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틀리기 쉬운 국어 문제 5-1 - 겨울 방학 예습용 필독서
김준식 그림, 우리누리 글 / 씨속열매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집에 공부하러 오는 아이 중에 책이라면 정말 담 쌓고 지냈던 아이가 있었다.  같이 동화책을 한 권 한 권 공부해보며 조금씩 책에 대한 즐거움을 알아가고 있는데,  이 아이가 우리 집에 와서 가장 보고 싶다며 고른 책이 바로 이 교과서 만화 시리즈다.   요즈음도 집에 공부하러 왔다 가면 책을 빌려 가는데,  빌려가는 책중에 빠지지 않는 책이 교과서 만화이다.  결론은 무척 재미가 있다는 뜻이겠지?   만화 교과서의 장점은 만화로 재미있게 읽으면서 예습도 쉽게, 복습도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책 '굿바이! 틀리기 쉬운 국어 문제'는 책은 집에 오자 마자 우리 아이가 바로 차고 앉아 읽었다.   만화 교과서의 덕은 학교 시험볼 때마다 참 톡톡히 본다.        

이 책은  전부 컬러로 구성 되어 있으며, 속내지 역시 고급스런 용지다.  단원이 끝나면 각 단원의 마지막장에 '이것만 알면 절대 안 틀린다!'가 수록 되어 있다. 아이들이  꼭 알고 넘어가야 하며, 이해를 해야 할 부분을 꼭 집어준다. 확인 문제 한 가지와 함께...   (이 부분이 목 마른 사람 물 한모금 먹는 것과 같은 느낌이라......)     또한 시험을 대비하여 첫째 마당과 둘째 마당이 끝나면 '시험전 암기노트'가 2p에 걸쳐 일목요연하고, 한 눈에 쏙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내가 꼽은 이 만화교과서의 가장 칭찬할 점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 속에 교과서 단원 학습목표로써, 꼭 이해하고 넘어갈 문제가 재미 있으면서도 한 눈에 알 수 있게 구성 되어 녹아 있다는 점이다.   간혹 지나치게 재미만을 추구하다가 학습목표는 흐지 부지 넘어가는 만화 교과서도 있었기 때문이다.   

타 출판사의 만화 교과서와의 차별화는 요약 정리 부분이 한 눈에 쏙 들어오게 되어있다는 점이 아닐까 꼽아 본다.  이 만화 교과서는 순수하게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아이들만의 시선에서 바라는 만화 교과서일 것이다. 그냥 넘기는 책장없이 다 쏙쏙 읽을 수 있는 책.     

허나, 엄마의 눈으로는 좀 아쉽다. 복습과정으로까지 활용하고자 한다면 만화 교과서 문제 풀이는 꽤 쓸만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좀 더 욕심 부리자면 사진 자료도 간간히 있으면 좋지 않았을까?    예습과 복습을 추구한다면 워밍업으로 만화속에 녹아 있는 내용 이해가 선행 되고, 복습으로는 내용을 요약정리, 문제 풀이를 해 볼 수 있어야 최고의 만화 교과서라 할 수 있지 않을까라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곽진우 2016-07-03 2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머하냐
 
아낌없이 주는 나무 (어린이용) 생각하는 숲 1
셸 실버스타인 지음 / 시공주니어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봉초 4학년 최상철
2006. 04.06
제목:아낌없이 주는 나무

어느 날, 한 나무와 소년이 살고 있었다. 소년은 나무와 언제나 함께 놀았다. 낮잠자고, 그네타고, 열매를 따먹고 그는 나무를 사랑하였다. 나무역시 그를 사랑하였다. 어느날, 소년은 점점 자라 나무를 멀리하고 더욱더 필요한 것을 요구한다. 그럴때마다 나무는 아낌없이 주었었고, 줄것이 없더라도 앉을 공간을 마련해 줬었다.

나무는 소년에게 마구 주어서 얻은 것은 무엇일까? 난 행복이라고 느낀다. 남을 도울수록 자신의 행복이 커지기 마련이거든. 소년도 역시 행복했을까? 받을때는 행복했으나, 자신의 몸을 잃은 나무가 고통스럽다는것을 자연스레 생각하게 될 것이다.

자선을 많이하여 복을 얻은 경우도 있으나, 난 나무처럼 무분별하게 주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난 먹고 살기 힘들어 지기 때문이다.

---------------------------------------------------------------------------------------

[charliemom]

아이의 눈높이에서는 저렇게 제 몸을 희망하면서 무조건 다 주는 "사람"은 없다고 하였다.  아이가 읽었던 꽤 많은 책과 써보면서 생각했던 여러가지 중에서 분명히 있었지만, 별개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예를 들어 마더테레사, 슈바이처 박사, 농학박사 한상기(까만 나라 노란 추장)을 읽고, 타인을 위해 헌신했던 사람들을 존경한다고 했으면서도 그것은 머리로만 아는 것인가 보다.  아이에게 말했다.

"부모님은 어떤 사람일까?"

"낳아 주시고, 키워 주시고..... " 

"부모님이 자식에게 베푼 그 모든 것을 다시 받을 것 같아?"

".....................네,  성공해서 부모님한테 효도해요."

"응. 좋은 생각이지만, 가까운 예로 아빠를 봐. 해드리고 싶은 마음은 많지만, 실제로 할아버지께

용돈도 넉넉히 못 드릴 때가 많잖아.  형편이 좋아져도 자식이 부모님께 드리는 것은 부모님이

자식에게 베풀었던 사랑, 물질에는 늘 한없이 부족하다고 생각해."

"네..."

"마더 테레사나 나이팅게일 슈바이처 박사 같은 분들이 왜 칭송을 받을까 생각해 봤니?"

"다른 사람을 위해 좋은 일을 많이 했어요."

"응... 다른 사람를 위해 뭔가를 한다는 것은 하기 힘든 것을 그 만큼 더 해야 된다는 뜻이야. 

자신을 위해서 하는 공부하는 것도 힘들어 하는데, 남을 위해 그 모든 것을 했다고

생각해봐.  굉장히 힘들었겠지?  그래서 아무나 못해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존경하는 거야.

아낌없는 나무는 많단다.   너도 부모가 되어 아낌없는 나무가 되겠지만,  좀 더 많은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나무로 컸으면 하고 엄마는 생각해."  

지금 아이에게 자신의 꿈을 물어보면 아이는 말한다.

"10만명을 먹이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컥...  꿈이 너무 크다.  그래도 꿈을  꾸면서 노력하게 되고,  그 바램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구름 위를 떠다니는 내가 있다. 쿡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왕자 어린이작가정신 클래식 2
오스카 와일드 지음, 조르쥬 르무안느 그림, 이정주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봉초 4학년 최 상철
일자: 2006. 4.6

행복한 왕자는 마을 광장 중앙에서 멋지게 빛나는 왕자동상이다. 그의 온몸은 순금과 보석으로 박혀있었는데, 어느날 겨울에 남쪽으로 가지 못한 새를 계속 심부름 시키는 내용이다. 새는 비록 귀찮았으나 사람들의 행복을 보자 기뻐하며 얼어죽고, 왕자역시 자신의 몸일부를 때서 그들에게 같다줬으니 쓸모없어졌었다. 그래서 그들이 그 두 개를 버리자 천국에 가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이다. 겨우 동상인데도, 사람들에 대한 마음이 그렇다니 참으로 대단했다. 나같으면 그렇게 하지 못할텐데... 난 이 두 개의 책을 읽으면서 공통으로 말하는것이 자선을 하면 할수록 자신은 더욱더 행복해진다라고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안데르센 동화 4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지음, 스벤 오토 그림, 김라합 옮김 / 웅진북스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오봉초 4학년 최 상철
일자: 2006년 4월 22일
제목: 자신의 삶에 만족을 느끼라

아이북 테마북으로 왔을때, 가장 그림체가 눈에 띄던 책이였다. 이 책은 전나무란 이야기가 들어있었는데, 숲에서 자신의 삶을 만족하지 않고 얼른 크길 바랬다가 지나간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단 하루만에 자신의 삶을 끝내게 된 이야기다. 이 이야기에서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현재 자신이 하고있는 것에 대하여 만족하라 이것이다. 그때 미리 행복을 느껴보았더라면 전나무는 슬프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잔소리 심한 어머니 밑에서 사랑을 느끼고 있는것은 행복이란걸 우리 모두 깨달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가지 질문
레오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원작, 존 무스 글 그림, 김연수 옮김 / 달리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봉초 4학년 6반 최 상철
일자: 2006.4.22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때로는 모르고 있다. 또한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누가 중요한지, 중요한때를 모두 간단한데도 모르고 있다. 나도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몰랐다.

가장 중요한때는 언제인가. 바로 큰 일이 일어나기 전이다. 큰일이 일어나기의 원인이 있고 그 원인의 원인, 원인, 원인이 반복하여 언제나 중요한 때가 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사람은 누구인가. 바로 나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은 자기 자신을 가르킨다. 그것은 모두가 중요하단 뜻이다. 없어어도 안되고, 있어어도 안된다는 인물은 없다. 우리모두가 평등하고 중요하고 필요하다.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모두 빌게이츠나 노벨같은 과학자들의 업적만 생각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중요한 일은 무엇일까. 환경미화원, 농부, 노동자 이들이 하는 일 하나 하나가 모두 중요하다.

평화주의자였던 톨스토이를 이 책을 읽음으로써 자세히 알게 되었다. 그는 어떻게 사람들을 평등하게 생각했는지 말이다. 이번걸로 내 생애 가장 중요한 일을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