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배의 신호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장소미 옮김 / 녹색광선 / 2022년 1월
평점 :
"알다시피 사람들은 늘 사느라 바쁜데, 당신은 당신 때문에 바쁘단 말이지. 대충 그렇소, 설명을 잘 못하겠어."
모든 사람에게서 사랑의 의미는 똑같지 않다. 그리고 지속시간도 제각각이다. 사랑이 정점에서 내려왔을때, '패배의 신호'가 가까워졌을 때 이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새로운 사랑을 찾아갈 수도 있고, 그냥 체념하고 살수도 있으며, 원래 있던 제자리로 돌아갈 수도 있다. 무엇이 정답인지는 모른다. 다만 새로운 환경에 다시 적응하는거다.
이름과 같은 프랑스의 작가 "프랑수아즈 사강"의 여섯번째 작품인 <패배의 신호>는 운명같은 만남을 통해 기존의 사랑을 정리하고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지만 결국 현실에 부딪혀 다시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된 두 남여의 사랑과 이별, 그리고 고독을 그린 작품이다.
"사강"은 이 책을 출판하기 전에 두번의 결혼과 두번의 이혼, 그리고 수많은 연애를 거쳤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이 작품에는 그녀의 자전적인 그리고 그녀가 평소에 생각하던 사랑에 대한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모르는 것은 쓸 수가 없다. 느끼지 못하는 것도 쓸 수가 업다. 체험하지 않은 일은 쓸 쑤가 없다."는 그녀의 말이 결코 거짓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 작품에서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 여성 "루실"과 남성 "앙투안"은 사랑에 빠지기 이전까지 다소 비슷한 환경에서 살고 있었다. "루실"은 스무살 연상의 돈 많은 재벌인 "샤를"과 동거하고 있었고, 편집자인 "앙투안" 역시 열살 연상의 사교계의 권력자인 "다인"과 동거하고 있었다. 하지만 둘은 하 사교계 모임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고, 비슷한 젊음을 간직하고 있던 두사람은 사랑에 빠진다.
["난 이제 얼굴을 붉히지 않고는 널 볼 수 없어, 마음이 아프지 않고는 네가 떠나는 걸 볼 수 없고, 시선을 돌리지 않고는 다른 사람 앞에서 너한테 얘기할 수 없을 거야."] P.71
하지만 "루실"을 너무 사랑하는 "샤를"은 두사람의 감정을 눈치채면서도 모른채 하거나 오히려 도와준다. "샤를"에게는 그녀가 자기를 떠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녀의 마음만 잠시 떠나는게 더 나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앙투안"은 "루실"에게 자신과 "샤를" 중 한 사람만을 택하라고 말하고, 그녀는 결국 "앙투안"을 선택한다.
[언젠간 일어날 일이었다. 이런 날이 오고야 말 줄 알았다. 남자들이란 끔찍스럽게 피곤한 존재들이었다. 오후까지는 결정을 해야 하리라. '결정'은 그녀에겐 가장 끔찍한 프랑스어 단어 중 하나였다.] P.133
그렇게 그녀는 그동안 자신에게 안락과 무한정한 애정을 준 "샤를"을 뒤로하고, 오직 사랑의 정열에 이끌리는 삶을 살게 된다. 과연 그녀의 행복은 오래 갈수 있을까? 이렇게 자신을 떠난 "루실"에게 언제까지나 기다리겠다고 말하는 "샤를"의 마음은 진심일까? 그의 마음은 어떤 기분일까? 패배감? 순애보?
["루실, 언젠가 나한테 돌아와요. 난 당신을 당신 자체로 사랑해, 앙투안은 자기 짝으로서 당신을 사랑하지. 당신과 함께 행복하고 싶은 걸 거고, 그 나이엔 그게 맞아. 하지만 난 당신이 나와 무관하게 행복하기를 바라오. 기다리겠소, 내가 할 일은 그것뿐이니까."] P.179
그동안 정부에게서 받은 경제적 지원으로 삶을 살았던 둘의 앞에는 이제부터 고난이 조금씩 등장한다. 가난하더라도 둘만 행복하다면 살아갈 수 있겠지만 "루실"에게는 이를 견딜 힘이 크지 않았다. 그녀를 너무나 사랑하는 "앙투안"은 어떻게든 그녀와 함께 살아갈 방법을 모색하지만, "루실"은 그럴 의지가 부족했다. 그리고 어떻게든 현재만을 위한, 자신의 욕구만을 위한 삶을 살아간다. 그렇게 둘의 뜨거웠던 여름은 지나가고, 이제 가을이 다가온다.
[그들 사이엔, 심지어 가장 감미롭고 다정한 순간에도, 불안하고 난폭한 무언가가 자리 잡았다. 그들은 더러 이 불안감으로 괴로워하면서도, 혹여 그들 중 누군가의 가슴에서 이 불안감이 사라진다면 그건 동시에 사랑도 사라졌다는 의미라는 걸 막연하게나마 인식했다.] P.186
그러던 어느날 "루실"은 임신을 하게 되고, 그녀는 자식을 원하지 않으면서 아이를 지우려고 한다. 하지만 돈이 없었던 두 사람, 그렇다고 뒷골목에서 아이를 지우기는 싫었던 "루실"은 "샤를"을 찾아가서 사정을 이야기 하고 돈을 빌린다. 여전히 "루실"을 사랑하는 "샤를"은 자신이 잘 아는 스위스 의사를 소개시켜 준다. 이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앙투안"은 분노를 느끼며 질투를 한다. 그리고 깨닫는다. 이제 둘의 관계는 겨울에 접어 들었다고, 결국 해어지게 될 거라고.
[그들은 무엇이 되었는가? 파리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객선이었던 이 침대가 표류 중인 뗏목으로 변했고, 그토록 친근하던 이 방은 추상적이 되었다. 그가 루실의 머릿속에 미래의 개념을 주입했고, 그럼으로써 그들 사이의 미래를 아예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어버린 것 같았다.] P.225
둘의 관계는 초반의 애욕마저 사라지게 되고, 결국 "루실"은 아직도 그녀를 기다리는 "샤를"에게 돌아간다. 모든 걸 내팽겨치고 선택했던 사랑은 결국 일년도 안되어 끝난다. 누구의 잘못이었을까? 무작정 "루실"의 잘못이었다고 비난할 수는 없다. "루실"은 원래부터 그런 사람이었고, 그렇다고 자신을 바꿀 수는 없었으니까. 오히려 원래 그런 사람이었다는 걸 알면서도 열정에 끌려서 둘 중 한사람을 선택하라고 강요한건 "앙투안"이었다.
[루실은 걸어서 돌아왔다. 집으로, 샤를에게로, 고독에게로, 그녀는 자신이 삶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모든 삶으로부터 영원히 박탈당했다는 것을 알았고, 박탈당해 마땅하다고 생각했다.] P.255
그렇게 헤어지고 나서 각자의 길을 걷게 된 두 사람은 한 파티장에서 우연히 재회한다. 두 사람은 서로를 어떻게 기억할까?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읽으면서 "루실"의 감정 변화도 좋았지만, "샤를"의 순애보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자기 여자친구가 바람이 났는데도 이해해주는 태도를 대인배적이라 해야할지 바보라고 해야할지 잘 모르겠지만 현실에서 과연 저런 사람이 있을까 싶었다. 아마 "사강" 자신이 그리던 사랑의 한 형태가 아니었을까? 내가 무슨 짓을 하더라도 언제나 나만 바라보고 기다리는 사람이 있었으면 하고 누구나 꿈꾸니까.
"사강"의 소설을 읽으면 배경은 호화롭고 재벌이 등장하며 잘생긴 젊은 남자가 나온다. 어떻게 보면 <패배의 신호>도 그녀가 꿈꾸던, 아니면 그녀가 경험했던 로멘틱 (판타지) 소설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뭔가 위화감이 들고, 상황이 이해가 안가지만 그래도 등장인물이 느끼는 감정에 공감이 가는건 "사강"이 그만큼 글을 잘 쓰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연인과 함께 있음에도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의 감정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아마 이 책이 답을 줄 것이다. 인간은 대부분 아니 모두 고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