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2029
˝분명하고 확실하게 도착하는 유일한 것은 죽음뿐입니다.˝
젊은 시절 목숨을 걸고 혁명군에서 복무했던 대령은 참전용사에 대한 연금을 약속한 정부를 믿고 집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60년이 지났다. 그는 정부의 연금 게시 편지를 기다렸지만 편지는 오지 않는다.
[10월이었다. 그날과 같은 수많은 아침으로부터 살아남은 대령 같은 사람도 피해가기 힘든 아침이었다. 마지막 내전이 끝난 이후 오십육 년 동안 대령은 기다리는 일 이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대령에게 도착하는 몇 안 되는 것들 중 하나가 10월이었다.] P.7
그러는 사이에 많은 일이 있었다. 대령의 동료들은 모두 연금을 받아보지 못한채 죽었고, 대령 부부는 가난에 찌들어 살아야 했으며, 하나뿐인 아들 ˝아구스틴˝은 투계장에서 반정부 활동에 연루되어 군인에게 살해되었다. 하지만 부부는 자신들의 불행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명예와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최대한 참고 견딘다.
[˝내 동료들은 모두 편지를 기다리다가 죽었습니다. 우리에게 호의를 베풀어 달라는 게 아닙니다. 우리는 공화국을 구하기 위해 분골쇄신했습니다.˝] P.37
하지만 더이상 팔 물건도 없던 대령 부부는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싸움닭을 팔아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싸움닭은 아들 ˝아구스틴˝이 남긴 유일한 유산이다. 부인은 싸움닭을 팔고 싶어한다. 당장 먹을것도 없었고, 이놈의 싸움닭 때문에 아들이 죽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선거가 끝날 때마다 당신에게 약속했던 알록달록한 새들을 이십 년이나 기다렸지만 우리에게 남은 것은 죽은 아들뿐이에요.˝ 아내는 멈추지 않고 말했다. ˝죽은 아들뿐이란 말이에요.˝] P.64
하지만 대령은 싸움닭을 파는걸 망설인다. 싸움닭은 대령과 그 동네에 남은 마지막 희망이었고 자존심이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투계장이 열렸을 때 자신의 싸움닭은 절대 질 수 없다고 확신하고 있는 대령과 그럼 그때까지 무얼 먹고 사냐고 따지는 부인, 과연 두 부부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뭘 먹고 살게 될까? 설마?
(스포때문에 여기까지만 쓴다.)
이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콜럼비아의 근대 역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나는 당연히 이 지식이 없기 때문에 해설을 읽고 나서야 마르케스가 이 작품에 어떤 메세지를 담으려고 했는지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었다.(해설이 거의 논문급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배경이 없더라도 이야기 자체가 재미있어서 읽는데는 별로 지장은 없다. 다만 분량은 적은데, 해설이 너무 길어서 왠지 손해본 기분이 들었다.
Ps. 지금까지 마르케스의 작품은 네편을 읽었고, 다음에 읽을 작품은 <족장의 가을>이다. 생각보다 국내에 출판된 마르케스의 책이 별로 없는것 같다. 지금까지 최고는 <백년의 고독>, 재미는 <콜레라 시대의 사랑>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