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지내요
시그리드 누네즈 지음, 정소영 옮김 / 엘리 / 2021년 8월
평점 :
N22062
˝인생은 한갓 꿈일 뿐, 생각해보라. 그보다 더 잔인한 관념이 과연 있을수 있나?˝
미국작가 ˝시그리드 누네즈˝의 <어떻게 지내요>는 이제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친구로부터 자신의 마지막을 함께 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친구와 같이 지내면서 친구의 마지막을 기다리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보면 많이 슬픈 이야기 일거 같은데 그렇게 슬프지는 않다. 오히려 담담하다. 그래서 독자가 더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이다. 그리고 이 책은 소설이라는 느낌이 많이 약하다. 오히려 에세이를 읽는 듯한 느낌이 든다. 책 자체는 잘 읽히지만 그렇게 흥미롭지만은 않았다. 아직 내가 저 나이때가 아니어서 인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내가 죽음에 대한 간접경험이 없는건 아니다. 이 책을 읽고 몇년전에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이 자연스럽게 났다. 갑자기 쓰러지셔서 병원에 입원한지 한달만에 돌아가셨는데, 병원에 들어가서 다시는 바깥으로 나오시지 못했다.
암 말기에 걸을 수 없어서 어쩔수 없이 죽는 순간을 병원에서 기다릴수 밖에 없었던 아버지는 무슨 생각을 하셨을까? 돌아가시기 전에 어디 여행이라도, 맛있는거라도 드시고 가셨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아직도 남아있고, 가끔 아버지의 마지막 장면이 떠오르기도 한다.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죽을 수 밖에 없는데, 죽는건 당연한건데 왜 그렇게 슬픈걸까? 책보다 리뷰를 쓰면서 더 슬퍼진다. (하지만 바로 회복했다 ㅎㅎ)
결말은 정해져있기 때문에 결말에 가는 과정에서라도 최대한 즐겁게, 행복하게 살아야 겠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원망보다는 기쁨을 주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나중에 누군가가 마지막을 지켜봐달라고 한다면 주저없이 수락해야겠다.
[이 세상에 태어날 때는 적어도 둘이 있지만, 떠날 때는 오로지 혼자라고 누군가 말한 적이 있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모든 인간 경험을 통틀어 가장 고독한 경험으로, 우리를 결속하기보다는 떼어놓는다.] P.149
[세상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고 했다. 고통받는 사람을 보면서 내게도 저런 일이 일어날 수 있어, 생각하는 사람과 내게는 절대 저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야, 생각하는 사람. 첫 번째 유형의 사람들 덕분에 우리는 견디며 살고 두 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삶을 지옥으로 만든다.] P.166
[할일을 하면서 어딜 보나 만족스러운 날을 보내다가 별 까닭도 없이 불현듯 그 기억이 찾아들어 다시 그때로 돌아갈 수밖에 없게 돼. 일에 파묻혀 지내면 거기서 벗어날 수 있다는 건 체득했지만, 그 때문에 며칠이고 우울에 빠져 있던 때도 있었어.] P.206
[거기 당신은 없는 모든 시간이. 그리고 영원히 존재할, 세상이 한없이, 한없이 풍요롭고 한없이 아름다운, 다 괜찮을 거야.] P.207
[네 잘못이 아니야. 내가 말했다. 물론 내 잘못도 아니었다. 그런데도 왜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내게 오롯이 잘못이 있는 듯한 기분을 떨칠 수가 없었을까?] P.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