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헤밍웨이 좋아하나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파리는 언제나 축제(A Moveable Feast)> 는 1957년에서 1960년 사이에 쓰여진, 그의 20대 초반의 프랑스 파리에서 지낸 젊은시절을 그린 회고록이다. 이 책의 배경이 되는 시기에 그는 아직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전이며, 그의 첫번째 아내인 ˝해들리˝와 함께 파리에서 만난 인물들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2부인 ˝파리스케치˝ 후반부에 그의 두번째 아내인 ˝폴린˝이야기가 잠깐 나오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는 ˝헤밍웨이˝가 세계적 작가로 성공하기 이전에 어떻게 글을 썼는지, 어떤한 사람들을 만나서,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에세이라기 보다는 한편의 소설을 읽는 기분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특히 파리의 풍경과 식당, 서점, 공원, 카페에 대한 문장을 읽으면 파리라는 곳에 당장 가고 싶은 기분을 들게 한다. 안되면 우리나라에 있는 프랜치 카페라도 가야될거 같은?
이 책의 핵심 등장인물을 한명 꼽자면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를 꼽을 수 있다. 당시 ˝헤밍웨이˝보다 먼저 명성을 날린 그는, 그의 부인인 ˝젤다˝와 함께 파리에 머물면서 작품활동을 하는데, 여러모로 상반된 둘의 교류는 읽는 재미를 준다.
남성적이고 활동적인 ˝헤밍웨이˝, 반면 다소 신경질적이고 정적인 ˝피츠제럴드˝가 그렇게 어울릴 수 있었다는게 신기했는데, 이 책을 ˝헤밍웨이˝가 썼기 때문인지 ˝피츠제럴드˝와 그의 부인 ˝젤다˝를 은근히 돌려까는(?) 느낌이 있다. 그가 이 책을 보았더라면 아마 재미있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상상해 봤다. 러시아였다면 ‘결투‘를 하지 않았을까?
이 책은 본문에 ˝헤밍웨이˝가 파리에서 직접 찍은것 같아 보이는 (이건 확실하지 않다...) 사진들이 해당 페이지에 맞게 첨부되어 있어서 읽는것과 보는것의 즐거움을 준다.
또한 책의 마지막 부록으로 그가 태어날때부터 노년까지의 사진과 설명이 첨부되어 있어 그가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파노라마처럼 보여준다.
이 책은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엽총으로 자살하기 전에 이 책을 썼고,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는데, 그는 인생의 마지막 시기에 왜 이런 책을 썼을까? 아마 20대 초반 프랑스에서 첫번째 부인인 ˝해들리˝와 보낸 그때가, 그가 가장 돌아가고 싶은 아름다웠고 순수했던 시절이였기 때문이지 않았을까 추축해 본다. ˝헤밍웨이˝의 ‘화양연화‘을 그린 📚
헤밍웨이의 작품을 이 책 포함해서 총 6편을 읽어 보았다. 유명한 건 다 읽어본 것 같은데, 읽은 작품 모두 나에겐 🌟 8개 이상이었다. 가장 좋았던 작품은 <무기여 잘 있어라>
<파리는 언제나 축제>를 읽은 후 드는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파리에 가보고 싶다.
2. ˝헤밍웨이˝ 책을 다시 읽고 싶다.
3. ˝피츠제럴드˝ 책을 다시 읽고 싶다.
4. ˝헤밍웨이˝는 총 4번 결혼을 한 것 같다.
5. ˝헤밍웨이˝는 생활적으로는 다소 문제가 있지만 매력적인 사람인 것 같다.
6. ˝피츠제럴드˝는 다소 우울한 인생을 산 것 같다.
˝헤밍웨이˝를 좋아한다면, ˝파리˝를 좋아한다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