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좋다. 역시 사강.










다음 날 아침 병원에 가기 전, 내가 특히 좋아하는 미국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전시를 보러 갔다. 고독한 인물들로 가득한 그 우울한 그림들 앞에서 몽상에 잠겨 한 시간을 보 냈다. 특히 〈바다를 바라보는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그림 앞에서 시간을 끌었다. 그림 속에서는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나란히, 그러나 서로에게 완전히 낯선 사람들인 채로 정육 면체 모양의 집 앞에 앉아 바다를 보고 있다. 거기서 앨런과 내가 했던 공동생활에 대한 암시가, 잔인한 설명이 엿보이는 것 같았다. - P126

"당신 지루해요?" 줄리우스가 물었다.
"아뇨. 왜요? 이 나라는 무척 아름답고, 난 아무것도 하지않고 지내는게 참 좋아요."
"당신이 지루해하지 않을까 줄곧 두려웠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나에겐 끔찍한 일일거예요."
줄리우스가 말했다. "그게 왜요?" 내가 즐거운 목소리로 물었다.
"당신을 알게 된 이후 나는 더 이상 지루하지 않으니까요." - P138

그는 나에게 하룻밤의 남자였다. 나는 햇빛 아래에서보다는 어둠 속에서 그의 모습을 훨씬 더 많이 보았고, 나에게 그는 불타는 육체, 누워 있는 옆모습, 새벽의 실루엣이었다. 나에게 그는 열기, 세 개의 시선, 한 개의 무게, 네 개의 문장이었다. - P178

우리는 지독히도 평행이고 지독히도 낯선 서로의 인생 속을 지나갔다. 우리는 오직 옆모습으로만 서로를 보았고, 결코 서로 사랑 하지 않았다. 그는 나를 소유하기만을 꿈꾸었고, 나는 그에게서 달아나기만을 꿈꾸었다. 그게 전부였다. - P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사강 소설은 흡입력이 있다.






바로 이 부분이 최악의 결별의 특성이다. 단순히 헤어지 는 자체만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이유 때문에 헤어지는 것. 그토록 행복하다가 그토록 엉클어지고, 그토록 가까워서 서로에 의한 것 말고는 아무것도 진실이 아니다가 정신이 나가고 사나워지고, 사막에서 더 이상 서로 만나지 않을 길을 걷는다. - P18

둘째는 그를 피해 떠나는 것, 그에게서 달아나는 것이다. 하지만 때때로 나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를 내가 사랑했던 모습으로 떠올렸고, 그리하여 합리적이고 유일한 것임을 알고 있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스스로를 잃게 되었다. - P21

"당신을 되찾을 거야. 난 당신과 절대 헤어지지 않을 거 고, 당신은 내게서 결코 벗어나지 못할 거야. 당신은 내가 어디에 있는지, 내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지. 하지만 내가 당신을 잊었다고 생각할 때 난 당신의 삶에 다다를 거야. 그리고 모든 걸 망가뜨릴 거야." 앨런이 말했다. - P70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07-11 15: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시 새파랑님은 사강을 흡입한다.

새파랑 2023-07-11 16:39   좋아요 0 | URL
아 ㅋ 요새 시간이 없어서 짬내서 밑줄긋고 있습니다 ㅎㅎ

페크pek0501 2023-07-13 11: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사강 소설 읽었었는데 제목이 슬픔이여 안녕, 이었어요.
알라딘에 기록을 해 놓지 않아 무슨 내용이었는지 모르겠어요. 기록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으며...ㅋ

새파랑 2023-07-14 08:27   좋아요 0 | URL
저 이책 다 읽었는데 아직 리뷰를 못쓰고 있습니다 ㅋ
사강 작품은 평타이상은 하는거 같습니다~! 다 재미있어요 ㅋ

맞습니다~! 기록해야 합니다~!!
 

일상도 재미있는 하루카. 하루키 같우 사람이랑 친하게 지내면 심심할 날이 없을것 같다.




물론 고양이에게도 다양한 성격이 있고, 한 마리 한마리에 따라 저마다 생각하는 방식이 다르고 행동양식도 다르다. 지금 기 르는 샴고양이는 내가 앞발을 잡아주지 않으면 새끼를 못 낳는 실로 흔치 않은 성격의 고양이다. 이 고양이는 진통이 시작되면 곧장 내 무릎으로 달려와서는 ‘으쌰‘ 하고 앉은뱅이 의자에 기대는 듯한 자세로 주저앉는다. 그리고 내가 두 앞발을 꼭 쥐어주 면 이윽고 한 마리 또 한 마리 새끼 고양이가 태어나는 것이다. 고양이의 출산이란 곁에서 보고 있으면 상당히 신기하다. - P72

"그런데 무라카미 씨는 평소에 어떤 연필을 사용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나는 늘 F심 연필을 사용하니까 "F를 쓰는데요"라고 대답하자, 그 사람은 이 렇게 말했다. "그렇군요. 그런데 늘 생각하는 건데, F심 연필은 세일러복을 입은 여학생 같지 않습니까?" - P90

십대 시절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장 크리스토프』『전쟁과 평화』『고요한 돈강』을 세 번씩 읽었던 것이 정말 옛날 일처럼 느껴진다. 당시에는 책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좋았던지라, 『죄와 벌』 같은 작품은 페이지가 너무 적어 성에 안 찬다고 생각 했을 정도였다. 그 시절에 비하면 - 나이를 먹어 책 한 권을 찬 찬히 읽게 되었다는 변화도 있지만- 독서량이 오분의 일 정도로 줄어든 것 같다. - P153

요즘 필립 로스의 소설이 갑자기 재미있게 느껴지는데, 그렇게 생각하는 건 나뿐일까? 그리 재밌다는 평판은 못들은 것 같은데. - P263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3-07-10 14: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 에프심 연필이 세일러복입은 여학생 같은까요? 잘 모르겠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키에게 물어봐야겠죠?

새파랑 2023-07-10 19:42   좋아요 1 | URL
하루키 지인이 그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ㅋ 저런 표현이 너무 좋네요. 독창적입니다 ㅋ

얄라알라 2023-07-10 23:21   좋아요 2 | URL
han님...ㅋ
저도 F심 이해를 못해서,
물음표 하던 차인데 다행인가봐요
저만 이해 못한 게 아니라서^^

F글자가 위쪽이 비대해서 세일러복 입으면 상반신이 과장되어 보여서 그런건가요?^^ 아...새파랑님 설명해주셔도 못알아듣는 저는 어쩌면 좋습니까?

새파랑 2023-07-11 07:49   좋아요 1 | URL
저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ㅋ 연필심이 뭔가 좀 다른걸까요? ㅋ 단어 보다는 연필의 특성을 보고 표현한거라 생각했는데 알라님 글을 보니 단어의 특성(?)때문일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

페크pek0501 2023-07-13 11: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하루키가 얼마나 고양이를 사랑하는지를 그의 글을 통해 알았어요.
위의 72쪽의 내용은 저도 읽은 건데 어디서 읽었는지는 모르겠어요.ㅋ
고양이가 얼마나 그를 신뢰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죠.
십대 시절에 명작을 세 번씩 읽은 작가로군요. 대단합니다.

새파랑 2023-07-14 08:28   좋아요 0 | URL
저도 이거 보고 웃겨서 밑줄 그었습니다 ㅋ 이책이 밑줄그을 만한 성격은 아닌데 ㅎㅎ

저기있는 책들 일단 다 가지고는 있습니다 ㅋ
 

하루키의 상상력은 대단하다 정말~!

"설명 같은 건 하고 싶지 않았어" 하고 그는 가로막듯이 말했다.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더라도 이해해 주기를 바랐던 것 같아. 특히 누나에게는 말이야." - P4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3-07-13 1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설명을 해 주어야 아는 사람이 있더라는...

새파랑 2023-07-14 08:35   좋아요 1 | URL
이거랑 비슷한 하루키의 문장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모른다면 설명해도 모르는 것이다˝ 요런 비슷한게 있습니다 ㅋ
 
철의 시대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81
J. M.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23041 처음 읽은 쿳시의 작품. 너무 오래잡고 읽어서 그런지 완독했다는데 만족한다. 책이 어렵다기 보다는 내용이 많이 무거웠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갈등과 노년의 힘겨움, 떠나버린 딸에 대한 그리움과 원망, 온기없는 포옹까지. 사회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버려진다는건 언제나 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