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의 그늘 3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30
황석영 지음, 백철 그림 / 이가서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트남 전쟁에 대해 궁금해져 더 많은 것을 조사해 보았다. 물론 이전에도 이 전쟁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증명하는 문헌이나 사진 자료는 많이 본 적이 있다. 전쟁 당시 쓰였던 각종 무기로 트라우마와 후유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 어떤 이는 한국군들이 나라를 위하여 팔려갔다고도 한다. 본래 미국의 보조를 맡는 위치였지만, 끝내는 미군이 죽는 것을 바라지 않던 미국이 한국군을 최전방에 끌어들이기로 합의한 것이다. 그렇게 위치가 교체되어, 한국군들은 맹렬하게 싸울 수 밖에 없었다. 무엇을 위하여? 그 목적은 불분명하다. 

전쟁이란 것이 나쁜 것인줄을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일어날 수밖에 없는 까닭이 있다. 저들에게 양뵤하면 그들의 세력이 더 커진다. 세력이 더 커진 틈을 타서 나를 위협할지도 모르니, 양보란 것을 할 줄 모르는 것이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니 무력으로 승부를 보고, 결국 처음에 의도했던 것보다 못한 결과를 낳고 만다. 무기의 그늘은 너무나 짙다. 그늘 아래 가리워져 밝은 햇빛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은, 결국 이 암울한 상황 속에서 미쳐버리고 말 것이다. 

주인공 안영규도 이번 전쟁에서 많은 것을 느꼈다. 그와 함께 콤비로 수사를 이루었던 토이도 게릴라군에 의하여 처형당하고, 화가 난 안영규 상병은 게릴라의 본거지를 휩쓸어버린다. 저쪽도 아무렇지 않게 사람을 죽이고, 이쪽도 아무렇지 않게 저쪽을 죽인다. 살인으로써는 무아지경! 살육과 사소한 욕망에 의한 암거래가 판을 치는 세상이다. 

지금도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은 테러단체 처단이라는 명목으로 옛날 무기를 동원하여 이들을 최대한 괴롭히고 있다. 아마 이들이 최신 무기를 사용하여 흽쓸기로 마음 먹으면 지구조차 날려버릴 수 있으리라. 물론 그 일이 그 자신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니, 결국 이는 미국이 매우 현명한 국가라는 점을 알려준다. 이 세상은 이익이 가는 것으로 따라가는 세상이다. 결국, 살기 위해서는 모두가 이익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남겨진 고립된 이들은, 곧 이익이 남긴 여파로 인해 휩쓸려나가고 만다. 물론 그 와중에도 암초처럼 버티는 굳센 의지를 가진 이들이 희망을 이어나갈 것이다. 나는 거센 폭풍대신, 굳세게 버틴 암초에 희망을 걸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1-03-07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빠, 제목이 너무 재미있는 것 같애~

최상철 2011-03-08 07:48   좋아요 0 | URL
그래? 감솨 ^^
 
무기의 그늘 2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29
황석영 지음, 백철 그림 / 이가서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트남 전쟁에는 다양한 참사가 있었고, 그 중 대다수는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당시 베트남은 민족 해방 전선, 일종의 게릴라가 있었기에 미군들을 상대로 상당한 곤욕을 치르게 만들었다. 미국이 게릴라 처리를 위해 고엽제를 살포한 것은 거의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은 더 큰 만행도 저질렀다. 주민을 겁탈하고, 게릴라를 감싸주었을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주민들을 몰아넣고 모조리 처단하기도 했다. 마을을 불지르는 것은 무력을 가진 이들에게 있어 일도 아니었다. 

주인공으로는 CID의 조사 위원인 써젠트 안영규가 등장한다. 그는 본래 최전방에서 전투 중이었다가, 그의 능력으로 인해 차출되어 베트남 전쟁의 암거래를 단속하는 베테랑 수사관으로 활약한다. 그는 그 중에서 수많은 암거래 현장을 포착했다. 군인들은 그들의 이익을 위하여 함부로 군량미를 빼돌려 음식을 팔고 있었던 것이다. 어찌나 당당하게 그 거래가 성립되던지, 보는 나는 어이가 없을 지경이었다. 믈론 전쟁 중에 이들을 모두 단속하는 일은 어쩌면 모순일지도 모른다. 최소한의 자유는 있을테고, 이들도 스스로의 이익을 따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얼마 전 깨달은 사실이 이 전쟁에도 적용되었다는 사실에는 여지가 없었다. 

구호를 위해 들어간 물자는 정치인들의 정치 수단으로 쓰이고, 또 그 구호 물자들도 제대로 쓰이는지는 무지기수이다. 이 얼마나 타락한 세계인가? 그곳의 주민을 생각하며 모아 보낸 물자들이 결국 필요 없는 곳에서 낭비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은 알면서도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권력을 쥔 이들은 그 사람들이고, 구호물자마저 보내지 않는다면 이들은 어떤 삶을 살아갈지를 알 수가 없다. 아마 이번을 통해서 베트남 전쟁에 대해 관심이 더 많아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기의 그늘 1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28
황석영 지음, 백철 그림 / 이가서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베트남 전쟁이 끝난지도 어느새 오랜 시간이 흘렀다. 아마 지금쯤은 많은 사람들이 그 당시의 일들을 잊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무기의 그늘은 그 당시의 사건을 다시 한 번 고발했다.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한국군과 미국군, 그리고 베트남군들은 서로 간에 깊은 이해 관계가 얽혀 있었다. 이것이 바로 베트남 전쟁의 진실이었다. 

지금까지 전쟁이라면, 무조건 서로에 대한 총질과 폭탄 투하가 전부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만화로 생생하게 보는 전쟁은 그렇지가 않았다. 실제로 전쟁은, 서로를 향해 싸우는 것보다 휴식 시간이 월등히 길다고 한다. 단지, 전투 중에는 위험 상황이기에 시간이 매우 길게 느껴진다. 하지만 그 외에도 정보전은 실제로 전투를 하는 것보다 더 우위에 서 있었다. 상대의 보급 물자를 차단하는 것도 전략. 하지만, 여기서 내가 본 것은 그것보다 더한 진실이었다. 바로 암거래와, 전쟁의 와중에도 먹기 살기 위해 군량미까지 팔아버리는 행위. 이것이 베트남 전쟁의 실체요, 최전방에서는 사람이 죽어가고 있음에도 후방의 사람들은 암거래로 즐길 것도 즐기고 돈도 챙겨가는 것이다. 

전쟁은 사람을 황폐화시키는 데 있어 최고의 수단이다. 어떤 이들은 전쟁이 돈을 벌기 좋은 수단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당연히 착각이다. 물론, 지원국에서는 무기를 팔고 군대를 판 셈이니 돈을 벌지도 모른다. 하지만 전쟁 당사자들은 생존을 위해 전투를 하는 대신 뒤쪽으로 그들의 물자를 모으는 데 더 치중한다. 만약 이러한 행위가 없었다면, 진정한 의미의 전쟁이 성립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전쟁은, 단지 서로에 대한 공격만이 크나큰 피해의 원인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가난한 국가일수록, 일부 부유층은 상대적으로 더욱 부유하다. 베트남 전쟁은 어떤 사람에게는 있어 자산을 불릴 좋은 기회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몰랐다. 그들이 불린 돈이 몇 천 만명의 목숨으로 바꾼 블러디 머니인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mil and the Sneaky Rat - Paperback (July 3, 2008)  

by Astrid Lindgren and Tony Ross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다양한 동화 이야기들 중에서, 이번 편에서는 한 재미있는 소년의 이야기를 읽었다. 에밀이란 소년이 겪는 다양한 일들. 하지만 이번 편에서는, 판타지적인 요소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어린 소년이 모험이라 생각하고 겪은 이야기들은, 아이들이 어린 시절 한 번쯤은 생각해 볼 만한 그런 모험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그녀의 작품들을 읽으면, 참으로 많은 것들을 느낄 수가 있었다. 물론 그 중에서도 힘이 쎈 튼튼한 어린이, 삐삐 롱스타킹의 이야기가 최고였지만, 그녀의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은 모두 특정한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이 있다. 바로,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였다.

Emil is a a mischievous child. The first story was that Emil tried to catch the sneaky rat. He found a rat at his house, so he proclaimed the war between rat and himself. So, he tried everything and finally he locked himself in the woodshed. Well, that activities made him chance to meet another friends, too. 

Emil even make his own horse, too. He helped the grown ups, but a man tried to give him some coins at all. However, the faithful farmer was angried at him, so he gave him the horse. Well, Emil is a really special boy. He make happens and accomplish what he wanted to do. This is the little boy, Emil's power. 

Although this book was not fantasic, I really liked this book. Who can get their own horse? Which children can find the advantures themselves? That makes Emil more special. I hope this boy would do great things when he grow u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릉 가는 옛 길 만화로 보는 한국문학 대표작선 20
이순원 지음, 유희석 그림 / 이가서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가난하다고 차별받던 그 상처 받은 마음을 나는 간접적으로라도 이해할 수가 있었다. 이관모 선생의 단순한 사고 방식으로 인하여, 얼마나 많은 가난한 아이들이 슬픔을 가지고 살았겟는가. 부잣집 사람들에게 현물을 받고서, 조금이라도 보답하기 위하여 회장, 반장, 심지어는 되지도 않는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대회의 대표로 내보낸다. 기존의 실력자로 있던, 가난한 집의 아이들은 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이러한 차별을 받는 것을 매우 서러워했다. 이것이 바로 강릉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다. 

하지만, 선생님의 그러한 차별도 결국 한때의 추억이 되었을 뿐이다. 가난한 아이들에게도 자상한 선생님의 있듯이, 비록 나빠 보일지라도 부자 아이들을 챙겨주는, 그런 아이들을 위한 자상한 선생님이 계신 경우도 있다. 이관모 선생님도 그런 경우이리라. 어른이 되어 동창들을 불러 모으는 경수는, 어릴 때 이관모 선생의 관심을 받아 왔기에 은사님이라고 표현했다. 모두가 어린 초등학생임에도 불구하고 관모라 불리던 그런 사람을 이 남자가 은사라 부를 수 있었던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강릉 가는 옛길을 가며, 이관모 선생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과연 그에 대하여 어떤 기억을 떠올릴까? 만약 나에게 그러한 유년기가 있었다면, 지금의 나는 어떤 삶을 보내고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