 곱게 단장하여 선보일 수 있게 해준 중앙생활사 김용주 대표님과 관계자 여러분에게도 특별한 감사를 드립니다.

(_머리말 전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