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삶의 음악
안드레이 마킨 지음, 이창실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N24012
˝그의 안에 불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앞으로 닥칠 일에 대한 공포도 느껴지지 않았다. 불안도 후회도 없었다. 그가 헤치고 나아가는 이 밤은 불행과 공포와 만회할 수 없이 산산조각 나 버린 과거를 이야기하고 있었지만, 이 모두가 이미 음악이 되어 오로지 그 아름다움으로 존재했다.˝
예전에도 비슷한 말을 쓴 것 같은데, 세계문학을 읽다 보면 각 나라마다 어떤 특성같은게 느껴진다. 독일은 좀 냉철하고, 남미는 좀 환상적이고, 프랑스는 좀 낭만적이고, 우리나라는 좀 착하고, 일본은 좀 특이하고....
그렇다면 러시아는? 러시아는 뭔가 순박하고 순응적인 느낌이다. 러시아 남자들은 맨날 보드카 마시고 그래서 좀 거칠거란 선입견이 있는 한데, 책을 읽다보면 러시아 남자들처럼 여자에게 순종적이고 순애보적인 사람도 없다...
결이 다르긴 하지만 ‘안드레이 마킨‘의 <어느 삶의 음악> 앞 부분에서 화자는 한 기차역에서 기차가 연착되는 걸 당연시하는 상황을 겪으면서 ˝호모 소비에티쿠스‘ 라는 단어를 경멸적으로 떠올린다.
[간혹 발생하는 기차의 연착을 제외하고는, 자기들이 사는 나라는 천국이라고. 느닷없이 확성기에서 전쟁의 발발을 알리는 냉혹한 목소리가 흘러나온대도 이 무리는 몸을 털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전쟁을 맞을 준비를 하고 고통과 희생을 감수할 것이다. 누추한 이 기차역, 철로 너머로 끝없이 펼쳐지는 평원의 추위 속에서, 굶주림이든 죽음이든 삶이든 그 모두를 당연한 듯 받아들이면서 말이다.] P.19
˝호모 소비에티쿠스˝라는 단어는 아이러니 하게도 소련의 철학자이면서 소련에서 추방되어 독일로 망명한 철학자 ‘알렉산드르 지노비예프‘가 발명한 신조어라고 한다. 아, 러시아에 대한 내 생각이 단순한 편견은 아니었던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된 샘이다...
<어느 삶의 음악>은 피아노 연주자인 주인공 ‘알렉세이 베르그‘가 레닌-스탈린 시대와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반체체 인사로 낙인찍혀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잃게 되고 목숨마져 위태로운 상황에 처하여 도망자 신세가 되는데,
우연히 목격한 전투에서 자신과 비슷하게 생긴 사망자 ‘세르게이 말체프‘를 발견하고, 그의 군복을 입고 그의 이름으로 위장하여 군인이 되고,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공을 세우지만 결코 자신의 위장신분을 밝힐 수 없어서 괴롭게 살아야 했던, 음악을 할 수 없었던 ˝호모 호비에티쿠스˝ 피아니스트의 이야기이다.
러시아에서 태어났기에, 어쨌든 살아남아야 했기에, 자신을 숨길수 밖에 없었고, 전쟁에 참가해서 타인을 죽여야 했고, 신분이 탈로날까봐 아무 말도 못하고 전전긍긍하게 살아야 했던 주인공 ˝알렉세이 베르그˝. 그의 위장은 언제까지 숨겨질수 있을가? 언젠간 다시 피아노를 칠 수 있을까?
처음 읽었을 때는 ˝호모 소비에티쿠스˝라는 단어가 단순히 러시아인에 대한 조롱을 의미하는 거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을 두번 읽고 나서는 생각이 바뀌었다. 원래 어원 자체는 조롱이었을지 몰라도, 작가인 ‘안드레이 마킨‘은 ˝호모 소비에티쿠스˝라는 단어를 통해 어떤 시련을 당해도 묵묵히 참아내고 결국은 이를 극복하고 치유하는 러시아인을 위로하려고 했던게 아니었을까?
주인공인 ‘알렉세이 베르그‘가 화자인 ‘나‘에게 경험담을 들려주는 액자식 구성의 작품인 <어느 삶의 음악>은, 초반부의 난잡한(?) 기차역 배경만 잘 통과하면 아주 재미있고 감동적으로 읽을 수 있다. ‘알렉세이 베르그‘에게 음악이 있었던 것처럼 누군가에게 살아가야 하는 이유가 있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것 같다. 나에게 있어서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주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고민해본다.
Ps. 요즘 1984BOOKS 책들에 관심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