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대항하는 인간, 신에 맞서려는 인간.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느낌을 책을 덮는 순간까지 느꼈다.








‘인간의 권리‘와 ‘세계의 자유‘가 ‘놓친 고래‘가 아니면 또 뭐란 말인가? 모든 인간의 정신과 의견이 ‘놓친 고래‘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그들이 지닌 종교적 신념의 원칙이 ‘놓친 고래‘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남의 말을 훔쳐 허세를 부리는 웅변가에게 사상가들의 사상이 ‘놓친 고래‘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이 거대한 지구 자체가 ‘놓친 고래‘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그리고 독자여, 당신 또한 ‘놓친 고래‘이자 ‘잡힌 고래‘ 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 P207

암컷 학교와 수컷 학교 사이의 또다른 차이점이 성별의 차이를 더욱 명확히 보여준다. 여러분이 40통짜리 황소 한마리를 공격하기라도 하면- 불쌍하기도 하지! ㅡ녀석의 동료들은 몽땅 녀석을 두고 달아나 버린다. 하지만 하렘 학교의 학생 하나를 공격하면, 그 학생의 친구들이 온갖 우려를 표하며 그녀 주위를 헤엄쳐 다니고, 때로는 그녀 가까이서 너무 오랫동안 머무는 바람에 자신들까지 희생물이 되어버리곤 한다. - P199

I. ‘잡힌 고래‘는 그것을 잡은 자의 소유다.
II. ‘놓친 고래‘는 먼저 잡는 자가 임자다. - P203

하지만 그럼에도 녀석을 쫓을 것이오. 그냥 내버려두는 게 상책인 녀석, 그 저주받은 녀석이 때로는 마음을 가장 강하게 사로잡는 매력을 뻗어내기도 한단 말이지. 녀석은 온몸이 자석이오! 녀석을 마지막으로 본 게 언제였소? 어느 쪽으로 갔소?‘ - P282

"흰 고래를 잡겠디는 너희의 맹세는 나의 맹세만큼이나 단단히 묶여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 에이해브는 심장, 영혼, 육신, 허파 그리고 목슴 까지 그 맹세에 묶여 있다. 너희는 이 심장이 어떤 곡조에 맞춰 뛰는지 알고 있을 것이다. 다들 여기를 봐라. 내가 마지막 두려움까지 모두 꺼 줄 테니!" 그러더니 그는 거센 입김 한 번으로 불꽃을 꺼버렸다. - P396

난 영감에게 순풍을 보고하러 온 거야. 그런데 무엇을 위한 순풍이지? 죽음과 파멸을 위한 순풍. 그렇다면 그것은 모비딕을 위한 순풍이로군. 그 저주받은 고래에게만 순조로운 바람이야. - P405

이리하여 흰 고래가 혜엄치고 노는 바로 그 어장에서 흰 고래를 찾기 위해 돛대에 오른 피쿼드호의 선원이 처음으로 심해에 삼켜지고 말았다. 하지만 당시에 그 사건의 의미를 곱썹어본 이들은 극히 소수였을 것이다. 사실 선원들 중에 이 사건을 불길한 징조로 여기고 비통해한 이는 아무도 없었다. 그들은 이 사건을 앞으로 닥쳐올 재앙의 전조가 아니라, 이미 에견된 재앙의 실험으로 여졌기 때문이다. 선원들은 간밤에 들었던 날카로운 비명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제야 알겠다며 떠들어 댔다. 하지만 맨섬 출신의 노인은 그게 아니라는 듯 다시 한번 고개를 가로저었다. - P423

이 늙은 에이해브는 지난 사십년 동안을 왜 그리도 바보ㅡ바보ㅡ늙은 바보처럼 살아온 것일까! 왜 고래를 잡겠다고 이처럼 분투하는 것일까? 왜 노를 긋고 작살과 창을 던지느라 팔을 지치게 하고 저리게 하는 것일까? 그래서 에이해브가 지금 더 부자가 되거나 형편이 나아지기라도 했단 말인가? 보게. 오오, 스타벅! 이렇게 지굿지긋한 짐을 짊어진 내게서 가련한 다리 하나마저 슬적 강탈해가야만 했다니, 이건 해도 너무한 게 아닌가? - P458

"오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 고귀한 영혼이시여! 역시나 위엄 있고 지혜로운 마음을 가지신 분이시여! 왜 우리가 그 가증스러운 고래를 쫓아야 하는 겁니까! 저와 함께 갑시다! 이 끔찍한 바다에서 함께 달아 납시다! 집으로 가자고요! 저 스타벽에게도 처자식이 있습니다-형제 같고 자매 같고 어릴 적에 같이 놀던 친구 같은 처자식 말이에요. 선장님이 늙어서 얻은 사랑스럽고 그리운 처자식도 그와 마찬가지일 테죠. 갑시다! 함께 가자고요! 지금 당장 침로를 수정할 수 있게 허락해주세요! 오, 나의 선장님, 우리가 다시 그리운 낸터킷을 향해 달려가는 길은 얼마나 유쾌하고 즐거울까요! 선장님, 제 생각에는 낸터킷에서도 이처럼 온화하고 푸른 날들을 맞이할 수 있을 겁니다." - P459

"영감 당신은 녀석을 절대로, 절대로 잡을 수 없을 겁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이 짓을 그만두세요. 이건 악마의 광기보다 더 지독한 짓입니다. 이틀 동안이나 추격했고, 보트가 두 차례나 산산조각났으며, 당신의 그 다리는 또 한번 당신 몸에서 떨어져나간데다, 당신의 사악한 그림자는 영원히 종적을 감췄습니다. 선한 천사들이 떼지어 몰려들어 당신에게 경고하고 있어요. 뭘 더 원하나요? 이 흉악한 고래가 우리를 최후의 한 사람까지 몽땅 힘쓸어버릴 때까지 녀석을 추격해야 하나요? 우리가 녀석에게 이끌려 저 바다 밑바닥까지 내려가야 하나요? 우리가 녀석에게 이끌려 지옥에라도 들어가야 하나요? 아아, 이 이상 녀석을 쫓는 일은 불경스러운 신성모독입니다!" - P489

"농락당했구나, 바보처럼 농락당했어." 길고 가는 한숨을 들이마시며 그가 말했다." 그래, 파르시여! 자네와 다시 만나게 되였구나. 그래, 자네가 나보다 앞서나갔군. 그렇다면 이것이 이것이 바로 자네가 약속했던 그 관이란 말인가. 하지만 자네가 했던 약속의 마지막 한 글자까지 지켜줘야겠네. 두번째 관은 어디에 있지? 항해시들은 모두 모선으로 돌아가라! 너희 보트는 이제 무용지물이니까. 제시간에 보트를 수리할 수 있거든 내게로 돌아오고, 그럴 수 없거든 죽는 건 이 에이해브 하나로 족하 다ㅡ다들 앉아! 내가 서 있는 이 보트에서 뛰어내리려 하는 자가 나온다면 내가 작살 맛을 보여주겠다. 너희는 남이 아니라 내 팔과 다리다. 그러니 내게 복종하라. 고래는 어디 있지? 다시 아래로 잠수했나?" - P506

이제 조그마한 새들이 여전히 아가리를 떡 벌리고 있는 소용돌이 위를 시끄럽게 울며 닐아다녔고, 시무룩한 힌 파도는 소용돌이의 가파른 측면을 때렸다. 그러고는 모든 것이 무너져내렸고, 거대한 수의같은 바다는 오천 년 전에 넘실거렸던 것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그 자리에서 넘실대고 있었다. - P5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교롭게도 최근에 두명의 한국작가 작품을 각각 두편씩 읽었다. 그 작가는 최진영과 김연수. 신기하게 최진영 작가의 작품은 장편이었고, 김연수 작가의 작품은 단편이었다. 또한 최진영 작가의 작품은 (죄송하지만...) 밀리의 서재로 읽었고, 김연수 작가의 작품은 종이책으로 읽었다.


그동안 최진영 작가의 작품을 네편 읽었고, 이번에 두편을 읽어서 총 여섯편을 읽었는데, 이번에 읽은 두편은 나쁘지는 않았지만 이전에 읽었던 네 작품에 비해 그렇게 좋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로는 최진영 작가의 ‘오로라‘랑 ‘구의 증명‘이 가장 좋았다.)


김연수 작가의 작품은 이번에 처음 읽었는데, 와, 왜 그동안 안읽었는지 후회가 될 정도로 좋았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착한(?) 작품을 선호하지는 않지만, 김연수 작가의 착함(?)은 뭔가 달랐다. 공감이라고 해야 할까? 김연수 작가가 락음악을 좋아해서 더 좋았던 걸까?




읽은 책들을 간단히 리뷰해 보자면...




N24027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최진영

최진영 작가의 첫 장편이고, 수상도 하고 많은 극찬을 받았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과연 그정도인가? 라는 생각을 했다. 일단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고 술술 읽히는데, 너무 날것이고 비현실적인데다가, 너무 극단적이어서 공감하기 힘들었다, 구의 증명도 극단적이긴 마찬가지 이지만... 진짜 엄마를 찾는다는게 과연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고... 그래도 이런 창작이 있었기에 이후 작품들이 더 좋아지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든다.




N24028 <끝나지 않는 노래> 최진영

반면 최진영 작가의 다음 장편인 <끝나지 않는 노래>는 전작보다는 훨씬 좋았다.뭔가 더 매끄러워진 느낌이랄까? 일제강점기에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3대에 걸쳔 어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는 현실성과 함께 우리 사회가 가진 문제점들이 잘 녹아들어 있다. 그 시대에 딸로 태어나 살아가는 고통이 이런거구나 싶었다.


이 책을 읽고나서 최은영 작가의 <밝은 밤>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둘 다 비슷한 소재를 다루지만, 작가에 따라서 이렇게 이야기의 내용과 분위기가 다를 수 있구나 하는 걸 느낄 수 있었다. 개인적이르는 <밝은 밤> 보다는 <끝나지 않는 노래>가 더 좋았고 공감이 갔다.




N24029 <이토록 평범한 미래> 김연수

이렇게 긍정적이고, 이렇게 다정한 작가가 있다니, 책을 읽는 내내 뭔가 아련하면서도 희망과 공감을 느꼈다. 특히 미래를 기억해야 한다는 말은 너무나 신선했다. 이런 따뜻한 시선을 문장에 녹이는 작가의 작품을 누가 싫어할 수 있을까??

[˝과거는 자신이 이미 겪은 일이기 때문에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데, 미래는 가능성으로만 존재할 뿐이라 조금도 상상할 수 없다는 것. 그런 생각에 인간의 비극이 깃들지요.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오히려 미래입니다.˝]  P.29




N24030 <너무나 많은 여름이> 김연수

<이토록 평범한 미래>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더 좋았다. 아직 여름이 오진 않았지만, 매번 여름이 올때마다 다시 꺼내서 읽고 싶은 책이었다. 나에겐 앞으로 얼마나 많은 여름이 남아있을까?


이 작품에는 김연수 작가의 자전적 느낌이 드는, 여름을 소재로 한 20편의 단편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작품들이 다 짧아서 일일이 설명하긴 좀 그렇지만 모든 단편이 다 좋았다.


특히 <여름의 마지막 숨결>에서 언급된 브라이언 아담스의 ‘Summer of ‘69‘은 완전 최고였다. 중학교때  자주 들었던 노래인데, 오랜만에 찾아 들었다. 브라이언 아담스의 노래중에 최고라 생각되는 곡.

[나는 진짜 기타를 처음 손에 넣었지,
오 달러 십 센트에 샀지.
손가락에서 피가 날 때까지 기타를 쳤어.
69년 여름의 일이었지.]  P.34


1969년의 여름도 지나가고 2019년의 여름도 지나갔다. 다시 돌아가고 싶지만 그럴수 없는 그시절, 그때와는 달리 많은 것들이 변했지만 그래도 그 시절의 여름은 기억속에 그대로 남아있다. 이유없는 다정함과 함께.  


‘Summer of ‘69‘ (Bryan Adams)

Oh, when I look back now
That summer seemed to last forever
And if I had the choice
Yeah, I‘d always wanna be there
Those were the best days of my life


오늘부터 김연수 작가의 전 작품을 모아야 겠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ingri 2024-04-14 12: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착하고 다정한 김연수 !

새파랑 2024-04-14 12:53   좋아요 1 | URL
맞는거 같습니다 ㅋ 지금 다른 작품 만나러 갑니다~!

자목련 2024-04-14 18: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김연수 소설, 정말 좋죠!
새파랑 님의 리뷰도 좋고요^^

새파랑 2024-04-14 20:51   좋아요 0 | URL
오늘 김연수 작가님 책 6권 구매했습니다 ㅋ 장편은 얼마나 좋을지 기대가 됩니다~!!

반유행열반인 2024-04-14 19: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따스한 김연수보고도 저는 재작년에는 온통 뿔냈잖아요 ㅋㅋㅋㅋ누가 싫어할 수 있을까? 해서 나서봄 ㅋㅋㅋ읽고 바로 팔아버림…그런데 다시 빌려서 재독하고는 좋다 내가 나빴다 인정…ㅋㅋㅋ

새파랑 2024-04-14 20:53   좋아요 0 | URL
그 빡센 열반인님도 인정하는 김연수 작가님이군요. 전 안팔고 잘 모아보겠습니다 ㅋㅋㅋ

저도 작년에 다들 좋다고들 하셔서 묵혀놓고 있다가 이제 읽었습니다~!! 인정도 빠르시군요~!!

페넬로페 2024-04-14 19:4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최진영 작가의 작품 읽기 시작했는데 아직 리뷰를 쓰지 못하고 있어요.
뭔가 분위기가 색다른데 그게 또 어렵더라고요.
김연수의 ‘이토록 평범한 미래‘, 넘 긍정적이죠? ㅎㅎ

새파랑 2024-04-14 20:55   좋아요 2 | URL
최진영 작가의 어떤 책을 읽으셨는지 궁금합니다~!! 분위기가 좀 독특하긴 한거 같아요~!!

<이토록 평범한 미래> 읽을때는 몰랐는데 다 읽고나니 묘하게 좋더라구요~!!

blanca 2024-04-14 19: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김연수 작가 정말 좋아해요. 특히 박상영이 묘사한 김연수 작가 모습은 아름다운 단편 그 자체랍니다. 박상영 작가가 사람, 사물에 대한 냉소적인 발언하면 김연수 작가가 바로잡아 준대요. 상영이는 세상을 보는 시선이 ~구나. 이러면서 ㅋㅋㅋ 실제 곁에서 봐도 글과 같은 사람인 것 같아요. 박상영 작가 에세이에서 김연수 작가 부분 읽을 때마다 뿜었어요. 나이 차가 꽤 나는데도 박상영 작가가 너무 좋아하는 게 느껴지더라고요. 김연수 작가의 에세이들도 정말 강추합니다. 진~짜 좋아요.

새파랑 2024-04-14 20:57   좋아요 0 | URL
아 김연수 작가님 에세이도 좋군요. 정말 글에서 착함이 느껴졌습니다. 제가 정화도는 느낌~! blanca님도 좋아하신다니 저도 따라서 좋아해야 겠습니다~!!

청아 2024-04-14 21: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락음악 좋아하는데 새파랑님 믿고 김연수 작품 재도전을 기약합니다ㅎㅎ

새파랑 2024-04-15 07:45   좋아요 1 | URL
재도전 이신가요? ㅋ 김연수작가님 왠지 저랑 비슷한 성격(?)인거 같더라구요 ㅎㅎ 브라이언 아담스 저노래 한번 들어보세요~!!
 
모비 딕 1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83
허먼 멜빌 지음, 황유원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24026 너무나 유명해서 그동안 손이 안갔던 책인데, 이제서야 읽게 된 걸 후회중이다. 진정한 대작이란 바로 이런것~!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선원의 설레임과 두려움, 포경선의 역사에 대한 백과사전과 같은 작품. 모비딕에 대한 복수는 성공할 것인가? 모비딕은 언제 나오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 드롭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24025 에쿠니 가오리의 여행(?)을 테마로 한 에세이. 작가가 경험한 여행에 대한 소소한 일상이 재미있게 쓰여 있다. 그녀의 에세이는 처음 읽어보는데, 개인적으로는 그녀의 소설이 더 좋은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친놈 2024-04-15 14: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소설이 더 좋군요 ㅎㅎㅎ 저도 에쿠니 가오리 에세이는 아직 안읽어 봤는데 궁금하네요 ㅎㅎㅎ

새파랑 2024-04-16 13:56   좋아요 1 | URL
전 원래 에세이보다는 소설파라서 더 그럴수도 있습니다~!!
 
애도 일기 (리커버 에디션)
롤랑 바르트 지음, 김진영 옮김 / 걷는나무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24024

"이런 말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 슬픔도 차츰 나아진다고. 아니, 시간은 아무것도 사라지게 만들지 못한다. 시간은 그저 슬픔을 받아들이는 예민함만을 차츰 사라지게 할 뿐이다."


'슬픔'이라는 단어만으로는 왠지 부족하게 느껴진다. 이 책을 설명하기가...


누군가를 죽음으로 떠나 보낸 경험이 다 한번씩은 있을 것이다. 가족일수도 있고, 친구일수도 있고, 반려동물일수도 있고. 나의 경우, 소중한 사람을 잃었을 당시에는 커다란 충격과 슬픔을 느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충격과 슬픔이 옅어졌었다. 어쩌면 이게 맞는 것일수도 있다. 처음에 느꼈던 충격과 슬픔의 강도가 계속된다면 과연 정상적으로 살아갈수 있을까? 그래도 남아있는 사람은 살아야 하니까.

[우리가 그토록 사랑했던 사람을 잃고 그 사람 없이도 잘 살아 간다면, 그건 우리가 그 사람을, 자기가 믿었던 것과는 달리, 그렇게 많이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까...?] P.78



하지만 다 그런건 아닐것이다.<애도 일기>의 작가인 '롤랑 바르트' 도 아니었다. 옅어지기는 커녕 점점 아픔이 짙어져간 사람. 그는 사랑하는 어머니를 잃고 2년동안 수시로 그녀를 회고하는 메모를 남긴다. 그리고 그 메모를 엮은 작품이 바로 <애도 일기> 이다. 그가 출판을 목적으로 남긴 메모는 아니었다. 1977년 10월 25일에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고 난 다음날부터 약 2년동안 그는 어머니에 대한 기억과 감정을 메모로 남긴다.

[이 순수한 슬픔, 외롭다거나 삶을 새로 꾸미겠다거나 하는 따위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슬픔. 사랑의 관계가 끊어져 벌어지고 파인 고랑.] P.50



얼마나 그리웠던 걸까? 얼마나 아팠던 걸까? 이런 감정이 완전한 슬픔이구나. 생전에 얼마나 사랑과 신뢰가 있었어야만 이런 애도를 할 수 있는 걸까? 높이 있을수록 더 깊이 떨어지듯이 너무나 소중했었기에 상실은 너무 깊었다.

[오늘 적막한 일요일 아침, 울적하고 암담한 마음속에서, 지금 천천히 내 마음속에서 떠오르는 매우 엄중한 절망적인 테마가 있다. 도대체 앞으로의 내 삶은 그 어떤 의미가 있는걸까?] P.92



이런 슬픔의 극단을 계속 안고 살아간다는게 말이 안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2년 후 '롤랑 바르트'는 트럭에 치이는 사고를 당한다. 하지만 그는 치료를 거부하고 한달 뒤에 사망한다. 공식적으로는 사고사였지만, 어떤 이는 자살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언젠가 우리는 모두 여호와의 계곡에서 다시 만나게 될 거예요."
"당신은 정말 죽은 뒤에 우리가 다시 만날 거라고 믿나요? 정말 내가 마망을 다시 만날 수 있다면, 난 지금이라도 당장 죽고 싶어요."] P.167

[마망의 죽음은 모든 사람들은 죽는다는, 지금까지는 추상적 이기만 했던 사실을 확신으로 바꾸어주었다. 그리고 여기에는 그 어떤 예외도 없으므로, 이 논리를 따라서 나 또한 죽어야만 한다는 확신은 어쩐지 마음을 편하게 해준다.] P.216




어머니에 대한 그의 슬픔이 <애도 일기>가 아닌 <망각 일기> 였다면 어땠을까란 생각을 해봤다. 그리고 만약 그가 마음속으로만 어머니를 추모하고, 어머니에 대한 메모를 남기지 않았더라면 조금은 덜 아프지 않았을까란 생각도 들었다. 감정이라는게 글이라는 형태로 표출되게 되면 더 극대화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작가들(글쓰는 사람들)이 일반사람들에 비해 더 감성적인 걸지도...


저마다의 슬픔의 깊이를 측정할 수는 없지만, 두번다시 만날수 없는 것보다 더 큰 슬픔은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