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2054
˝불안에 쫓겨, 불안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움직여서는 아무리 걸어도, 아무리 걸어도 해결될 리 없다. 평생 해결되지 않는 불안 속을 걸어가는 것이다˝
나쓰메 소세키의 <갱부>는 열아홉살의 화자인 ‘나‘가 가출을 하면서부터 이야기가 시작한다. 정확하게 원인이 표현되어 있지는 않지만 삼각관계로 인해 혼란을 겪은 부잣집 아들인 ‘나‘는 무작정 집을 나선다. 그리고 아무 생각없이 길을 헤매다가 ˝조조˝라 불리는 한 남자를 만난다. 그리고 ˝조조˝는 나에게 ‘갱부‘가 될 생각이 없는지 물어본다.
[그 흐릿한 세계가 흐릿한 채 널리 퍼져 정해진 운명이 다할 때까지 앞길을 막는다면 견딜 수 없을 것이다. 불안감에 사로잡힌 채 멈춘 한쪽 발을 한 발짝 앞으로 내디디면 그 불안 속에 한 발짝 발을 들여놓는 셈이다. 불안에 쫓겨, 불안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움직여서는 아무리 걸어도, 아무리 걸어도 해결될 리 없다. 평생 해결되지 않는 불안 속을 걸어가는 것이다] P.20
죽을까도 생각했던 나였기에, 차라리 갱부가 되면 아무도 모르는 곳에가서, 운좋으면 죽을수도 있기 때문에 큰 고민없이 ˝조조˝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조조˝와 함께 기차를 타고 광산이 있는 곳으로 떠난다.
[˝자신이 거울 앞에 서 있으면서 거울에 비치는 자신의 모습을 신경 써본들 어떻게 되는 게 아니다. 세상의 규칙 이라는 거울을 쉽사리 움직일 수 없다면 자신이 거울 앞을 떠나는 것이 최상의 방책이다.˝] P.44
그리고 광산을 가는 도중에 두 사람을 만나는데, ˝조조˝는 두 사람에게도 ˝갱부˝가 되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한다. 그런데 그 두사람 역시 아무 망설임 없이 ˝조조˝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그들도 나처럼 삶에 대한 의욕이 없이 죽고 싶었던 걸까? 하지만 혼자가는 것보다는 여럿이서 가니 마음이 편해진다.
[혼자 전락하는 것은 둘이서 전락하는 것보다 쓸쓸한 법이다. 이렇게 분명하게 말하면 실례되겠지만 나는 이 사내를 한 구석도 좋아하지 않았지만, 그저 함께 전락해준다는 점만이 고마워서 아주 유쾌했다.] P.92
[만약 죽고나서 지옥에라도 가는 일이 생긴다면 사람이 없는 지옥보다는 반드시 요괴가 있는 지옥을 택할 것이다.] P.92
그렇게 나는 광산에 도착한다. 하지만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도쿄에서 내가 보던 사람들과는 다른 분위기였다. 삶의 마지막 벼랑끝까지 몰려서 이곳으로 온 사람들. 그들이 바라보는 나는 아직 어리고 순진한 사람이었을 뿐이었다. 그들은 내가 결코 갱부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젊은이다운 오기가 있었던 나는 그들의 태도에 위축되지 않는다.
[˝이봐˝ 하는 소리가 어떤 얼굴에서 나온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얼굴에서 나왔다고 해도 크게 다를 건 없었다. 어떤 얼굴이나 다 사나웠고, 자세히 살펴볼 것도 없이 그 거친 얼굴에 경멸과 조롱과 호기심이 분명히 새겨져 있다는 것은 고개를 들자마자 발견한 사실이었다.] P.169
그리고 갱부가 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안내자와 함께 갱도로 들어간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은 암흑속을 단지 등 하나만 가지고 들어가서, 세상의 끝과 마주하게 된다. 좁고 가파르고 위험천만한 갱도 안에서 나는 무력감을 느낀다. 하지만 모든걸 포기하고 절벽 끝에 서있던 나는 갱부가 되는걸 포기할 수 없었다. 여기서도 도망간다면 더는 갈곳은 없다. 과연 나는 갱부가 될 수 있을까?
[나는 이를 악물고 두 손으로 쥔 사다리를 두어 번 흔들어댔다. 물론 꿈쩍도 하지 않았다. 차라리 손을 놓아버릴까? 거꾸로 떨어져 머리부터 박살 나는 편이 빨리 결말이 나서 좋을 것이다. 걷잡을 수 없이 죽고 싶은 마음이 일었다. ] P.264
나쓰메 소세키의 <갱부>를 처음 읽었을때 갑자기 다자이 오사무가 쓴 <만년> 의 첫문장인 ˝죽을 생각이었다.˝ 가 떠올랐다. 그런데 소세키와 오사무중 누가 더 형일까?
책은 진작 읽었지만 밀려서 이제 리뷰를 쓴다. 벼랑끝에 몰려 심리적으로 위축된 사람의 심리를 섬세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었다. 나도 이런 심리상태를 경험해봐서 그런지 소세키가 써내려간 한 사람의 절망감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았다.
주인공인 ‘나‘의 갱부 체험이 그때는 힘들었겠지만 지나고나서 돌이켰을때는 즐거운 추억으로 남았기를 바래본다. 언제까지 과거에 억눌려서는 살 수 없으니까 말이다.
Ps 1. 이제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전작에 <명암> 한편만 남았다. 갑자기 너무 아쉬워진다.
Ps 2. 갱도를 헤매는 장면을 읽으면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가 떠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