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전한 자유’를 꿈꾸되 그것에 도달하지 못하고 ‘위장된 자유’로 남을 때 시는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시는 ‘자유의 위장’ 그 자체가 아닐까.·······그렇다면 시를 읽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위장의 방법론과 은폐의 대상을 이해하는 일이다.(377-378쪽)

 

‘완전한 자유’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만일 언어로 표현된 ‘완전한 자유’가 있다면 둘 중 하나일 것입니다. 진정으로 ‘완전한 자유’라면 타인이 결코 그것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타인이 감지해낸 ‘완전한 자유’라면 실제로는 가짜일 것입니다. 적어도 언어에 실려 모습을 드러낼 운명인 한 “대상을 희미하게나마 거느릴 때” 자유는 ‘자유다운 자유’일 수 있습니다. ‘자유다운 자유’이려면 누림이 가능해야 합니다. 누림이 불가능한 분열적 자유는 그 자체로 정신병입니다. 누림이 누림다우려면 함께 누림이어야 합니다. 함께 누리기를 거절한 초월적 자유는 그 자체로 반인간적 범죄입니다.

 

우리 삶의 최후 목표가 자유, 그것도 ‘완전한 자유’라고 하면 시가 할 일은 자명합니다. 언어가 도달할 수 있는 한계를 끝까지 추구해 ‘완전한 자유’로 육박해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대상을 희미하게나마 거느릴” 각오(!)를 다져야만 합니다. 그 각오가 위장의 미학을 옹골차게 닦아세울 것입니다. 위장의 미학이 옹골찰수록 대상은 절묘하게 희미해질, 그러니까 모호해질(김행숙) 것입니다. 희미하고 모호해진 대상이 마치 낫에 베어지는 찰나의 풀처럼 존재의 마지막 향기를 뿜어낼 때 ‘불완전한 완전’은 ‘완전’을 전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완전’이라는 말만큼 우리사회를 휘젓고 돌아다니는 것은 다시없을 것입니다. 완전 좋다, 완전 예쁘다, 완전 맛있다·······물론 과잉된 느낌과 평가가 수반된 표현입니다. 사회심리적인 근거를 분명히 지니고 있겠지요. 함량미달의 유사품이 광고에 힘입어 대량 유통되는 사회에서 소비자가 겪는 심리적 갈증을 일정 정도 반영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 광고와 유통의 논리를 내면화한 측면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온갖 매체를 연예인이 장악하고 있는 스타시스템 아래서 어쩌면 불가피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저들이 입에 올리는 순간 공식적이고 국민적인 말이 될 뿐만 아니라 말이 주는 분위기에 동참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런 사회풍조의 최종 배후에는 물론 권력과 자본과 종교가 카르텔을 형성하여 일으키는 정치적 부조리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선거할 때만 되면, ‘완전’ 공약. ‘신상’ 나올 때만 되면, ‘완전’ 성능. 헌금 걷을 때만 되면 ‘완전’ 축복. 천태만상의 사기 카드를 꺼내들지만 두 달 뒤에 어김없이 오리발 내미는 파렴치 마케팅. 이런 것이 바로 우리 지배층의 존재양식입니다. 세월호참사 이후 드러나고 있는 가짜 ‘완전’의 실체는 역설적이게도 대중의 ‘완전’에 대한 자기최면을 더욱 맹렬하게 만들고 있는 듯합니다. 우리사회의 슬픈 현주소일 테지요.

 

완전하지 못한 것을 완전하다고 호들갑떨 때 우리는 속임 당하며 또 그 방식으로 스스로 속이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비루한 삶의 한가운데서 우리가 참된 자유, 그것도 ‘완전한 자유’를 꿈꾸려면 허접한 말에 중독되지 말아야 합니다. 허접한 말에 중독되지 않으려면 ‘시를 읽어’야 합니다. 시에 담긴 위장의 방법론과 은폐의 대상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렇게 ‘시를 읽어’ 자유다운 자유를 찾은 시민은 자신이 사는 시대의 슬픔과 어둠 속에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나중까지 함께 앉아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

 

복잡하거나 어려운 건 없습니다. 손가락은 지시가 아니라 암시입니다.

-「문제작」중에서(강조는 시인-시인은 이민하(재인용자))

 

·······‘지시’는 대상을 전제하고 그것으로 환원되지만, ‘암시’는 무한대의 대상으로 열려 있다. 손가락이 지시하는 것을 찾지 말고 손가락 자체가 암시하는 바를 음미하라는 뜻으로 읽힌다.·······시인의 당부가 이어진다. “손가락 끝을 보지 말고 그걸 둘러싼 허공을 보세요.”)(372-373쪽)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가르침으로 견지망월見指忘月이 있습니다. 손가락을 쳐다보느라 정작 가리키는 달은 잊고 있는 어리석음에 대한 경책입니다. 대승경전 능엄경楞嚴經에 나옵니다. 아마 시인도 저자도 이 가르침에 서려 있는 남성가부장적 일극집중구조를 읽어내어 해체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손가락 보지 말고 달 봐라, 도 역시 아니올시다, 란 것이지요. 진실은 손가락을 둘러싼 허공, 그 허공에 펼쳐진 무한한 스펙트럼의 어스름에 있지 휘영청 밝은 빛에 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하여 ‘지시’를 물리치고 ‘암시’를 세운 것입니다.

 

삶의 진실은 빛에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그러면 삶의 진실이 어둠에는 없다는 것입니까? 아닙니다. 어둠 또한 삶의 소중한 일부, 곧 진실의 한 면입니다. 그 어둠을 직시하지 않으면 진실은 절반 이하로 한정됩니다. 절반 이하로 한정된 진실은 진실이 아닙니다. 빛과 어둠이 만나 무량무수 솟아오르는 어스름의 시뮬라크르, 그 점멸하는 사건 속에 진실의 모든 것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너무 밝으면 어둠이 안 보인다.”(302쪽)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사회는 어떠합니까? 밝은 달은 있고, 그것을 가리키는 스승은 있는 것입니까? 그런데 우리가 어리석어 손가락만 쳐다보고 있는 것입니까? 혹 그 달이 가짜는 아니고 스승도 사이비는 아닌 것입니까? 우리가 그토록 겁내는 어둠이 실제로는 가짜 달의 그림자는 아닙니까? 그 어둠 뒤에 숨은 자가 바로 빛의 스승은 아닙니까? 그래서 죽기 살기로 감추려는 것은 아닙니까? 정녕 진실을 알고자 하면 손가락 끝을 둘러싼 허공, 그러니까 빛과 어둠이 맞물리는 특이점을 보아야 합니다. “복잡하거나 어려운 건 없습니다.” 우리가 암시받은바 모든 것을 죄다 드러내어 “일치하지 않는 데서 사용”(위 시 8의 일부)함으로써 무한한 스펙트럼의 어스름을 만들어내는 진짜 ‘소통’을 하면 됩니다. 어둠에 쫄지 마세요. 빛에 속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해시’라는 말은 서글프다. 그 말에는 어딘가 ‘포기’의 냄새가 난다.·······누군가를 포기할 자격이 있는 사람은 그를 위해 최선을 다한 사람뿐이다. 결론.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370쪽)

 

흉고심하지결전간의대시계탕(胸苦心下支結癲癎宜大柴桂湯).

 

이렇게 써놓은 글을 제대로 읽고 무슨 뜻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장담하건대 500명, 그러니까 우리나라 사람의 0.001% 미만일 것입니다. 이는 한의학 고전 「상한론傷寒論」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을 현대적으로 응용한 것입니다. 현직 한의사 가운데서도 이 말을 모르는 사람이 거의 대부분인 까닭은 大柴桂湯대시계탕이라는 처방 이름 때문입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알 수 없는 것이므로 이 부분을 설명해주지 않으면 문장 전체가 무의미해집니다. 전간癲癎epilepsy, 그러니까 간질병 치료를 해야 하는 사람의 간절함과 상관없이 이 문장을 읽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일반인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입니다.

 

나는 (당신)을 가지고 있어요 댁들처럼 (당신)이라는 가죽주머니를 나도 가지고 있지요

 

가령 위 시는 황병승의 <Cheshire Cat's Psycho Boots_8th sauce-앨리스 부인의 증세>의 처음 두 문장입니다. 시 제목, 어떠십니까? 저 두 문장 어떠십니까? 흉고심하지결전간의대시계탕(胸苦心下支結癲癎宜大柴桂湯)과 별반 다를 게 없지 않습니까? 그럼에도 이 한의학 문장은 일반인이 최선을 다해 읽지 않아도 되므로 책으로 나올 엄두도 못 내지만, 저 시는 1년 남짓한 시간 동안 4쇄를 찍어낸 시집 「여장남자 시코쿠」에 실려 일반인이 최선을 다해 읽는 대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물론 최선을 다해 읽는 일반인 가운데는 저도 있습니다. 제가 혹 저 한의학 문장을 담은 책을 내면 황병승 시인이 최선을 다해 읽을까요?

 

이런 비대칭은 비단 저명한 시인 황병승과 무명의 醫者 강용원만의 차이는 아닐 것입니다. 문학과 한의학의 차이이기도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시가 인간에게 지니는 의미에서 이런 경사가 비롯하는 것일 테지요. 비록 ‘증후’일뿐일지라도 시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대상이므로 많은 사람들이 ‘최선’을 다해 나아가야 하고, 심지어 처방까지 붙어 있을지라도 한의학 문장은 극소수의 사람한테만 그 뜻을 드러내도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시는 ‘증후’로서 시 아닌 다른 무엇으로도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어떤 힘이므로 우리는 안간힘을 써서 난해의 난해를 건너가야 하는 것입니다. 시란 아무래도 그런 것입니다.

 

 

대한민국이 발표한 ‘난해시’ <세월호-유민이의 꿈> '포기'할 자격 얻으러 떠나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불연속적으로 사람들 속으로 사람들을 떠난다.”·······그녀는 또 어디론가 떠나려나보다. 사실 그녀는 본래 투명인간이 되고 싶어 했으니까.·······투명인간은 원본 없는 자유이고 중심 없는 생성이다.·······느낌의 세계에서 느낌의 위력으로 우리는 사랑스러워지고 드디어 모호해진다.(367-368쪽) 행위가 전부다. 코기토는 없다.(358쪽)

 

 

느낌의 공동체에서 행위자, 그러니까 코기토는 모호해지고 또 모호해지다가 마침내 투명한 행위로만 존재, 아니 관계합니다. 관계로서 행위는 무한의 특이점인 자유이고 남김없이 가장자리가 되는 생성입니다. 자유로운 생성, 생성되는 자유를 위해 우리는 점멸함으로 '타자'인 사람들 속으로, '타인'인 사람들을 떠나는 것입니다. 하여 '자아'는 사라집니다. 이윽고 '타인'이 사라집니다. '주체'와 '타자'의 행위인 느낌의 공동체가 점멸할 때 그것은, 그것만이 사랑입니다. 다만 사랑을 남겨두고 우리 모두 지금-여기 떠납시다, 헛것이 되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명하고 충실하고 무구한 시, 그러니까 세계라는 사건의 공간을 위와 아래와 뒤의 도움 없이 ‘있는 그대로’ 감각하는 시라서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낯선 것이다.(355쪽)·······난해하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가 그만큼 협소하기 때문이다.·······혼란스럽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아가 그만큼 진부하기 때문이다.(367쪽)

 

‘있는 그대로’ 감각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말이야 그야말로 ‘있는 그대로’지만 그 ‘있는 그대로’를 투명하게, 충실하게, 무구하게 느낄 수 없도록 이미 조작된 감각기를 지닌 우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그런 ‘있는 그대로’의 감각이 난해하고 혼란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조작된 우리의 감각이 난해하게, 혼란스럽게 협소하고 진부한 것입니다.

 

협소함-숙명으로 지니는 공포·탐욕·무지(어리석음) 때문에 인간은 광활함spaciousness의 땅으로 나아가지 못 합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움켜쥐고 있는 알량한 안정·재물·이념 따위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 그 알량한 토대에서 해석하고 판단하고 비난합니다. 그럴수록 불투명하게, 허술하게, 영악하게 세계를 파악합니다. 그럴수록 세계는 접히고 접혀 ‘있는 그대로’ 진면목을 드러내지 못합니다.

 

진부함-협소함을 유지·온존하는 과정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이 있습니다. 하나는 자기 경계의 공고화입니다. 이는 공시적synchronic 진부함입니다. 자기 경계를 허물지 않으니 자기 밖의 내용이 들어설 수 없습니다. 다른 하나는 자기 원칙의 영속화입니다. 이는 통시적diachronic 진부함입니다. 자기 원칙을 바꾸지 않으니 새로운 내용이 들어설 수 없습니다. 어디를 둘러봐도 아무리 기다려도 ‘있는 그대로’ 경이로움이 들이닥칠 가능성은 없습니다.

 

 

옆으로, 옆으로 광활하게 번져갈 때만이 경이로운 세계, 그 모습 ‘있는 그대로’를 반갑고도 깔끔한 느낌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광화문과 청운동에 그런 세계가 바야흐로 열리고 있지 않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