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과 정신병원이 있는 한, 누군가 거기에 갇혀 있어야 합니다.˝
열린책들 35주년 세트 열번째(딱 절반)로 읽을 책을 오랫동안 고민했었다. 10이라는 숫자는 왠지 의미가 있기 때문이고, 뭔가 반환점에 도달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자축하는 의미에서 재미있는 작품을 읽고 싶었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안톤 체호프˝의 <6호 병동> 이었다.
이 책에는 내가 처음 읽는 <6호 병동>과, 그동안 많이 읽었지만 읽을때마다 좋은, 그래서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등 두편이 실려 있다.
1. <6호 병동>
‘사람 한 순간에 미친x 만든다‘는 말이 딱 들어 맞는 작품인 <6호 병동>은 지방병원 의사였던 ˝안드레이 에피미치˝가 결국 자신이 맡던 정신병동인 ‘6호 병동‘에 감금되게 되는지를 모여주는 중편 작품이다.
책을 좋아하고 사유를 즐기는 지방의사 ˝안드레이˝는 너무 한적한 시골에서, 매일 반복되는 지겨운 일에, 아무 교양도 없는 주변 사람들 틈에 살면서 점점 인생의 재미를 잃어가게 되고 점점 자신만의 세계에 빠지게 된다.
[그와 함께 무슨 이야기를 시작하더라도 늘 한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이 도시에서 사는 것은 답답하고 따분하며, 이 사회에는 고결한 관심이 없고, 흐리멍덩하고 무의미한 생활이 지속될 뿐이며, 폭력과 난잡한 방탕과 위선이 가득하다는 것이다.] P.16
그러던 어느 날 그는 <6호 병동>에 갇혀 있던 정신병 환자인 ˝이반˝과 대화를 하게 되고, 그의 수준높은 지적능력에 감탄한 의사 ˝안드레이˝는 정신병지로 취급되는 ˝이반˝과의 대화에 상당한 흥미를 갖게 되고 매일 그와 만나게 되며, 다른 일성적인 것들을 멀리 하게 된다.
[당신은 믿지 않지만, 나는 믿소.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인지 볼테르의 작품인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작품속의 누군가가, 신이 없다면 사람이 신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지. 만일 불멸이 없다면 사람의 위대한 지성이 언젠가 불멸을 발명해 낼 거라고 나는 굳게 믿고 있소.] P.58
하지만 의사인 ˝안드레이˝가 정신병자인 ˝이반˝을 만난다는 사실이 주위 사람에게 좋게 보일리 없다. 게다가 점점 주변을 멀리하고 자기만의 세게에 빠져있던 ˝인드레이˝는 주위 사람들에게 정신병이 난 것처럼 보이게 된다. 결국 그는 자신이 관리하던 병원의 정신병동인 ˝6호 병동˝에 같히게 된다.
[그 사람들을 믿지 마십시요. 다 속임수입니다. 나의 병은 20년 만에 우리 도시 전체에서 유일하게 지적인 사람을 발견했는데, 그 사람이 정신병자라는데 있을 뿐입니다. 내가 병든게 아닙니다, 나는 어떤 일에도 각오가 되어 있습니다.] P.104
단지 자신만의 생각을 사유화 하는 걸 즐겼을 뿐이고 지적인 대화를 갈망하였을 뿐인데 주위 사람과 다르다는 이유로, 주위 사람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안드레이˝는 정신병자 취급을 받게 된다. 그런데 그가 자주 만났던 정신병자 ˝이반˝ 역시 그러한 이유로 ‘6호 병동‘에 감근된 사람이었으며, 그의 지적능력은 아이러니하게도 그 마을에 사는 어떤 사람보다도 뛰어났다.
생각과 행동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다수가 소수를 잘못되었다고, 정신병자 취급하는게 과연 맞는 것일까? 다수가 언제나 옳지는 않다. 오히려 다수의 이익을 위해 소수를 희생시키는 불합리함을 우리는 더 자주 보게 된다. 이 작품속에서도 사람들은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는 사람들의 치료에는 관심이 없고, 단지 병원의 유지에 대해서만 열을 올린다.
˝안톤 체호프˝의 인간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전문 의학지식이 잘 녹아들어 있는 멋진 작품 <6호 병동>은 독자에게 ˝당신도 어느날 갑자기 정신병원에 갇힐 수 있다˝는 섬뜩힐 경고를 하고 있다.
[감옥과 정신병원이 있는 한, 누군가 거기에 갇혀 있어야 합니다. 당신이 아니라면 나라도, 내가 아니면 다른 누구라도.] P.57
2.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이 작품은 그냥 말이 필요없는 작품이다. 읽을때마다 좋고, 새로운 느낌을 받는다. 문장 하나하나에 감정을 담을 수 있는 체호프는 정말 천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작품에 대한 평가로,
<당신의 ‘개를 데리고 다 부인‘을 읽고 나니 다른 사람들의 작품은 펜이 아는 막대기로 쓴 것처럼 여겨집니다> 라는 ˝고리키˝의 편지가 있으며,
˝나보코프˝는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을 가장 위대한 단편 소설의 하나로 꼽았다.
혹시 안읽어 보신 분이 있으시다면 꼭 읽어보시기 바란다. 아직 안읽어 보신 분이 너무 부러울 뿐이다.
이렇게 열린책들 35주년 세트 열번째 책을 완독 했다. 벌써부터 반환점의 첫 시작인 열한번째 책은 어떤 책으로 읽을지 행복한 고민이 된다.
지금까지 읽은 책들 : 10권
MIDNIGHT(6권) : 도둑맞은 편지, 죽은 사람들, 비겟덩어리, 이방인, 변신, 6호 병동
NOON(4권) : 노인과 바다, 행복한 왕자, 토니오 크뢰거, 푸른십자가
ps 1. 체호프의 명작을 읽으니 갑자기 다른 체호프의 작품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1. 체호프 단편선(민음사)
2. 사랑에 관하여(펭귄)
3. 벚꽃 동산(열린책들)
4. 지루한 이야기(창비)
이렇게 네권을 읽었는데 전부 별 열개짜리 작품이었다. 오늘 서점을 가야겠다.
ps 2. 플친님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책도 많이 읽으세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