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읽고 나서 주위사람들을 돌아보고, 후회없이 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미워하지도 말고.

목욕만이 아니야. 요즘은 툭하면 당분을 줄여야 한다, 염분을 줄여야 한다, 칼로리를 줄여야 한다...참 한심한 세상이 되어버렸지. 맛없는걸 먹으면서까지 오래 살고 싶진 않네만.

(완전 공감한다. ㅎㅎ) - P211

죽음은 허무한 일임이 분명하지만, 그곳에 이르는 도중에 시간에서 해방된다고 나는 믿고 있다. 겨우 몇분일 지라도, 죽는 사람에게는 수십년이나 또 하나의 인생이라고 할 만큼, 아니 영원으로 여겨질 만큼의 시간이 기다리고 있다고.

(정말 그렇다고 믿고 싶다.) - P241

사람과 해어진 뒤의 기분은 그런 법이다. 상대가 애인이든 친구든, 한순간의 이별이든 영원한 작별이든, 하나의 세계를 잃어버리는 것이 분명하다.

(마음에 와닿는 문장이다. 그런 기분을 느껴본 사람이라면.) - P258

아버지와 고지마 씨가 남이 아닌 경우를 상상해 보았지만 의외로 시시했다. 남녀의 끈적끈적한 이야기는 하나도 재미가 없다. 그보다 남 같은 생각이 들지 않는 경우가 훨씬 더 로맨틱 하지 않은가. - P305

우리는 너무 어렸고, 사랑이 이루어질 것 같지 않은 예감으로 인해 한순간 한순간을 소중히 했다. 과거도 미래도 말하지 않고 지금 이 순간만을 확인하면서, 인간이라기보다는 자연의 일부인 꽃이나 곤충처럼 순수하게 서로를 갈구했다.

(그랬었던 적이 있나 생각해 본다.) - P330

당신을 미워하지 않인. 그러니까 당신도 뒤돌아보지 마. 누가 뭐라고 하든 우리에게는 이게 최선의 선택이니까. 나도 당신도 행복해져야 해. 누가 봐도 최악의 선택이지만 우리에게는 최선의 선택이었던 이 어찌할 수 없는 밤을, 적어도 우리밀의 성스러운 밤으로 만들기 위해.

(마음이 찡했다. 어쩔수 없이 소중한 걸 버릴수밖에 없는 사람과, 결국 버려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해하게 되는 사람.) - P4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뜻한 이야기를 읽고 싶어졌다.

‘저는 아무것도 없어요‘

‘당연하지, 태어날 때 뭔가 가지고 나온 사람이 어디에 있나?‘

‘하지만 도중에 이런저런 걸 손에 넣지요‘

‘죽을 때는 아무것도 가져갈 수 없다네‘

- P37

눈을 뜬 이후 계속 온몸을 감싸던 행복감이 더욱 깊어졌다. 불행은 지혜를 낳지만 행복은 사고를 정지시킨다. 지금의 나는 바로 그런 상태에 있다. 인간의 이성을 따르는게 아니라 짐승처럼 본능이 앞서니까 어쩔 도리가 없다.

(왠지 공감이 되는 문장.) - P90

‘잊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에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없었던 것으로 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었지요. 서로 잊은 척하며 살면 되는겁니다‘

(잊지 못할 것도 있다. 잊는 것은 좋은 게 아니다.)

- P130

그렇게 생각하면 노후라는 우아한 우주선 안에서 나와 아내가몰래 숨겨 두었던 하루야의 추억을 넌지시 꺼내 본다 해도 그것은 서로의 감정을 다치게 하지 않는 아름다운 화석이 아닐까.

그렇다. 이제 생각해도 된다. 지금은 서로 그리움만 남아 있을 뿐, 슬픔도 아픔도 없을 테니까. - 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에 한편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스토예프스키의 5번째 읽은 작품~!
(카라마죠프가의 형제들, 죄와벌, 지하로부터의 수기, 백치, 악령)

우선 내가 읽은 책의 버전이 다 달랐다.

악령 상(중고) : 김연경 번역
악령 중(새책) : 박혜경 번역
악령 하(중고) : 김연경 번역인데, 아주 예전에 악령 상권과 하권으로만 출판된 책ㅡㅡ(이건 책 구입을 잘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는데 전혀 위화감은 없었다. 어차피 등장인물의 이름은 어렵기 때문에. 이게 동일한 인물인데도 이름이 다르게 적혀 있어서 상권에서는 자꾸 앞쪽에 정리된 이름을 확인했는데, 이후 적응이 되어서인지 완전 파악했다. ㅎㅎ 읽다보면 적응이 되나 보다.

책의 내용을 아주 간단히 일반인 수준에서 써보자면(아직 요약할 능력이 매우 부족...)

허무주의자아인 스따브로긴의 비극적인 인생을 중심으로,

악령에 쒸인(것 같은) 5인조 일당 등의 음모, 선동, 살인, 방화와 같은 사건,

악령들을 대하는 폰렘프꼐 부부의 대조적인 행보,

바르바라와 스쩨반의 20년간의 로멘스?와 같은 다양한 이야기들이 한데 그려지면서

인간이 잘못된 사상/신념에 빠지게 되면 얼마만큼 선동을 당할 수 있는지, 얼마만큼 악해질 수 있는지, 얼마만큼 불행해 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등장인물 대부분이 악령에 쒸어서 범죄를 저지르거나, 주변인물은 그들에 의해 파멸된다. (하지만 가장 악랄한 스쩨빠노비치가 살아남은 것은 다소 아쉽다. )

악령 뒷부분에 있는 해설을 보니 다듬어지지 않은 문장, 역사적 오류, 논리적 인과성 결여 등의 문제가 일부 있다고 한다. 책이 출반될 당시에도 그런 평이 있었다고도 하고. 역사적 오류 부분은 잘 모르겠지만, 다듬어지지 않은 문장은 정말 공감이 간다 ㅋ 읽다보면 뭐지?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럼에도 나는 악령의 이야기 자체가 너무 흥미로웠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결말이 궁금했으며,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에서 잘 볼 수 있는 인간의 정신적 공황, 심리적 갈등에 대한 묘사가 좋았다.(역시 등장인물 중 정상인은 거의 없다.)

주변에 추천하기에는 다소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만족한다. 특히 1000페이지가 넘는 책을 읽었다는데 만족한다 ㅋ (글자크기 10 에 자간 120%?)

다음은 분신을 읽어봐야 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책읽기 2021-03-10 21: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1000페이지. 👏👏👏👏👏 박수가 절로 나옵니다. 멋져요. ^^

새파랑 2021-03-10 22:02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붕붕툐툐 2021-03-10 22: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새파랑님! 완독 축하드려요!! 도스토예프스키의 팬이라 자칭하는 저는 세번째 작품에 몇달째 도전 중인데 무려 5번째라뇨!! 진짜 대단하심다!!

새파랑 2021-03-10 23:04   좋아요 1 | URL
먼저 읽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이책은 밑줄그을수가 없다 ㅋ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1-03-10 09: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요? 아까워서? ㅎ

새파랑 2021-03-10 09:45   좋아요 1 | URL
정말 아껴읽는 중이에요~재미있게 읽느라 밑줄 그을 타이밍이 없었습니다 ㅎ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