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2102

˝1Q84년, 이 새로운 세계를 그렇게 부르기로 하자, 아오마메는 그렇게 정했다. Q는 question mark의 Q다. 의문을 안고 있는 것.˝


이 책을 처음 읽었던게 20대 후반이였던거 같다. 1Q84를 다시 읽고 있다. 이번에는 문고판으로. 역시 좋았던 책은 다시 읽어도 좋다. <1Q84>는 아오마메와 덴고의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되는데, 개인적으로 덴고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이야기가 더 와닿고 재미있다. 뭔가 공감대가 느껴진다는?


이 책에 나온 문장처럼 다 읽고 나서도 처음부터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이제 1/6을 읽었지만, 빨리 다 읽고 싶어진다.

[겉모습에 속지 않도록 하세요. 현실이라는 건 언제나 단 하나뿐입니다.]  P.26



1부 상권에는 아오마메와 덴고 사이에 어떤 접점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각자의 특이한 인생이 평행하게 그려진다. 소설가 지망생이자 수학학원 교사인 덴고는 신비한 인물인 후카에리를 만나 그녀의 작품인 <공기번데기> 리라이팅 작업을 시작하고, 아오마메는 정의를 위해 나쁜놈들을 살해하는 일을 한다. 비밀을 안고 있는것 부터 외로워 보이는 것까지 닮아 보이는 두사람. 그들은 언제 어디서 다시 만날수 있을까?

[아주 오래전에 있었던 일이지만 요즘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기억이 되살아난다. 잊혀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 얘기는 꺼내지 않았다. 말하기 시작하면 길어진다. 또한 그것은 일단 말로 해버리면 가장 중요한 뉘앙스를 잃어버리는 종류의 일이었다. 그는 지금까지 그 일을 어느 누구에게도 말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아마 말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P.139



오늘은 1부 하권을 꼭 다 읽어야 겠다.



Ps. 하루키 책을 읽다보면 이렇게 재치있는 문장들이 쏟아져 나와서 지루할 틈이 없다.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건 당신은 분명코 대머리야, 아오마메는 생각했다. 만일 인구조사에 대머리라는 항목이 있다면 당신은 틀림없이 거기에 체크가 될 거라고. 천국에 간다면 당신은 대머리 천국에갈 거고, 지옥에 간다면 당신은 대머리 지옥에 갈 거라고 알았어? 알았으면 사실을 외면하는 건 관둬. 자, 가자구. 당신은 대머리 천국으로 직행하는 거야, 이제부터.]  P.119

[세상 사람들이 영국 왕세자와 왕세자비의 운명에 대해 어째서 그렇게 깊은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되는지, 아오마메는 전혀 이해할 수 없었다. 찰스는 겉모습만 보자면 왕세자라기보다는 위장에 문제가 있는 물리교사처럼 보였다.]  P.193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8-20 10:4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새파랑님 이 글 읽고나니 저도 하루키 책 뭐든 꺼내 읽고싶어집니다 ㅎㅎ

새파랑 2022-08-20 10:44   좋아요 5 | URL
하루키가 소설 좀 더 써주면 좋겠습니다 ㅜㅜ 에세이 말고 ㅋ

청아 2022-08-20 12:3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줄어드는 페이지를 아쉬워하면서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다시 읽어도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아오마메가 그렇게 좋더라구요. 외롭지만 은근 미니멀리스트이고 세상 무서울것 없어보이는...누굴 죽여야하는것 빼고는 저렇게 살고 싶다 생각했어요. 군더더기 없는 삶ㅋㅋㅋ

고양이라디오 2022-08-20 12:56   좋아요 5 | URL
줄어드는 페이지를 아쉬워하며 재밌게 읽는 느낌^^ 저도 그랬습니다ㅎ

얄라알라 2022-08-20 14:09   좋아요 4 | URL
오! 미미님
하루키님에게 작가분들에게 최고의 찬사...줄어드는 페이지를 아쉬워하며 읽는 독자야말로 작가에게는 글쓸 원동력이 될 것 같아요!!

새파랑 2022-08-20 14:18   좋아요 3 | URL
이제 막 1부 하권을 다 읽었는데 다시 읽으니까 또 새롭게 느껴지네요 ㅋ

그때는 안보였던 체호프의 <사할린섬>이 눈에 확 들어오네요~!!

하루키 책은 읽다보면 그냥 계속 읽게되는거 같아요~!!

고양이라디오 2022-08-20 12:5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새파랑님 재밌게 읽으세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새파랑 2022-08-20 14:19   좋아요 4 | URL
고양이라디오님 덕분에 엄청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리뷰가 너무 짧아서 죄송하네요 😅

페크pek0501 2022-08-20 14:0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도 하루키의 책은 서너 권 이상은 읽은 것 같습니다. 매력적인 문장을 쓸 줄 아는 게 강점인 작가죠.

새파랑 2022-08-20 14:20   좋아요 4 | URL
전 하루키 소설은 다 읽은거 같아요~!! 에세이는 절반정도? 😅
제가 비현실적인 느낌?이 나는 작품은 별로 안좋아하는데 하루키는 예외입니다~!!

페넬로페 2022-08-20 14:24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도 1Q84 다시 읽고 싶어지네요.
하루키의 작품 속 인물들은 세상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고 있는 느낌이 들어 좋아요.
아오마메의 역할에 좀 통쾌했다는 기분도 들었어요^^

새파랑 2022-08-20 14:34   좋아요 5 | URL
페넬로페님도 한번 다시읽어보세요~!! 완전 또 색다르게 읽힙니다~!!

그레이스 2022-08-20 14:5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토할것같은 기분이었는데... 그 후로도 이상하게 하루끼가 만드는 분위기는 제게 그런 느낌을 줘요^^;;

새파랑 2022-08-20 15:16   좋아요 2 | URL
앗 토할거 같은 기분이라니요 ㅋ 다 취향이 있는거 같아요~!! 전 하루키는 집같은 느낌이 드는 작가입니다~!!

그레이스 2022-08-20 15:52   좋아요 2 | URL
부정적인 표현이 아니었는데... 너무 밀도가 높은 경우, 그런 느낌 받아요.^^
울렁거린다고 해야하나, 암튼 표현할 수 없는 기분이 있어요.^^;;

새파랑 2022-08-21 06:22   좋아요 2 | URL
아 ㅋ 밀도가 높다고 평가하는 이야기를 예전에 본적이 있는데 그레이스님도 그러시는군요. 그때는 밀도가 높다는게 어떤 의미지? 이런 생각을 했었는데 이젠 좀 이해가 됩니다 ^^

바람돌이 2022-08-20 17:0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20대때 읽은 책을 다시 읽는데 더 좋아지는 느낌 굉장히 기쁠것 같아요.
저는 한번도 하루끼옹이 저와 딱 맞다고 생각되는 적이 없는데 역시 책의 세계도 무궁무진한 취향을 자랑하는 세계입니다. ^^

새파랑 2022-08-21 06:23   좋아요 4 | URL
하루키옹은 맞고 안맞고로 확 나눠지는거 같아요. 특히 소설쪽은 더 그런거 같습니다~!! 다 취향아니겠습니까 ^^

희선 2022-08-21 01:4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보시고 이번에 다시 보시는군요 다시 보면 그때 못 본 걸 보기도 하겠습니다


희선

새파랑 2022-08-21 06:23   좋아요 3 | URL
정만 반복해서 보다 보면 안보이던게 보이기도 합니다 ^^
 
윌리엄 포크너 - 에밀리에게 바치는 한 송이 장미 외 11편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2
윌리엄 포크너 지음, 하창수 옮김 / 현대문학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N22101 포크너의 12편의 단편이 실린 작품. 읽는 내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서늘함을 느꼈다. 그의 장편에 비해서는 다소 쉽게 읽히지만 그렇다고 깊이가 얕지는 않다. 포크너의 입문 책으로 추천하고 싶은 책. <헛간 타오르다>, <메마른 9월>, <와시>가 좋았다. 이제 포크너의 장편을 다시 읽어보자.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2-08-20 10:1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크. 역시 포크너 하면 새파랑님^^ 서늘함;;; 오~ 입문책으로 추천해주신다니 저도 참고하겠습니다^^

새파랑 2022-08-20 10:21   좋아요 2 | URL
사실 저는 이제 포크너 세편밖에 안읽었다는 ㅎㅎ 어렵지만 또 읽고싶어지는 책이었습니다~!

mini74 2022-08-20 10: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은근히 헛간 ~ 좋았어요 저도 . 새파랑님 ㅎㅎ 이제 포크너를 무찌르러 가시는 겁니까 ㅎ파이팅입니다 ~~

새파랑 2022-08-20 10:35   좋아요 2 | URL
리뷰쓰고 싶었는데 감히 대가의 작품을 평할 수 없었습니다 ㅋ 포크너 포크로 찌르러 가야하나요? 😆

청아 2022-08-20 12: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있는지 어디있는지 모르겠지만 새파랑님 리뷰보니 필독서네요!! *^^*

새파랑 2022-08-20 14:24   좋아요 3 | URL
<소리와 분노>보다는 잘읽히고 좋았습니다. 현대문학 단편집 좋더라구요 ^^

이와는 별개로 최근에 읽은 트레버와 포크너는 완전 극과 극의 스타일인거 같아요 😆

페크pek0501 2022-08-20 14:1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백자평 좋군요. 입문의 순서, 유익한 정보예요.^^

새파랑 2022-08-20 14:25   좋아요 2 | URL
백자평 좋으시다니 감사합니다 ^^ 리뷰 쓸 시간이 없어서 아쉽지만 급하게 백자평이라도 ^^

페넬로페 2022-08-20 14:2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서늘하다는 표현에 동감합니다.
섬뜩하기도 했어요.
새파랑님 말씀처럼 장편에 비해 잘 읽히고 내용도 풍부해서 좋았어요^^

새파랑 2022-08-20 14:35   좋아요 3 | URL
포크너 완전 서늘한 사람 ㅋ 뭔가 어디서 불이날거 같은 느낌이 드는 단편들이었습니다~!!

그레이스 2022-08-20 14:5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에밀리...
많은 생각을 하게 했어요^^
좋았던 단편이예요
제가 다른 데서도 많이 인용하는 소설이예요.

새파랑 2022-08-20 15:17   좋아요 2 | URL
이 책은 에밀리부터 그냥 뭔가 쌔하게 시작합니다 ㅋ 너무 쌥니다~!!

coolcat329 2022-08-21 08: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트레버와 극과 극이라니 궁금해집니다.
입문용으로 추천이라니 또 구해야겠네요.

새파랑 2022-08-21 09:59   좋아요 2 | URL
전 포크너 보다는 트레버~!! 그냥 단편들이 다 인상적입니다~!! 쿨캣님은 딱 좋아하실듯 합니다~!!

alummii 2022-08-21 20: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포크너 하면 새파랑님이셨군요! 예전에 윌리엄포크너도 함 파보고 싶어 담아놨던 책인데 현대문학에서 나온 단편집시리즈가 번역이 좀 매끄럽지 못했던 적이 많아서 쉽게 손이 안가더라구요. .근데 입문용 저한테 딱 좋습니다 ㅎㅎ추천해주신책 읽고싶어요

새파랑 2022-08-26 18:23   좋아요 1 | URL
아직 포크너 마니아라고 하기에는 아주많이 부족합니다 ㅋ
이 책도 번역이 막 잘되고 그런건 아닌거 같아요. 그런데 읽는데 문제는 없었습니다~!!
 

문고본으로 다시 읽는 1Q84는 역시 좋다.














겉모습에 속지 않도록 하세요. 현실이라는 건 언제나 단 하나뿐입니다. - P26

"이 작품은 그런 평가를 할 수준도 못 된다고 한다면 뭐, 그것도 맞는 얘기일 거예요. 하지만 여기저기 걸리면서도 어떻든 다 읽고 나면 그뒤에 찡한 여운이 남아요. 그게 어쩐지 불편하고, 제대로 설명할 수 없는 기묘한 느낌이라고 해도 말이죠."

(진정햐 작품은 설명할 수 없는 여운이 있다.) - P34

다 읽고 나서 다시 처음부터 읽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든 것도 이게 처음입니다. - P35

"하지만 끝까지 읽어버렸다. 그렇죠?"
고마쓰는 미소를 지었다. 평소에는 열리는 일 없는 서랍의 깊숙한 곳에서 끄집어낸 듯한 웃음이었다. - P35

내가 보기엔, 이 아이에게 다음은 없어. 안됐지만 다음의 다음도 없어. 다음의 다음의 다음도 없어. 우선 이 문장은 시간을 들여 갈고 닦는다고 좋아질 만한 물건이 아냐. 아무리 기다려봤자 어떻게도 안 된다고. 그저 목만 빠질 뿐이지. 왜 그러냐 하면 말이지. 이 아이에게는 좋은 문장을 쓰겠다. 제대로 된 문장을 꼭 쓰고 싶다는 작정이 눈곱만큼도 없기 때문이야. 문장이라는 건 글재주를 타고나든지 아니면 죽기살기로 노력을 하든지, 둘 중 하나밖에 없어. 그런데 이 후카에리라는 아이는 그중 어느 쪽도 아니야. - P37

"물론, 그것만으로는 부족하지. ‘특별한 뭔가‘가 있어야 해. 적어도 내가 미처 다 읽어낼 수 없는 뭔가가 들어 있지 않으면 안 돼. 나는 말이지, 특히 소설에 관해서는 내가 다 읽어낼 수 없는 것을 무엇보다 높이 평가해. 내가 죄다 알아버리는 그런 것에는 도대체 흥미가없어. 당연하지. 지극히 단순한 일이야." - P38

19세기 러시아 문학에 나오는 혁명가 퇴물 인텔리겐치아를 연상시키는 구석이 있다. - P41

심장의 고동이 들린다. 그 고동에 맞춰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 도입부의 팡파르가 그녀의 머릿속에서 울려퍼진다. 부드러운 바람이 보헤미아의 초록빛 들판을 소리 없이 건너간다. 그녀는 자신이 둘로 분열되어 있는 것을 안다. 그녀의 반은 매우 쿨하게 죽은 자의 목덜미를 누르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나머지 반은 지독히 겁에 질려있다. 모든 것을 내던지고 당장 이 방에서 도망치고 싶어한다. 나는 이곳에 있으면서, 동시에 이곳에 없다. 나는 동시에 두 개의 장소에 있다. 아인슈타인의 정리에는 반하지만 어쩔 수 없다. 그것이 살인자의 선이다. - P74

아름다운 십대 소녀 대부분이 그렇듯이 표정에는 생활의 냄새가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거기에서는 어딘지 모를 불균형도 느껴졌다. 눈동자의 깊이가 왼쪽과 오른쪽이 약간 다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보는 이에게 왠지 모를 불안함을 느끼게 한다. 무슨 생각을 하는지 짐작할 수 없는 데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녀는 잡지 모델이 나 아이돌 가수 같은 부류의 미소녀는 아니었다. 하지만 그만큼 그녀에게는 사람을 도발하고 빨아들이는 것이 있었다.

(생활의 냄새란 과연 무엇일까?) - P85

"공기 번데기라는 작품은 분명히 네 거야. 네 안에서 나온 거지. 그걸 내가 내 것으로 할 수는 없어. 나는 어디까지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너를 도와줄 뿐이야. 그리고 내가 그 이야기에 손을 댔다는 사실을 너는 반드시 비밀로 해야만 해. 즉 우리는 공모해서 온 세상에 거짓말을 하는 게 돼. 그건 아무리 생각해도 간단한 일이 아니야. 계속 마음에 비밀을 안고 간다는 건.."

(비밀을 안고 가는건 쉬운일이 아니다.) - P96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건 당신은 분명코 대머리야, 아오마메는 생각했다. 만일 인구조사에 대머리라는 항목이 있다면 당신은 틀림없이 거기에 체크가 될 거라고. 천국에 간다면 당신은 대머리 천국에갈 거고, 지옥에 간다면 당신은 대머리 지옥에 갈 거라고 알았어? 알았으면 사실을 외면하는 건 관둬. 자, 가자구. 당신은 대머리 천국으로 직행하는 거야, 이제부터. - P119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타고나도 반드시 배부르게 살 수 있는 건 아니야. 하지만 뛰어난 감을 가지고 있으면 굶어죽을 걱정은 없다는 거야." - P126

아주 오래전에 있었던 일이지만 요즘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기억이 되살아난다. 잊혀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 얘기는 꺼내지 않았다. 말하기 시작하면 길어진다. 또한 그것은 일단 말로 해버리면 가장 중요한 뉘앙스를 잃어버리는 종류의 일이었다. 그는 지금까지 그 일을 어느 누구에게도 말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아마 말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일단 말하기 시작하면 그 늬앙스는 사라진다.) - P139

"나비와 친구가 되려면 우선 당신이 자연의 일부가 되어야 해요 인간으로서의 기척을 지우고 여기서 가만히 자신을 나무나 풀이나 꽃이라고 믿는 거예요. 시간은 걸리지만 일단 상대가 마음을 허락하면 그다음은 저절로 사이좋은 친구가 될 수 있어요." - P154

세상 사람들이 영국 왕세자와 왕세자비의 운명에 대해 어째서 그렇게 깊은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되는지, 아오마메는 전혀 이해할 수 없었다. 찰스는 겉모습만 보자면 왕세자라기보다는 위장에 문제가 있는 물리교사처럼 보였다. - P193

1Q84년, 이 새로운 세계를 그렇게 부르기로 하자, 아오마메는 그렇게 정했다. Q는 question mark의 Q다. 의문을 안고 있는 것. - P207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2-08-20 14: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겉모습에 속지 않는 건 중요하지만 안모습도 얼마나 여러 개인지... 저는 모르겠더라고요.
사실 자기 감정도 모를 때가 있잖아요.

새파랑 2022-08-20 14:22   좋아요 0 | URL
‘내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그거 인가요? ^^ 저도 제마음을 잘 모르겠습니다~!!

scott 2022-08-28 0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기 번데기 작품 실제로 출간 되었으면 좋겠어요(완결 된 상태로)

일본에서 조만간 하루키옹 단편 영화로 제작 된다고 합니다.

새파랑 2022-08-28 10:15   좋아요 1 | URL
헐 그렇군요. 하루키옹 단편 영화 봐야되는데 한번도 못봤네요 ㅜㅜ >드라이브 마이 카> 보고 싶은데~

공기번데기 완결은 스콧님이 한번 써보시는게 어떨까요? 😆 완전 재미날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